...

카브(ca알ve)에 대해서 짧막하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지금도 초보인 제 생각에 많은 분들이 카브에 관심이 많으신 듯 합니다.

몇 가지만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띄어쓰기, 맞춤법.. 틀릴 수도 있습니다.)

1. 신경 전달
    중요한 이야기라기 보다, 중.고등학교 때 배운 이야기입니다.
    뜨거운 냄비를 만졌을 때, 그 뜨겁다는 정보가 손에서 뇌로 가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즉, 그 뜨겁다는 정보가 뇌로 가지 않고 그 어디(기억은 나지 않습니다.)로 전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즉시 손을 땔 수가 있다고 기억합니다.
    뇌로 전달되어 판단 후 손을 땐다면, 그 손은 벌써 구이가 되어 있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라이딩 도중 넘어지는 것입니다.
    넘어지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부끄러워하지 마십시오.
    보드의 감각은 머리가 아니라 몸이 익힙니다.
    넘어지면 머리가 아니라 몸이 반응해서 다음 상황을 적응시키는 것 같습니다.
    저도 카브 도중에 급한 장애물이 나타나서 피한 예를 스스로 생각해 보면, 머리로 판단해서 피했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결론은 그 넘어짐이 몸의 감각, 즉 실력을 높혀줄 것입니다.

2. 뒤꿈치쪽의 두려움
    발까락쪽이랑 다르게 뒤꿈치쪽 회전(turn)은 눈으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두려움이 많을 겁니다.
    솔직히 저도 그러했습니다.
    위에 말씀드렸듯이 넘어져 보세요.
    두번째에는 그 보다 덜 기울게 되겠고, 그 기울기가 약하다면 스스로 더하게 될 것입니다.

    이번에 확인하게 되었는데, 상체를 앞으로 기울고 하체만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는 분들의 영상을 봤습니다.
    제 주제에 그 분들을 탓할 수는 없습니다.
    저도 그렇게 탄 기억이 있습니다.
    프레스가 더 편했습니다.

    그러나 힐(heel turn)에서는 엉덩이가 허벅지 보다 아래쪽에 있으면 프레스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이걸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상체의 기울기가 중요한게 아니라 힐 턴에서 엉덩이가 허벅지 보다 아래쪽에 있다면 그 프레스는 매우 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프레스가 중요하다면 그 자세도 중요하겠죠.
    프레스는 허리 위로 합니다.

    자동차와 비교해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의 스프링은 허벅지, 무릎은 왔다갔다하는 축으로 생각하시면 이해가 되실런지 모르겠습니다.

    힐컵을 기울게 되면 베이스 라이딩 감이 달라집니다.
    힐컵은 부츠 뒷부분 각도 보다 더 기울지 않으셨으면 하는 바람니다.

3. 상체 각도
    왔다리 갔다리 하면 어지러워서 안되겠지만 고정된 것이면 나쁘진 않겠죠.
    그래도 좋은게 좋은거라 수직이 좋지 않을까요?

4. 슬로프 너비 사용
    에쥐 체인지는 폴라인과 수직일 때라고 생각하십시오.
    그렇게 해서 다음 턴을 못한다면 멈추면 됩니다.
    카브란게 원래 너비가 좁은 공간에서 연습하기 힘이 듭니다.
    에쥐 체인지 시점을 폴라인과 거의 일치시킨다면, 그 것은 쏘는 것이지 연습하는 것은 아닙니다.
    감각을 먼저 익히셔야 할겁니다.

    ※폴라인(fall line) : 슬로프 위에서 공을 놓았을 때, 그 공이 내려오면서 그리는 선. 즉 떨어지는 방향.

5. 스탠스
    제가 예전에 그라운드를 즐기는 사람들을 봤는데, 그 몇은 카브가 약했습니다.
    그 이유는 유효 에쥐(effective edge)를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이었습니다.
    트릭에 관심이 많아 스탠스를 더 넓게 세팅함으로, 유효 에쥐에 프레스가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효 에쥐 바깥 부분을 밟아줘봤자 에쥐가 눈에 박히지 않습니다.
    캠버와 사이드 컷을 만들어 둔 선구자들의 지혜를 배워서 활용해야 됩니다.
    스탠스는 유효 에쥐가 밟힐 수 있는 범위에서 세팅해줘야 카브를 그릴 수 있습니다.
    그라운드나 파크, 하프의 경우는 관계가 없습니다.

6. 목숨을 잃을지도 모르는 모서리 걸림
    앞쪽으로 역에쥐 걸릴 경우 :

    젖가락 엎어지듯 가슴으로 랜딩하기 때문에 숨이 쉬어지지 않습니다.
    숨 쉬려고 노력해 본 건 그 때가 처음이었고 나중엔 익숙해 졌습니다.
    나름의 해결 방법은 옆으로 틀어서 팔둑으로 떨어지면 어떨까 싶습니다.
    해 본 적은 없습니다.

    뒤쪽으로 역에쥐 걸릴 경우 :

    엉덩이로 떨어지더라도 그 엉덩이가 미끄러지면 뒤통수가 다칩니다.
    전 위와 같이 되었지만 헬멧 덕분에 뇌진탕은 면했습니다.
    그러나 거의 일주일 동안 목이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시즌 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고, 안전하게 즐기셨으면 하는 초보자의 생각입니다.

이 글이 잘못된 정보 전달이라면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엮인글 :

잘살아보세

2009.02.04 10:47:00
*.52.65.234

6. 목숨을 잃을지도 모르는 모서리 걸림
앞쪽으로 역에쥐 걸릴 경우 :

젖가락 엎어지듯 가슴으로 랜딩하기 때문에 숨이 쉬어지지 않습니다.
숨 쉬려고 노력해 본 건 그 때가 처음이었고 나중엔 익숙해 졌습니다.
나름의 해결 방법은 옆으로 틀어서 팔둑으로 떨어지면 어떨까 싶습니다.
해 본 적은 없습니다.

옆으로 틀면서 떨어지면 많이 안다치더군요. 저 같은 경우는 라이딩을 하다보면 꼭 한두번은 앞으로 꺼꾸러 지는데..
그럴땐 과감하게 사선으로 구릅니다. 몸을 말면서... 그러면 등으로 떨어면서.. 속도가 확 줄고 고통도 덜합니다
대신..헬멧은 필수인거 아시지요? 뒷머리 부딪치면 정신이 나가면서 낙법이고 머고 없게 되더군요.

앞으로 넘어지실때 한번 해보십시오 의식적으로 몇번하면~~ 나중엔 알아서 되더군요.

A-black

2009.02.04 12:09:53
*.106.208.100

도움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COLONTE

2009.02.04 13:52:02
*.236.176.229

저도 라이딩 도중 앞으로 넘어지는 경우가 몇번 있었고, 지난 12월 첫보딩에서 제 나름대로 옆구르기 하다가 갈비뼈에 금이 갔습니다.
한달간 쉬면서 상체 보호대의 중요성이 떠올랐습니다. 하지만 보드용 상체보호대는 너무 투박하여 라이딩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더군요. 그래서 찿아낸 것이 야구선수용 상체보호대 입니다. 반팔 셔츠에 스펀지(엉덩이 보호대에 쓰이는 것과 비슷한)가 삽입된
것으로 가볍고 두껍지 않아서 부담도 없습니다. 보호부위는 가슴과 옆 갈비뼈, 그리고 등쪽의 갈비뼈 입니다.
단점은 이거 입고 타이트한 티셔츠 입으면 상체근육이 상당히 발달한 것으로 오해받습니다. 휴게실에서 점퍼 벗고 돌아다니면
여자들이 흘끔흘끔 쳐다봅니다.

휠체어공구

2009.02.04 13:58:38
*.88.163.176

옆으로 틀어서 팔뚝으로 떨어질 경우
팔꿈치가 가슴을 가격하여 갈비뼈에 금가게 될 수 있습니다.

숨쉬기 힘들더라도 가슴 + 얼굴(헬멧은 꼭 착용) 으로 떨어지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0708시즌에 한번 실금 갔었고, 올해 1월 초에도 실금가서 3주정도 고생했습니다.

잘살아보세 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구르게 되면 충격이 훨신 덜해집니다만
사람이 많은 주말 보딩의 경우 구를 때 데크가 회전하여
데크로 다른사람을 찍을 수 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곰돌이11

2009.02.04 17:16:39
*.119.196.109

colonte/혹시 그 야구선수용 상체보호대 어디서 구매할수있는지 알수있을까요? 구매하고픈데
어디파는지를 모르겠네요..야구용품점 같은곳에는 없네요..

좀비君

2009.02.04 17:29:03
*.238.51.82

전 야구선수용 상체보호대 들어본적이 없는데요.

제가 사회인야구하고 장비욕심 특히 보호대 욕심이 많은 편인데...


아무래도 이베이를 뒤져보셔야 할듯....

헉스

2009.02.04 18:40:29
*.159.145.38

저 난독증인가요? 왜 이 글이 이해가 안갈까요?

게다가 왜 이글에 딴지글이 안달릴까요?

내가 아는 보드지식과 상반되는 내용이 있는데..

심각하게 고민중입니다.ㅡㅡ;;;

박영태

2009.02.04 20:48:15
*.249.162.30

팔꿈치가 가슴을 가격한 경험이 있다는 ...큭!
시즌 말 조심하세요...

boogie

2009.02.04 22:06:36
*.197.207.130

1.....
신체는 약 30번의 올바른 동작을 해야 기억을 한다고 합니다..
혹시 이말씀을 하려고 그러신건지?? ㅡㅡ?

2. 카빙턴은 횡g 가 심하게 됩니다
엉덩이가 무릎 가까이 내려오는 이유는 횡g 를 버텨 내기 위함입니다.
속도가 빠르고 원의 호가 작고 원의 호를 많이 그릴수록 횡g 는 배가 됩니다.
상체 고정하고 하체만 움직이는건 크로스 언더 입니다
칼럼에 자세한 설명이 있으니 참고 하세요

3. 상체의 각도가 항상 수직이거나 직선이거나 하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자기가 타는 슬로프, 설질, 모글 상태 , 아이스 상태 등등에 따라 여러 스킬을 구사하는것입니다.
몸이 너무 직선이면 특히 모글상태일때 그 충격이 머리로 올라 오죠, 급사면일때는 엣지 세우는게 힘들어 집니다.
몸이 설면과 너무 수직이면 모글이나 아이스를 만나면 넘어지기 쉽상입니다

4. 슬로프의 너비를 넓게 사용하는건 옳바른 자세를 만드는것에 정말 좋은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좁은 공간에서 하기는 힘들다.. 도움이 안된다....
맨첨 숏턴을 입문하게 되면 꼭 해야 할것이 레일투 레일이죠..
빠른 리듬감으로 엣지 체인지를 하려면 필수죠..
"연습하는것이 아니다" 라기 보다는 "카빙에 처음 입문하시는 분은 슬로프를 넓게 써라" 가 맞는듯 생각 해봅니다.

5. 스탠스의 폭이 어깨 넓이 정도 일경우 푸쉬풀턴에 이어진 에어투 카브를 할때의 그 리바운딩이랑 완전 캐 쩔죠~
스탠스의 폭이 좁고 데크의 탄성이 딱딱해 주고 디렉셔널일경우 멋진 라이딩의 맛을 경험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테크의 탄성이 소프트 할경우 제법 프레스 주는 카빙시 사이드컷이 설면에 많이 닿아 버리면
턴이 말려 버립니다 즉 몸이 설면과 평행으로 공중에서 돌아 버리는 사태가 일어나죠
코어가 부러집니다.. (제 데크가 카빙하다 말려서 비명에 가셨죠 ㅠ.ㅠ)
넓히면 말씀대로 프레스가 약해집니다.. 하지만. 카빙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오히려 좁았을때는 노즈의 떨림이 생깁니다만 넓히면 노즈의 떨림이 사라집니다
좁았을때는 빠른 속도의 카빙시 떨림으로 인해 엣지 각을 크게 높히지 못합니다만
넓히면 프레스가 크게 감소하는 대신 안정감으로 인해 엣지 각을 더 높일수 있습니다
좁았을때는 로테이션시 적은힘으로 가볍게 데크의 방향을 바꿀수 있지만
넓었을때는 어지간한 로테이션으론 데크 방향 바꾸기가 꽤 힘듭니다.

6. 역엣지...

넘어지는게 아니라 미끄러 지는겁니다
축구를 예를 들죠 축구 하다가 태클에 걸려서 넘어지는 선수들을 보면 무릎으로 넘어져도 뿅 하구 튀면서 앞으로 슬라이딩 하죠
무릎이 아니더라도 손을 얼굴 쪽이나 가슴쪽으로 가져가 얼굴부상만 살짝 방지 하고 쭈욱 미끄러집니다
백사이드 (힐턴) 시에도 미끄러지세요 엉덩이로 미끄러 지고 뒤통수는 빠딱 드는게 중요합니다.
폴라인 쪽으로 머리를 두고 넘어지게 되면 데크를 설면에 가져다 대서 미끄러짐을 멈추되 산 정상쪽으로 머리를 두고 미끄러지면 절대로 설면에 데크를 닿게 하면 안됩니다.. 미끄러지다가 튕겨서 구르는 수가 있죠.

앞으로 넘어지실 경우 팔꿈치가 충분히 접힌 상태에서 얼굴만 설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시고 배를 앞으로 쭉 내밀어서
배로 미끄러 지세요

혹 어깨쪽으로 넘어지는 사태라면 공중에서 조금이라도 몸을 뒤집어 등쪽으로 떨어져 미끄러 지는게 낫습니다

뒤로 넘어지면 역시 몸을 말아서 엉덩이로 미끄러 지세요 후방낙법을 공부 하시면 될듯합니다
뒤로 넘어지면 뒤통수 다치는건 사실 피할수 없습니다.
헬멧의 중요성이 대두 되죠

구명조끼

2009.02.04 23:46:31
*.80.11.182

상체보호대로 구명조끼 사용중입니다.,..단점 터질수있다...장점 저렴하고 가볍다

슈팅~☆

2009.02.05 00:43:54
*.146.189.245

1번은 추체 회로계 말씀하시는건가요?ㅋ

전 그냥 넘어질땐 그냥 자연에 맞깁니다.. 슈퍼맨도 하고 .. 단... 전박을 먼저 땅에 딪습니다.. 그게 제일 부상위험이 적더군요..

슈팅~☆

2009.02.05 00:44:14
*.146.189.245

추체외로계 인듯..

350z

2009.02.05 11:49:48
*.238.15.30

제가 옆으로 틀어서 넘어져 갈비뼈 3개를 해먹어봤습니다...

상체보호대 중요합니다...

그리고 앞이나 옆으로 넘어질때에는 팔은 뻗는편이 좋은거 같습니다..

거니??

2009.02.05 22:25:28
*.190.0.204

어제 첫 경험이었습니다...

앞으로 넘어지는....

더군다나... 손/팔이 가슴 앞에 있는 상태 였습니다..

턱! 하고 숨이 막히고... 가슴에서부터 코 끝까지 시큰한........ ㅠ.ㅠ

한참을.... 슬롭 면과 사랑을 나눴습니다.....

집에 돌아와서... 가슴 보호대를 생각해 봤는데....

이전에 아이스하키할때.. 보호대가 생각나서.. 창고를 뒤져... 드뎌 찾았습니다.... 하지만...

이넘의 뽕......

어깨뽕이.... 거의 80년대 미스코리아 드레스 수준이군요...

지금은 카터칼을 들고 이걸 뜨더말어 생각중인 1인 입니다...

제 생각엔... 하키용 상체 보호대도 괜찬을듯...합니다.... ^^;;

흠..

2009.02.06 12:53:13
*.94.41.89

1. 아주 위험한 발언 : 옆으로 넘어진다..
- 갈비뼈 or 쇄골을 비롯한 비교적 가늘지만 잘 아물지 않는 뼈가 다치는 중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위에 많은 분들이 말씀하셨지만, 옆으로 구르는 것이 최곱니다!!! 연습하세욧~!

2. 한가지 오해 : 엉덩이로 떨어지면 뒤통수가 다친다.
- 엉덩이 랜딩은 떨어지는 각도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엉덩이 랜딩을 하더라도 머리가 부딪히지 않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단, 본인이 위에서 떨어졌다고 느낄정도일때 머리를 비롯한 수많은 신체부위들이 위험에 직면합니다.

즉, 어느정도의 가속을 동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옆구르기(유사낙법)로 넘어지면 거의 다치지 않습니다.
(단, 노면이 드러난 아이스는 제외.. 눈이 충분히 쌓여있는 슬로프는 상당히 안전한 편이죠)
다치는 경우는 수직낙하, 좁은면적으로 먼저 랜딩 할 경우구요..
수직낙하의 경우에는 철퍼덕하고 드러누워버리는게 덜 다칩니다. 가벼운 타박상 정도...(손이나 발은 펼쳐야 겠죠)
낙법시에는 손을 몸이 붙여줘야 하구요~
제 경우에는 어깨랜딩의 아찔함과 스키어가 노즈만 툭 건드렸는데 저는 하늘을 보고 있었다는...
뭐 이런 경우가 제일 위험하더라구요~

귀찮아서 칼럼을 안쓰게 되는데,
넘어지는 법과 안전보딩하는 법에 대한 제대로된 칼럼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즘.. 이네요...

왕초보

2009.02.09 00:10:28
*.88.49.253

꼬리뼈의 혹사에 이어 저두 숨도 못쉬는 갈비뼈의 통증을 겪고 잇는데 낙법이란걸 어떻게든 연습해야되겠네요 살면서 이렇게 아파보긴 첨이였어요 ㅜ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411 일반 MFM(Marc Frank Montoya) 그를 만나다. file [31] 엘에이 2009-04-06 128 4903
410 일반 무주와 강촌의 스키장들 간단비교~ [31] 정성재 2009-02-14 102 8324
409 일반 보드복 관리, 이렇게 해 보아요 ! :) [19] 라라라링 2009-02-04 61 7683
» 일반 넘어지는건 아무 것도 아닙니다. [16] 1976 2009-02-04 66 6517
407 일반 살로몬 말라뮤트 뒤꿈치 안아프게 만드는방법.. [35] 가로아 2009-01-16 71 9186
406 일반 근육의 데미지를 줄여주고 체온유지 성능 극... [20] 꽃같은보더 2009-01-12 72 6778
405 일반 보더들을 위한 첫DSLR 구입 가이드 (1) [52] tiberium 2009-01-10 49 6138
404 일반 데님보드복 제작했습니다..ㅠ 샘플사진포함! [18] 날아라 2009-01-10 73 9709
403 일반 인터넷 광1고 차단법 (네이버,다음,구글) [2] 가을에내리는비 2009-01-09 64 2435
402 일반 렌즈가 눈에 안맞아 안경 김서림으로 인해 ... [29] 곰돌이짱 2009-01-08 61 9935
401 일반 프리에서 알파인 보드로 처음 타봤습니다...... [37] 방통 2009-01-05 53 13077
400 일반 위성사진으로 본 국내보드장 스케일 비교 [20] 루프트 2009-01-03 62 11031
399 일반 그 정답이 없다는 바인딩각도에 대하여.. [13] 출열보더 2008-12-31 53 17012
398 일반 여러 스타일을 가지게 된 스노우보더... [22] Ricky 2008-12-30 65 7383
397 일반 첫 한국 보드장(성우) 시승 후 느낌 [40] OhSean 2008-12-22 53 8285
396 일반 보드복 세탁(퍼옴 [18] 30번보더^^ 2008-12-18 75 9335
395 일반 시즌보험!!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 [13] ANGLICO™ 2008-12-08 63 5196
394 일반 반다나 만들기...한번 도전해 보았씨요.. [5] 어이쿠 2008-12-04 53 6196
393 일반 자작 인식띠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 [7] 메인보드 2008-12-04 56 4247
392 일반 랜탈데크 사용법(?) [21] 냐옹이 2008-12-03 48 7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