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시즌 처음으로 장비를 장만하고 이제 막 여섯번째 라이딩을 마치고 왔습니다.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보드 인구와 더불어 주의해야 할 사항도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특히 처음 배우는 친구들과 같이 와서는,

"중상급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알아서 피하니까 걱정 마라."

라며 친구들을 중상급 코스로 데려오시는 분들이 더러 있습니다.

저는 이번 주말 목격한 사례를 통해 초보자가 중상급 코스에서 타면 안 될것 같은 이유를 써 봅니다.

우선 저의 실력은 휘팍 호크1 슬롭에서 적당히 내려오는 정도 입니다.
챔피언은 아직 턴이 제대로 안되구요..ㅜㅜ

어제 오후 였습니다.
세시쯤 되었나..호크에서 열심히 내려오는데 앞에 꼬마 스키어가 보이더군요..
꼬마들 타는거 보면 정말 귀엽습니다.
근데 가끔은 무섭습니다.
실수로 부딪히기 라도 하면 죽을까봐 겁도 납니다.

어제도 잘 보고 피해 가야지 하고 가는데,
도무지 이 꼬마의 활주 방향과 속도가 우왕좌왕 갈피가 잡히지 않는 겁니다.
어쩔 수 없이 급 턴을 해서 피하려다 역엣지 걸려서 굴렀습니다.
다행히 꼬마는 안전히 계속 내려갔구요..
저는 조금 쉬었다 가려고 사이드 슬립으로 가장자리로 피해 왔습니다.

여기까지는 중요한 게 아닙니다.

그렇게 가장자리에서 무릎 꿇고 반성하고..아니 아니 쉬고 있는데,
(전 아래 보고 앉아 있으면 뒤통수가 불안해서 꼭 상단을 보고 무릎꿇고 쉽니다.)
조금 위쪽에서 초보자로 보이는 여성분이 사이드 슬립 연습하시면서
위태위태 내려오다가..역시나..꽈당! 넘어지시더군요.
에구..아프겠다..하고 있는데 정말 아픈지 두어번 일어나려다 실패하시더군요.
그래도 가운데가 위험한 건 아시는지 엉덩이로 엉금엉금 기어서 가장자리로 오고 계셨습니다.

바로 그때 였습니다!!

조금 더 위에서 또다른 초보분이 사이드 슬립 연습하시며 내려오시다 속도가 붙어 버렸습니다.
체격도 좀 있으신 분이었는데, 어..어...하는 사이
데크로 그 여성분 허리 부분을 치고는 앞으로 굴러 버렸습니다.
저보다 아래에서 멈추셨는데 어이없게도 위를 보고는 사과는 커녕 입모양으로 봤을때,
열여덟주문을 외우고는 내려가시는 겁니다. 나참..

그 여성분은 많이 다쳤는지 고통스런 포즈로 계셨는데 바로 뒤에서 남자친구로 보이는 분이 오셔서
그러게 왜 가운데 있냐고 오히려 혼을 내시더군요,
그 여자분 울먹이면서 나도 옆으로 가고 있었다고 그러시고...
저는 보다가 누가 자기들 싸우는거 보는거 알면 민망할까봐 내려왔습니다.

사고사례는 대략 여기까지 입니다.

뭐, 리프트 기다리다가 패트롤이 내려오는 걸 봤는데 그 여자분인지는 정확히 모르겠구요..

쓰다보니 내용이 길어졌군요...
어쨌거나 중요한 포인트는..

중상급자 코스에 정말로 중상급자만 있는 건 아닐 수 있다라는 사실 입니다.
자기가 데려온 친구가 초보자라면 다른 사람이 데려온 친구도 초보자일 수 있습니다.

초급 코스에서야 못 피해서 부딪힌다 해도 경사가 완만해서 그나마 덜 다치지만,
경사가 가팔라지면 속도 제어하지 못하는 초보분들의 위험성은 엄청납니다.

자신과 타인의 안전을 위해 친구들의 꼬임에 넘어가지 말고,
제어가 가능한 슬롭에서 타시기를 권합니다.



엮인글 :

노바

2006.12.11 04:00:43
*.225.93.218

간과 하지말아야할 부분은 보더들 사이엔 이미 중급이라 초보를 지적하고, 초보라고 욕을 먹을 일은 없다는 겁니다.

다만,
실력을 키우려 사이드 슬립을 마스터하고 중급자 코스에서 열심히 연습을 하다 넘어진 초보보더가 지체없이 슬롭 옆면으로 이동을 하는 것과
온몸에 5kg 정도의 무게를 더했을 장식물을 주렁주렁 매달고 모글을 자르며 카빙을 하는 중급보더 여럿이 슬롭 중간에 쳐앉아 노가리를 씹는 것중
과연 중급 슬롭을 쓸수 있는 객관적인 자격은 누구에게 있을것일까요?

사고가 무섭고 경사도가 무섭다면 오르지않겠지만 자신을 발전시키기위해 그보다 상급슬로프를 선택하는건 불가피하다면,
진정 우리에게 필요한건 슬롭 매너라고 생각합니다.

기본이 안되어 있다면, 초급자던 중급자던 슬롭에서 보드를 탈 자격이 없다는 제 짧은 소견이였슴니더 ㅡㅡㅋㅋㅋ

어느정도의 강습 수준을 갖고계신 중급이상 보더님들, 여러분의 곁에 보드를 배우고 보드를 사랑하려는 분들이 있다면,
여러분이 생각하는 가장 보편적인 스키장 매너와, 미안합니다. 괜찮습니까. 두마디 정도는 꼭 가르치시는것은 어떨까요~ㅎㅎ

redSwan님께서 제시해주신 명제가 시즌마다 부각되는 것이라지만, 명쾌한 답을 낼수도 없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칼럼 잘보았습니다~

redSwan

2006.12.11 08:02:56
*.94.41.89

노바님 말씀처럼 실력을 더 키우기 위해 상급 슬롭으로 옮기는 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지적하신 쳐앉아 노가리 부분과 매너 얘기도 당연히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 건 타도 된다 안된다 그런 부분이 아니라,
초보분들에게 초보슬롭 보다 중상급 슬롭이 안전하다고 얘기하며 데려오시는 것들이
어쩌면 훨씬 더 위험할 수 있다는 부분 입니다.

판단은 어디까지나 스스로의 몫이겠죠.

백발노사

2006.12.11 10:30:39
*.229.137.1

맞는 말씀... 모든지 안전이 쵝오~~

비브

2006.12.11 11:13:00
*.150.32.251

슬로프 이용자격의 최우선 조건이자 최소 조건은 자신보다 아래에 있는 다른사람을
다치게 하지 않게 하는 것이고 두번째가 자신이 다치지 않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첫번째 조건만 보자면, 사이드 슬립을 하다 넘어질 수 있다고 해도 슬로프에서 자신의
아래에 아무도 없다면 첫번째 조건에 어긋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들어 본문에서 초보여성보더분과 그 분을 들이받은 초보분은 두 분 모두 사이드 슬립이
잘 안되시는 분이지만 한 분은 넘어지더라도 괜찮은 상황(남을 다치게 하지 않는 상황)에서
사이드슬립을 시도하신거고 다른 분은 사이드슬립을 시도하다 실패하면 아래 사람이
다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사이드슬립을 시도하였습니다.

이런 문제는 꼭 실력과 관계된 것은 아닙니다.
실력이 좋은 분도 사람이 많은 곳에서 속도를 내거나 빠른 속도로 너무 가깝게
추월하는 행동은 이런 조건을 지키지 않는 것입니다.

자신이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내려갈 실력이 되는 것도 당연히 아주 중요합니다만
더 중요한 것은 남을 다치게 할 수 있는 상황과 아닌 상황은 구분하여 그 상황에 맞게
타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날아라가스~!!

2006.12.11 12:04:04
*.8.245.25

일단 옳으신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런 논리로만 모든걸 따진다면 스노우보드를 즐길수 없을것이라는 생각에 제 자신은 반대하는 편입니다. 전 지산이 베이스이지만, 블루 올라가서 놀다보면 여러분이 많이 계십니다. 제가 봐도 정말 블루 올라오실 실력이 안되시는 분들도 정말 많구요. 이걸 일일이 다 지적하다보면 대체 어디서 타라고 말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봅니다. 물론 안전이 최우선이겠지요.
저도 노비님의 말씀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작열하는 태양처럼~

2006.12.11 18:32:29
*.107.214.21

슬로프가 난이도별로 설정되있는것은 스키어나 보더의 실력이 다양하기 때문이겠죠. 각각 자신의 능력에 맞게 타는게 무엇보다도 중요하겠죠
초보자는 초보자 전용슬로프에서 충분히 실력히 증대시킨후 다음 초중급이나 중급으로 단계별 진전을 하는게 정석이겠죠. 이러한 사실은 누구나 다 아는 귀아픈 이야기이지만 지키지 않는 사람이 더 많다는 겁니다. 자기 자신의 실력보다 지나친 슬로프 난이도에서는 경사면에 대한 속도를 제어하지 못한다는게 가장 큰요소겠죠. 속도를 제어못한다는건 공포심을 그만큼 느끼게 되겠죠.
자기자신에 가장 맞는 슬로프는 자유자재로 자신의 공포심이 극복되고 제어가 충분한곳이겠죠. 그런다음 한단계로 진보적으로 나가야겠죠.

아리잠

2006.12.11 19:49:14
*.233.51.70

진정 우리에게 필요한건 슬롭 매너라고 생각합니다.

기본이 안되어 있다면, 초급자던 중급자던 슬롭에서 보드를 탈 자격이 없다는 제 짧은 소견이였슴니더 ㅡㅡㅋㅋㅋ

->삼만팔만표.

춤추는보더

2006.12.11 21:57:10
*.243.210.147

정말 초급슬로프이건 중급슬로프이건...
슬로프 중앙에서 판깔아 놓고 러브 스토리 찍거나 만담 펼치는 사람들 보면 가서 들이받고
싶은 생각이 굴뚝같음... -_- 제발 기본적인것좀 지켰으면 좋겠음...

kiss

2006.12.11 23:31:51
*.225.156.59

위분에 말씀 동감합니다
기본을 지키고 삽시다 러브스토리=염장+겁대가리상실?

마르스

2006.12.12 10:22:34
*.55.53.186

휘팍 챔피언에서 내려오다가 무서워서 죽는줄 알았습니다...슬롭 중간에 옹기종기 모여서 앉아계시는 분들...왜 기본적인걸 모르는 건지...

영자씨

2006.12.12 11:09:32
*.52.141.162

초급은 경사가 완만해서 사이드슬리핑이 잘안되서 중급와서 연습한다는분들 많으신데 그런분들 대부분 왁싱 제대로 안된 랜탈보드인분들이 대부분이더라구요.

진짜 재대로 배우실 생각이면 왁싱된 보드를 빌리시던지 장비를 사서 왁싱을 하시던지해서 오심 초급에서도 잘 쓸립니다..

걍 재미삼아 한두번 오신거면 괜히 보드타서 여러사람 피곤하게하지말고 스키빌려서 A자놀이를 하실껄권합니다..ㅋ

저도 첨오는친구들 같이가면 한두번타고 말꺼면 폼잡을라고 보드타서 고생하지말고 스키타라고 권합니다.

튀김만두

2006.12.12 21:11:32
*.19.46.120

중급에서 연습하는 것은 사이드 슬리핑이 아니라 낙엽을 연습해야 하지 않나요? 개인적으로는 막 배우려는
사람들에게는 보드 배우는 것이 만만치 않아서 렌탈을 권하고 있습니다. 렌탈보드로 충분히 베이직 턴까지 가능하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렌탈보드로 알려주기는 하지만 중급에서 사이드슬리핑을 연습한다는 것은 약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초보분들 사이드 슬리핑 하다보면 보드를 너무 돌리는 관계로 활주 상태로 진입하시는 분이 많거든요.. 문제가 있습니다.. 중급에서는 낙엽을 사이드슬리핑 베이직턴은 초급에서 물론 낙엽도 사이드에서 안전하게... 가운데는 위험합니다.

ㅎㅎㅎ

2006.12.12 21:49:31
*.54.22.30

원래 남자가 여자보다 시야가 좁습니다.(그래서 교차로 교통사고도 남자가 더 많습니다.) 남자분들은 자신의 눈을 과신하면 안되죠. ㅋㅋ 대신 여자보다 더 먼 곳은 잘 보겠지만요. 쏘실분은 양 사이드에서 갑자기 튀어나올 물체도 예상하셔야됩니다. 앞에분 따라가시지 말고 동물적 반사신경이 안되신다면 속도를 늦추세요.

정어리

2006.12.12 23:54:01
*.47.132.89

상급에서는 사이드슬립도 장난 아니죠. 잘못 하면 튕겨 나자빠지거나
속도 제어 안되기 일쑤입니다. 엔간하면 중상급 슬로프에는 초보자분들
가지 마세요. 최소한 어떤 상태에서건 급정기 정도는 자유롭게 할수
있을 때 올라가세요

훔..

2006.12.13 14:18:35
*.243.5.20

현재의 자동차가 시속 200~300 키로 이상 달릴수 있는 이유는 단순히 엔진이 좋아지고 미션이 좋아져서가 아닙니다.
어떤 상황에서든 멈출수 있는 제동력이 뒷받침이 되기 때문에 더 빨리 달릴수 있는 겁니다.
초보분이던 고수분이던.. 자신이 선택한 슬로프에서 자신의 데크를 제어 할 수 있는 선까지만 달려 주세요~

..

2006.12.13 23:15:15
*.237.210.52

마지막 리플이 최고인듯 싶은데..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선 멈춤(서행)" 보다는 "요리조리 피해가볼까" 를 먼저 생각한다는거..

요리조리 피해볼까를 생각한 후 답이 안나오면 제동을 시도하는데 그때는 이미 늦는 경우가 많지요.

지금까지 목격한 대형 사고들이 대부분 이러한 경우에서 나오더라구요.

우선 멈충(서행)을 생활화한다면 대형 사고는 피할수있다고 봅니다.

자신의 속도 유지하며 즐기는거보다는 상대의 안전이 우선입니다. 꼭 지킵시다.

S-카빙

2006.12.16 21:28:30
*.50.34.88

저는 초급슬롭이 제일 좋아요..타기도 편하고 안전하고..

초보보더

2006.12.20 22:49:04
*.220.25.31

사람의 됨됨이가 문제이지요. 그리고 기분이 나쁘셨다면 이야기를 나눠보시지 그랬습니까? 무조건 입에서 좋지 않은 말이 먼저 나온 그쪽의 실수도 있겠지만 인과를 따져본다면 꼭 그렇지 않을거라 생각됩니다. 무조건 자신 입장이 옳다는 식은 없는 겁니다. 차사고가 100%과실이 없듯이 자신의 과실이 없다고 절대 말을 못하는 거죠. 갑자기 아이가 튀어나와서 차여 치여도 운전자는 위험요소인 차를 소유하고 주행하고 있기때문에 과실이 생기는거죠.
보드나 스키를 타는 것도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언제나 사고를 품에 안고 계신다고 하시면 사고 가 나지 않았어도 위험요소를 가지고 계시기에 먼저 사과하고 인사하는 습관을 가졌으면 하네요.
그리고 초보자도 탈자격이 충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초보나 상급자나 중급자나 서로 조심하면 되는거지요. 앉아 있는 사람을 피하지 못하는 것도 과실입니다. 못봤다. 왜앉아 있냐? 이런건 통용이 안되는 겁니다. 슬로프에 앉아 있는게 잘못이긴 하나 활강하는 쪽에서는 더욱 전방주시나 조심하면서 보드를 타는것이 먼저가 아닌지 생각하고 남 신경 왜 씁니까? 자기 인생 행복하게 살기도 바쁜데
그럼 짧은 말 찌그리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58
120 헝그리 캠페인 렌탈 보드 타시는분들께 드리는글 [49] kosha 2006-02-16 2 5098
119 헝그리 캠페인 리프트 승하차시 예절을 지킵시다 [20] Lunatrix 2004-01-27 26 4991
118 헝그리 캠페인 오늘 경찰서에 갔다왔습니다.(형법 제347조 ... [10] S2호야S2 2005-10-11 7 4988
117 헝그리 캠페인 개처럼 사육당하자 [27] 육보드 2006-02-08 15 4983
116 헝그리 캠페인 필요한 건 예쁜 비니가 아니라, 툴(Tool) 과... [26] 환타_ 2005-11-25 10 4948
115 헝그리 캠페인 초보보더분들의 상급슬로프 이용에 대해.. [29] FU로그너 2007-01-17 23 4925
» 헝그리 캠페인 초보자가 중상급 코스에서 타면 안 될 것 같... [18] redSwan 2006-12-11 9 4912
113 헝그리 캠페인 사기꾼 검거했을때의 올바른 대처법 [17] 파빌리온 2006-11-18 20 4877
112 헝그리 캠페인 오늘 성우 갔다와서 느낀점.. [16] 레몬 라임 2007-01-14 24 4755
111 헝그리 캠페인 보드 안타는 주변사람들을 사이코로 만들자. [29] 미나리나라 2006-10-24 21 4696
110 헝그리 캠페인 스노우보드가 아니라 『스노보드』가 맞습니다. [54] 언히터블 2005-11-08 2 4540
109 헝그리 캠페인 보드를 착용하고 리프트 탑시다.. [85] Derek 2003-12-09 3 4495
108 헝그리 캠페인 극초급자와 함께 스키장을 방문하시는 분들... [20] 우야여요 2006-11-17 40 4476
107 헝그리 캠페인 눈~~~ 많이온날 보드장 주차장에서 차가 빠... [37] look 2005-10-31 10 4451
106 헝그리 캠페인 스키장에서 충돌사고와 그 이후.. [31] [귀빈] 2007-01-04 25 4439
105 헝그리 캠페인 보더들의 지침서 [18] 까앙 2007-01-31 30 4399
104 헝그리 캠페인 초보자는 말그대로 초보자입니다 [73] 핑핑 2006-11-16 46 4397
103 헝그리 캠페인 헝글여러분~~ 제발 이러지는 맙시다!! [35] Fiesta 2006-11-17 23 4389
102 헝그리 캠페인 베어스 타운 리프트 줄서기 [8] 3˚엣지; vIr~Go 2005-12-24 10 4348
101 헝그리 캠페인 [캠페인]헤드폰을 착용하지 말자!! [84] adnprs 2003-01-16 11 4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