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정형외과 의사로 손목 보호대에 대하여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일단 뭐 좀 귀찮은 관계로 손목 보호대와 골절에 대한 논문 같은 것은 찾아보지 못했습니다 -_-;; 개인적인 의견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요즘처럼 춥고 눈이 많이 오면 길이 미끄럽죠?

눈이 오고 나면 응급실로 입원하는 환자 중 많은 경우가 빙판길에서 넘어지면서 손목이 골절되어 수술을 받게 됩니다

이런 경우 손목 골절의 양상을 보면 대략 제 경험으로는 90% 이상이 과신전 (손목을 위로 젖히는 것)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사람이 넘어지게 되면 자신도 모르게 손을 땅에 짚으려고 하는데 그러면서 손목이 과신전되어 골절이 됩니다.

이런 골절의 경우 골절각이 주로 손바닥 방향으로 생기게 됩니다

골절각이 손등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비교적 드문 경우이기 때문에 레지던트 저년차 선생님들에게

'이런 골절을 뭐라 부르지?'라고 자주 질문을 하지요

보드를 타다 넘어지는 경우도 크게 다르리라 생각되지 않습니다

대부분 넘어지면서 손바닥을 땅에 짚게 되지요

손목 보호대는 이러한 과신전을 손바닥에 있는 플라스틱(?) 같은 단단한 물질이 제한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보호대를 하는 것이 보호대를 하지 않는 것 보다 훨씬 효과적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또 게시판을 검색하다 보니 어떤 분들은 손목 보호대를 하면 팔이 부러진다고 하던데....

글쎄요... 만약에 손목 보호대를 하고 팔(하완골)이 골절될 정도의 에너지라면 보호대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팔목이 부러졌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손목은 관절입니다. 하완골은 그냥 기다란 뼈이고요

만약 저에게 '둘중 어디가 부러질래?' 라고 물으신다면 저는 당연히 '팔이 부러질래요' 라고 대답합니다

관절 부위가 골절되게 되면 관절면이 손상되고 관절면을 정확히 맞추지 않게될 경우 관절면에 턱이 지게 됩니다

턱이 지게되면 움직일때 연골에 손상을 주게됩니다

연골의 경우 한번 손상을 입으면 다시 재생이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구요

관절면을 침범한 골절은 그렇기 때문에 다른 일반적인 골절보다 수술도 어렵고 예후도 좋지 않습니다

얼마전에도 저희 병원에 보드장에서 넘어지면서 손목이 골절되신 분이 입원을 하셨는데 제 환자는 아니였지만

지나가면서 슬쩍 손목보호대 하셨냐고 물어보니 안하셨다고 하더군요

여기 계신 분들이 대부분 젊은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호대가 만능은 아니지만 잃는 것보다는 얻는 것이 더 많습니다

그놈의 간지 때문에 또는 귀찮고 불편해서 '몸은 20대 관절은 80대'를 원하는 것은 아닌지 한번 생각해보세요

안전 보딩!
엮인글 :

김현진

2010.01.12 18:50:21
*.101.246.92

잘봤습니다. 안전보딩yo.

슛팅스타

2010.01.12 18:59:07
*.113.199.98

제가 하고싶은말을 잘 적어주셨네요~

제주위에도 손목보호대를하면 더다친다는 말도안되는 헛소리를 듣고와서는

한번넘어져서 손목부러진뒤에 깨닫는 사람도있습니다.

제발 보호대는 할수있는한 전부다 하는게 제일입니다..

다치고 후회하지말자구요~

간지는무슨... 죽고난뒤에 저승가서 간지생각하실겁니까?

goodtoread

2010.01.12 19:15:23
*.6.217.251

좋은 글일 뿐더러 읽기도 편하고 ㅋ, ㅎ, 기타 잡 이모티콘도 없어 깔끔하게 잘 봤습니다.

ㄴㅁㅇ

2010.01.12 19:32:04
*.151.107.193

보드타다가 주상골골절발생...

부러진지도 모르고 타다가 시즌오프후 알게되어

엄청난 고생을 한후

손목보호대는 무조건 착용..

스크래치

2010.01.12 21:39:51
*.230.66.130

손목보호대를 하면 더 다친다는 말은 모순이 있지만, 제가 기억하기론 원래 그 말은 "손목 보호대만 믿고 계속 땅 짚으며 타다가 속도가 늘어서 버릇처럼 땅을 짚으면 더 다친다."란 의미였던 것 같습니다.

손목 보호대는 중요합니다.

다만 잘못된 자세를 고치지 않고 계속 그것에만 의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태윤킴

2010.01.12 22:31:31
*.174.85.202

매우 좋은글입니다.

감사합니다. ^^

콩자반

2010.01.13 00:27:54
*.158.146.37

저도 한번 부러진후 엉덩이 손목보호대없으면 무조건 보딩안한다는...

처음부터 이랬다면 흑

후회됩니다 ㅜ,ㅜ

Jerry

2010.01.13 01:54:23
*.199.245.104

손목보호대 필착해야 겠네요. 글 잘 봤습니다.

응삼보더

2010.01.13 05:21:41
*.5.171.172

제동생이 보드타다가 손목 관절 부근이 부러진적이 있는데...

병원의사선생님께서 뼈가 정확히 붙지 않으면 나중에 손목 움직이는데 지장이 있을수도 있고...

많이 어긋날을 경우에는 수술을 해야하는데... 일단 뼈가 보이게 살을 째고 뼈를 다시 부러트려서... 오글오글..

재접합해야 한다더군요... 다행히 제대로 붙어서 지금 생활하는데 지장도 없고 운동도 잘 하지만...

그때 응급실에서 뼈맞춘다고 팔빠질정도로 당기는데.... 응급실이 떠나갈듯한 비명소리.. ;;; 아악..!!

보호대 꼭 합시다...

봉구

2010.01.13 17:05:27
*.238.252.122

저는 바닥을 짚지 않고 덤블링을 하는 관계로 패스

나는오늘좀달려야겠다

2010.01.13 17:23:31
*.88.205.75

공감 100배..
이번 시즌만 해도 손목 다칠뻔한게 몇번인지..
손목보호대에 캓

leeho730

2010.01.13 19:09:19
*.23.218.211

공감 100배.. (2)
다른 것도 중요하지만,
최소한 손목보호대와 헬멧은 필수라고 생각되네요.

내비둬라

2010.01.13 20:53:32
*.254.177.234

손목 보호대도 중요하지만

넘어질때 손을 안 짚고 온몸으로 넘어지는 버릇이 중요할거 같네요..

좀 속도 내다가 넘어질때 손 짚으면 어깨랑 주관절이 꺽이는 고통으로...ㅡ.ㅡ;;;

저도 한번 데이고 그후엔 온몸으로 넘어진다는...ㅡ.ㅡ;;

쪼쪼

2010.01.14 00:49:20
*.244.221.1

보호대...ㅠㅠ 준비 운동도 철저히 하셔야 합니다..
오늘 토턴 하면서 바닥을 손으로 짚다가 어깨 늘어난 1人

Kayden4fun

2010.01.14 12:58:03
*.10.158.65

매우 논리정연하며, 보호대의 필요성을 팍팍 어필하는 글이네요.
바로 어제 보호대 구매한 사람으로서 기분좋습니다!^^

개개끼

2010.01.14 14:07:45
*.125.160.252

이거 읽고 갈걸요 ㅠ 어제 여자친구 손목 부러졌는데 ㅠ 흑 ㅠㅠㅠ

스닉

2010.01.14 17:19:11
*.15.154.29

좋은 글 감사합니다 ^^

Robin

2010.01.15 20:28:55
*.232.157.169

다좋으신 말슴인데...현실적으로는 장갑안으로 손목보호대를 차기가 어려워서...

까망아이

2010.01.16 15:30:47
*.110.199.17

장갑이 왠만히 크지 않으면 손목보호대 착용하기 힘들지요.

최근에 저도 손목이 겹질러서 한쪽만 차고 다니는데.. 장갑이 터질 것 같네요. ㅠ.ㅠ

리선생

2010.01.16 16:10:28
*.10.42.135

손목 보호대 어떤게 좋을까요?/????

궁금남

2010.01.18 10:24:31
*.57.165.251

음 전문적으로 말씀하시니 정말 믿음이 가는군요..불편해도 꼭하고 보딩해야겠네요..좋은글 감사요~~

c32amg

2010.01.20 12:41:18
*.170.114.147

근데 손목보호대 끼고 장갑이..... 참 제한적이더라구요.
어떤 손목보호대가 좋을지.

OhSean

2010.01.21 20:40:24
*.50.20.41

머리,엉덩이,무릎,손목
이중에 유일하게 손목 보호대를 올해 졸업시켰습니다.
몸으로 넘어지는게 의외로 몸에 배더군요.

이해진

2010.01.22 13:19:19
*.45.169.15

제 여자친구는 손목보호대를 했음에도..손목이 부러지는 사고를 당하였죠...
손목 안부러질려고..손목보호대 했는데..
손목이 부러졌다면..손목보호대의 문제가 아닐까 하는데..
헝글가족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보호대 문제라면.. 소송..ㄱㄱ씽! ㅋㅋ

리군

2010.01.24 00:17:20
*.158.61.5

'')혹시 보호대도 부러지지 않았는지.. 부러지지 않는 다카인 정도면 손목도 안부러질텐데요;

저도 손목관절이 여섯조각 나는 사고를 당했는데 수술해서 뼈 맞추고 밖에서 안으로 심 세개 밖아서 뼈 고정후 6주 정도 후에야

완치가 됐습니다.. 물론 심은 밖에서 뽑고요;

보호대를 장갑안에 차기 위해서 장갑을 한치수 큰거사라고들 하는데

파이프 끼실분은 보호대를 한치수 크게 사서 밖에 끼길 바라고 기타 장갑은 안에라도 꼭 끼시길 바랍니다~

지나가다

2010.01.24 17:40:18
*.92.70.18

그래서 저는 제 버튼 임팩트 글러브에 항상 감사 하고 있습니다 ^^;;

초보운전

2010.01.26 11:09:03
*.131.144.45

항상 조심....또 조심 안전하게 라이딩 하세요!!

개발에 편자

2010.01.26 18:35:03
*.30.253.160

저도 항상 손목보호대를 착용하고 있습니다.ㅋㅋㅋ
제가 디카인 손목보호대를 사용하는데 내구성이 약한것같습니다. 제가 험하게써서 그러가요.?
그래도 손목보호대 중에서는 비싼것인데... 다음에는 튼튼하것을 사용하고 싶은데 추천해주세요.
참고로 저는 시즌중 보드를 거의 매일 오후 야간을 쉬지않고 타고있습니다.ㅋㅋㅋ (파크를 많이 타요.)

라임펜

2010.01.27 08:29:29
*.146.16.109

음.. 손목 보호대를 하지 말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 저의 의견이 아니니 테클걸지마세요.

----------------------------------------------------

손목보호대를 하지 말라는 의견이 왜 생겼는지 보면,

일단, 넘어지는 자세 교정이 안된다는 의견이더군요.

보호대를 하면 항상 손으로 넘어져버릇 해버리기 때문입니다.

보호대를 안하면, 어느정도 손목으로 넘어져 보다가,

안되겠다 싶어서 온 몸으로 넘어지는 단계가 오겠죠.

그런것을 생각해서 손목 보호대를 오히려 하지 말라는 의견도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므너

2010.01.30 02:41:31
*.68.125.55

모든 보호대는 당연 다 해야 정상입니다.

헬멧, 엉덩이, 손목, 무릅, 척추까지....

뇌진탕에 허리 골절 당한 뒤로 꼭 모두다 하고 나갑니다.


옥션에서 손목보호대 4800원에 파는것 괜찮습니다.

에어워크라고 파는것이 5800원인데 똑같은거 에어워크 아니고 4800에 배송비 붙어 팝니다.

왕창 사다가 지인들에게 5000원에 파세요 ^^

므너

2010.01.30 02:42:55
*.68.125.55

그리고, 메이커 장갑 말고,

그냥 넉넉한 아무 벙어리 장갑끼세요.

한 씨즌 쓰면 어차피 장갑 다 헤어지구,

그랩 잡으면 파이프 장갑 일주일이면 다 찢어집니다.

넉넉한 벙어리 메이커 없는거 사다가 한 시즌 타고 바꾸는게 좋을 듯..

한규형

2010.02.08 02:39:30
*.243.117.242

흑... 전.. 손목이 아파서 엑스레이 찍었떠니 손목뼛조각이 발생했다는.. 휴...

용갈통뼈

2010.02.09 15:22:53
*.199.124.8

지난 주말에 현대 성우 가면서 근처 렌탈 샵(프X스X일)에 갔습니다. 같이 데려간 후배를 대신해서 보드복이랑 장비랑 보호대 챙겨주면서 손목 보호대를 물어 봤는데(렌탈 품목이 아니라는 걸 깜빡했습니다. ^^;;) 손목 보호대를 하게 되면 손이 부러질 위험성이 더 높다면서 비추하더군요. 고개를 갸우뚱하면서 이상하다는 표정으로 봤는데 그런다고 그러길래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나왔습니다.
후배에서 넘어지는 법 할 땐 일부러 버릇 들까봐 제 손목 보호대를 주지 않고 나중에 제 것을 주었는데 그 샵에 이젠 안가야겠네요 ㅡ.ㅡ

무한창조

2010.02.18 14:56:18
*.45.0.67

보호대 꼭 하고 타야겠네요.

무릎이랑 엉덩이는 타서 자주 부딪히는 부위라 꼭 하고 있는데 손목은 안 하고 탔거든요.

앞으로는 꼭 하고 타야겠네요.

찰스보더

2010.10.18 17:47:48
*.44.138.9



손목보호대를 하면 부상위험을 줄일순있씁니다.

하지만 부상빈도는 더 증가할거같아요

보호대를 끼게되면 보호대를 믿고 넘어지길 마련입니다. 하지만 손목같은경우는 관절이죠..

보호가 잘 된다고하여도 관절은 약하죠...

넘어지는법을 잘 배우던가, 손목을 안짚는게 최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호대를 믿고 넘어지지 말라는 뜻이죠... 보호대는 최후에 보조장치일뿐입니다. 너무 믿지 마세요.

호접몽

2010.11.15 15:59:27
*.107.37.152

여러번 손목보호대를 통해 위기를 넘긴 적이 있다면, 이것을 몸이 기억 하게될 확률이 높습니다.

손목보호대를 믿고 손으로 짚으며 넘어지는 습관이 드는 것이지요.

저 역시도 찰스보더님 말씀대로 관절은 약하니, 손목을 안짚는 것이 최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초보분들은 손으로 짚으며 넘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넘어지는 연습을 좀 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넘어지는 연습은 스트레칭과 더불어 라이딩 연습만큼이나 중요하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