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파이프 죽돌이 10여년 차 개츠비 입니다.

그동안 외국부터 국내의 여러 파이프를 타본 결과 대~충

파이프에 어떠한 데크가 좋은지 감이 오드라구요.

국내 최고의 파이프 베스트 2 를 뽑자면 성우와 대명이죠.

여러시즌 그 두개의 파이프를 타본결과 극명하게 차이점이 있습니다.


첫째로 성우 파이프의 특성.

경사도가 높아 속도가 잘나고, 트렌지션이 짧아 트렌지션 탈때

정신없이 올라가고, 버트가 말려서 90도에 가깝다.

높이는 잘 나오는 편이지만 팝을 주면, 버텀에 떨어지게 되므로

아주 위험하죠.


대명 파이프의 특성.

경사도가 완만하고, 트렌지션이 길다. 트렌지션에서 버트로 올라갈때

편안하게 올라간다. 버트가 다소 오픈된 상태여서 팝을 뻥하고 주지

않으면 립에 걸려 심각한 부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성우에서 다치는 부상자들은 버텀에 떨어지는 부상자들이 많고,

대명에서 다치는 부상자들은 립에 걸려 원쿠션 후 버텀으로

떨어지는 부상자들이 많죠. 지난주 대명오픈 시합에도 부상자들이

전부다 랜딩하다 립에 걸려서 버텀으로 떨어진 부상자들입니다.


이번 시즌 제가 타는 데크들은 09/10 살로몬 오피셜 158입니다.

다소 말랑말랑 하고, 이퀄라이져라는 기술력이 첨가된 보드 입니다.

백사이드 트렌지션 탈때 기가막힙니다.

그리고 다른 데크는 08/09 라이드 Concep UL 159 입니다. 올마운틴

프리스타일 데크로 엄청 빠르고 상당히 하드한 편입니다.



성우 파이프에 좋은 데크

성우 파이프는 앞서 언급했듯이 경사도가 높고 버트가 닫힌 상태죠.

버트가 닫혀서 뉴스쿨 타기엔 아주 좋은 파이프라고 합니다.

높이 쏘기 위해선 팝의 조절을 잘 해야죠. 백사이드에선 어느정도

팝이 필요한데 프론사이드에선 팝을 너무 치면 버텀으로 떨어져

앉은뱅이가 되기 십상이죠.

   때문에 성우 파이프에는 다소 소프트한 데크를 추천 합니다.

소프트 해야지 파이프 버트에서 말리지 않고 쭉 뽑아주고 랜딩도

버텀이 아닌 트렌지션에 가깝게 떨어집니다.

성우 파이프는 소프트한 데크......추천합니다.


대명 파이프에 좋은 데크...

앞서 언급했듯이 대명파이프의 특성은 긴 트렌지션과 다소 오픈된

(Under rotated) 버트 입니다. 팝은 필수 조건이죠. 대명오픈 시합중

인스펙션때, 오피셜로 탔습니다. 첫빵 백사이드 에어때...립에 걸려

넘어지고 말았죠. 프론사이드에서도 랜딩시 립에 살짝 걸치더군요.

다행히 하드한 라이드 컨셉을 가지고 와서 탔습니다. 한동안 탑승하지

않아서 적응하기 힘들었지만 무사히 예선통과를 할 수 있었죠.

...결론은 대명파이프에 좋은 데크는 하드하고, 팝이 좋고,

빠른 데크입니다.


살로몬 오피셜의 플렉스와 라이드 컨셉의 플렉스만을 따지고 봤을땐...

오피셜이 5-6 정도

컨셉이 8-9 입니다.

....저는 원래 상당히 하드한 데크를 좋아합니다만...

성우 파이프의 특성상 그리고 올시즌에는 킥커에 다시 들이데기

시작했으므로...오피셜을 즐겨타는 편입니다.


다음 시즌에 성우 파이프 죽돌이신 분은 소프트한 데크 추천합니다.

다음 시즌에 대명 파이프 죽돌이신 분은 하드한 데크 추천합니다.


2월입니다. 봄처녀의 마음처럼 눈도 말랑말랑해집니다.

마음껏 들이뎁시다.

지극히 짬밥에 의거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다른 의견 있으신 분은 리플환영입니다. ^^
엮인글 :

꼬맹이ㅇrㄱrㅆi

2010.02.09 12:14:29
*.98.188.68

파이프에따라 다른 데크선택이 필요하군요,

파이프 입문자로서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1111

2010.02.09 13:51:38
*.205.49.196

높이 안나오는 대명 파이프 죽돌입니다,,,,ㅎㅎ

대명 파이프 팝은 필수입니다...ㅎㅎ

대명 파이프 너무 아름답습니다....

오늘 비가 와서 클로즈라...

맘이 아파요....

리얼뛰케

2010.02.09 13:58:36
*.33.62.147

파이프는 잘 모르지만,
양 리조트의 파이프 분석은 매우 좋은 정보네요

Gatsby

2010.02.09 15:48:33
*.45.1.73

1111님/ 성우 파이프 프론 사이드월에서...팝을 주면........립오버 됩니다.

그걸 한키반 이상 높이에서 하면..버텀으로 떨어지고,,,그럼 앉은뱅이가 되겠지요...

저도 대명에서 3 시즌을 보냈는데......이번 파이프는 너무 오픈 되었어요....

대명오픈 파이프 시합이라 그런지 ㅎㅎ

volcomsnow

2010.02.09 17:13:18
*.120.95.146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중간 이상은 되는 플렉스중에서 하드와 소프트로 나눈다는 의미인듯합니다.

보통 플렉스냐 하드한 플렉스냐 요걸 말씀하시는듯..

완전 말랑한 데크로 빠른속도에서 파이프를 타긴 좀 불안하겠죵..

jamiepark

2010.02.09 17:20:29
*.178.135.156

1.숀화이트 오퍼레이터 -설명은 생략할께요
2.버튼 커스텀x-설명은 생략할께요
3.버튼 커스텀-설명은 생략할께요

ㅋㅋ

2010.02.09 17:25:55
*.94.41.89

") 위에분 설명도 해주시지 ㅋㅋ

어떤보더

2010.02.12 18:58:06
*.148.169.49

휘팍을 두고 오픈을 논하다니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낙장뿌직

2010.02.12 20:47:46
*.47.168.33

전설의... 대만산 휴대용 드라이버툴 얘기 언제 나오나
조마조마 하면서 읽었네요... 휴~~

오징어

2010.02.14 03:20:43
*.70.143.85

트랜지션 없는 파이프에서 소프트 한 것을 타게 되면

트랜지션 올라가는 순간 데크가 엄청 휘어져서 타기 힘듭니다.

반면에 딱딱한 데크는 트랜지션을 꾹 누르지 못해 에지가 써지구요.

결론은 트랜지션 없는 파이프는 안습.....

트랜지션 큰 파이프에서는 팝 잘치는 분들만 딱딱한 것이 좋겠지요.

팝 잘 못치는 분들은 버티컬에서 에지가 다들 터질거에요. 휨을 버티지 못해서...



그리고 오픈된 파이프는 스핀 아닌 베이직만 하면 안습




사족으로 아주 약간 하드한 데크가 파이프 타긴 좋습니다.



눈빛^,.^ㆀ

2011.01.04 12:56:57
*.134.207.85

파이프 입문 2일차 된 초짜 입니다. 정말 좋은 정보입니다. 감사합니다. ^ㅡ^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611

일반 파우더 스노우의 종류 [12]

일반 첫 한국 보드장(성우) 시승 후 느낌 [40]

  • OhSean
  • 2008-12-22
  • 추천 수 53
  • 조회 수 8285

일반 프리에서 알파인 보드로 처음 타봤습니다...... [37]

  • 방통
  • 2009-01-05
  • 추천 수 53
  • 조회 수 13078

일반 중국 스노우보드 시장 공략법 [17]

일반 바지밑단 완젼간단하게 안끌리기(혹시 나만... [16]

일반 [칼럼아닌 칼럼]스노우보더..그리고 도전정신.. [4]

  • 몽아
  • 2001-11-22
  • 추천 수 51
  • 조회 수 2353

일반 컴터 화면 캡쳐.. [13]

일반 [그누맨] 최고가 뽑은 최고의 라이더 10명..... [9]

  • 그누맨
  • 2002-01-27
  • 추천 수 50
  • 조회 수 2492

일반 [[[ 친구를 보드의 세계로 인도하기!! ]]] [8]

일반 [그누맨]최고가 뽑은 최고의 라이더 10명..... [16]

  • 그누맨
  • 2001-11-20
  • 추천 수 50
  • 조회 수 2885

일반 슬롭에서 할일 또 하나 [9]

  • 모모드
  • 2007-01-20
  • 추천 수 50
  • 조회 수 3494

일반 연변 winter sports이야기 [12]

  • Satellite
  • 2001-12-17
  • 추천 수 49
  • 조회 수 2181

일반 다운, 업 과 프레스의 관계에 대한 저의 생... [37]

  • 피아
  • 2008-01-09
  • 추천 수 49
  • 조회 수 5782

일반 스노우보드의 대중화 [3]

일반 보더들을 위한 첫DSLR 구입 가이드 (1) [52]

  • tiberium
  • 2009-01-10
  • 추천 수 49
  • 조회 수 6138

일반 [韓日Boarders] 나의 허접보드가 점점 좋아진다 [11]

  • 이원택
  • 2001-12-10
  • 추천 수 49
  • 조회 수 3094

일반 [고도칸보더] 스노우보드와 자동차 - 3) 카... [13]

일반 랜탈데크 사용법(?) [21]

  • 냐옹이
  • 2008-12-03
  • 추천 수 48
  • 조회 수 7280

일반 여기저기 지저분한장비 정리해볼겸 "스페이... [28]

  • 지티오
  • 2008-10-17
  • 추천 수 48
  • 조회 수 6306

일반 [韓日Boarders] 중저가 국산 브랜드 "... [1]

  • 이원택
  • 2001-11-23
  • 추천 수 47
  • 조회 수 3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