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여러 게시판에서 덕스탠스에 논쟁이 새삼 나오고 있습니다. 이 논쟁은 사실 몇년째 계속되오고 있고, 미국이나 일본에서도 똑같이 뜨거운 감자 입니다.
예전에 제가 일본 보드잡지에서 본 내용이 있어서,제가 부족하게나마 몇가지 적어보겠습니다.

김성배 프로님 칼럼을 보면 위슬러 정형외과 클리닉에서 덕스탠스로 인한 무릎부상을 지적했습니다. 신기하게도 예전에 일본에서도 같은 내용의 기사가 잡지에 실린적이 있는데요, 덕스탠스가 무릎부상의 원인이 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번역된 내용을 읽었는데, 의사들은 덕스탠스의 무릎 부상을 지적한 반면에 보더들은 덕스탠스를 더 선호한다는 내용입니다.

덕스탠스는 스위치 기술의 선두주자 였던 피터라인이 90년중반부터 크게 붐을 일고 왔다고 합니다. 그전에는 프로들의 비디오를 보더라도 두발다 플러스 각도가 전부였구요.
테리에 하콘센 같은 프로는 요즘도 양발 플러스로 탑니다.

덕스탠스에 대한 결론은 아직도 명확히 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명백한 사실들을 몇가지 나열해 본다면

1. 공격적인 라이딩에는 양발 전방각이 유리
2. 하프파이프 라이딩에서도 양발 전방각도 유리 (테리에 하콘센의 말)
3. 덕스탠스에서 무릎 부상이 많은 것은 통계적으로 사실
4. 실질적으로 전방 라이딩이 9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양발 전방각을 권장

잡지에서 나온 대로 의하면 양발 전방각도가 여러모로 우세합니다.

저도 덕스탠스 타는데, 무릎부상 난다는 소리 들으니 은근히 두렵..ㅋㅋ(겁쟁이모드)
엮인글 :

보드는

2006.12.19 16:20:39
*.131.136.122

스노우보드에서의 시야는 힐턴시 확실히 좁습니다.
지금 가는곳을 보는것은 문제가 없지만.. 가야할곳을 미리 보기는 무척 힙듭니다.
만약에 가야할곳이 보인다면 어깨가 너무 많이 오픈되어서 힐턴이 완성되질 않습니다.
(슬립이 생길 확율이 많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턴은 사할강이 아닌 턴을 말합니다.

시야가 확보된다고 하시는 분들의 라이딩을 한번 보고 싶네요..

뻥식이♡

2006.12.19 18:34:52
*.159.231.180

자신에게 맞는 스탠스와 각을 찾는것이 문제아닐까요????????????????????????????????????

그리구..
레귤러이지만-_-토우턴시에 뒤를 살짝 확인하는건 저밖에 없나요? 다들 말이 없네요-.-
힐턴시에 확인한다는말만.......;;

악마오빠

2006.12.19 21:09:31
*.140.36.131

저같은 경우엔 골반이 열려져 (보통 양반걸음 하시는분들) 발을 안쪽으로 모으면 삼각형 만들기도 힘들지만

바깥쪽으로돌리면 90도90도 까지 자연스레돌아가는걸 봐선 덕이 어쩌면 더 자연스러답고 할수 있지않나요

그래서 스키는 절대 못타요 삼각형이 안되서리...

이런분들 꽤많으실텐데 11자로 할려면 강제로 안쪽으로 모아야 11자가되고 평상시 10시 2시 방향은 자연스러

움... 모르게땅...ㅡㅡ;;

스우스

2006.12.19 21:48:49
*.254.65.196

얼굴그림님 말씀처럼 덕스탠스에서도 충분히 로테이션이 가능하고 그렇게 하고 계시겠지만,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전향각보다는 덜 혹은, 조금 어렵게 돌아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상대적인 비교일뿐이지 안 된다고 하지는 않을 겁니다.

빵식이님 말씀처럼 토턴에서도 역시 진행방향 전진-후방을 확인해야하는데, 이는 고개가 쉽게 돌아가므로써 전향각이나 덕스탠스에서나 별 문제가 없기 때문에 굳이 논의되지 않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악마오빠님 말씀처럼 대게 발끝이 조금 벌어지는 게 편안하다고 합니다. 특별히 피존-토(pigeon-toe)라고 해서 발끝이 모이는 경우가 있지만 우리나라 사람 중에 그런 사람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군요.

하지만, 발끝이 벌어진다는 게 덕스탠스로 바로 이어지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전향각 스탠스에서도 앞발 각도가 더 많이 벌어지므로써 발끝이 벌어져 있기 때문이죠. 두 발 끝이 벌어진 정도가 평균 15도 정도가 해부학적으로 자연스럽다고 하지만, 사람에 따라서 더 작을수도, 더 클 수도 있겠죠.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전향각 스탠스에선 그 벌어진 정도가 과하기 어려운 반면, 덕스탠스에선 +18/-12도처럼 해서 결국 총 30도 혹은 그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가 흔하므로 문제가 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Jp/J StuDio

2006.12.19 23:39:31
*.177.18.232

무릅에 무리는 덕 스텐스 임에도 불구하고 상체 오픈이 되면 뒤쪽 무릅(레귤러 기준 오른 무릅) 에 무리가 오는거 아닌감요...

뒤틀리니까...

그리고...덕 스텐스에서 오픈 안하고 타면...무릅보다는 목에 무리가 올듯한데요...

저는...10년중...5년 정도는 덕으로 닫고 탔고 5년정도는 열고 탔습니다...

현재 부작용은...ㅡㅡ; 목이 오른쪽보다 왼쪽으로 더 잘돌아 간다는거...ㅡㅡ;

ㅅㅇ

2006.12.20 04:08:55
*.103.67.10

저도 덕이고 작년에는 21 -15인가 이걸로 탄거 같은데 기억이 가물 ㅡ.ㅡ
올해는 18 -12 이걸로 탔는데
이번에 가면 계속 바꾸면서 타봐야겠네요.

작년에 하프 깔짝 들어가 봤는데 하프는 덕스텐스가 많이 불편한거 같더라구요.

참나

2006.12.20 10:15:37
*.64.13.38

참나,

스키와 비교해, 힐턴시 시야가 제한될수 밖에 없다고 하는데...
당연히! 앞을보고 가는, 스키어와 옆으로 가는 보더...
당근 뒤통수쪽인 힐은 힘들져... 고개가 더안돌아가는건 초딩이상이면 누구나 알죠. 지금그거가지고 논의하자는건 아니지 않습니까?

보져....줄 맞출때, 옆으로 나란히 하면 옆사람 못봅니까?

옆쪽 즉 보딩에서의 진행방향쪽, 시야확보는 문제가없습니다. 즉, 보더도, 스키어도 시야확보는 문제없단 말이져,
그와함께, 스키어나 보더나 확보된 전방시야에서 시야각내에 있는 좌,우는 충분히 감지가능합니다.
(아니 진짜 이런 시야확보... 기본적인게 안되는상황에서 보드란 스포츠가 어떻게 존재한단 말입니까?)

단,

*시아에서 벗어난부분*에있어서, *확*인*할때... 스키어의 경우 좌, 우 살짝 고개를 돌려서 시야외 상황을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합니다.
단, 보더의 경우, 좌,우 살짝 고개를 돌려서 시야외 상황을 추가적으로 확인하는데 있어서, 토우쪽은 용이하나, 힐쪽은 한계가 있습니다.
당연 위의 초딩도 아는 예와같이 어깨밀고 고개 비틀어 확인할수 있는이상의 부분은 당근 못보겠죠... ㅡ_-

이런 라이딩에 있어서 발생할수 있는 *추가적*시야확보부분에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
보딩의 힐쪽시 시야확보제한이라는 근본적으로 중요한 라이딩의 시야부분의 한계로 설명하기엔 무리가 있는거죠.
위에서 누군가 위에서 말씀하셨듯이, 이런부분은 청각,눈동자 등으로 충분히 커버할수있는 부분이죠.

결론은, 힐턴시 시야확보는 문제없다.

하지만 힐턴땐 왼쪽(레귤)으로 돌리긴 힘들기때문에,
라이딩시 발생하는 시야에서 벗어난 부분의 충돌,기물등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스키나 보드의 토우처럼 힐끗 고개를 좌측부분을 힐끗 고개를 돌려서확인하기는 힐은 조금힘들다.
하지만 이것이 라이딩의 시야확보로보기엔 힘들고, 다른 감각으로 커버하면 충분히 사고를 줄일수 있다.
만약 진짜로 그렇게 힐턴시 시야확보의 한계가 있다면, 누구나 시즌중 10번이상은 충돌경험을 가져야 하는데,
몇년째 충돌한번 안하고 타는 나는 뒤에 눈이 달린것인가?

우리가 강조할건, 안전에 대한부분...기본적인 라이딩 습관에 관한부분....

미리 자기가 라이딩할 5,6턴전부터 그부분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멀리보며 전반적인시야확보)하며 안전에 유의하며 타쟈.
사람들 많거나 할때는 *지*랄하지말고 조심해서 타자.


아참, 급왜갈님. 非Logger는 쌩까세요...ㅋㅋ

삐삐콜라

2006.12.20 16:28:05
*.211.111.105

남이 한다고 해서 저도 따라해봣죠..... 힐엣찌 급정거할때 살짝 모글에 팅기면서 오른쪽 무릎 찌릿.
시즌접는줄알앗습니다. 덕스텐스에 간겁니다... 역시 보딩은 똥인지 된장인지 먹어봐야 아는거지요.
남들이 암만 똥이라고해도 먹어봐야 아는사람이 있듯이... 무릎한번돌아가봐야 알게되는거지요 ^^
지금도 덕 이지만 내몸에 맞는덕스텐스를 찾은거죠...
조심하세요 남이한다구해서 무작정따라하시는분들.....

환상의카풀

2006.12.20 19:13:15
*.231.153.204

자신의 배를 한번 만져보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배를 한번 만져보시기 바랍니다- 자신의 배를 한번 만져보시기 바랍니다- 만졌다 왜~!!! ㅠㅠ


kudosa

2006.12.21 13:58:41
*.247.145.8

음 저도 과도한 덕스텐스만 아니라면 덕스텐스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스탠스의 기본은 자신 서있을 때 제일 편안한 자세입니다.
기본중에 기본이지요.. 처음 스탠스 각도를 잡을 때 아무 생각없이 데크에 올라셨을 때 그 발의 각도가 기본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대부분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약간 덕의 형태를 취하게 되죠..모두 전방향으로 서는 경우는 거의 못 보았읍니다 뭐 11자 정도는 있지만요..
기본 스탠스에서 자신이 편한 각도로 잡아나가면 됩니다.. 음 양각의 벌어진 각의 차이가 얼마 이상 되면 안된다는 것은 있읍니다..예전 버튼 홈피에 있었죠..24도였던가 .30도였던가 암튼...무리한 덕만 아니라면 기본을 지키는 한에서는 덕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Zoomer

2006.12.22 14:06:31
*.86.197.56

앗...나두 가끔은 덕스텐스인데..ㅋ

강촌보더

2007.01.03 09:22:16
*.141.43.107

급왜갈님에게 추천한표... 그정도의 신경도 못쓰고 롱턴하면 당연이 사고나죠..
그정도 카빙가능하면 그정도 감각은 있을꺼라 믿습니다 5년이상타면서 롱턴치다가 누가 날 부딪힌적없는데요.. 이 주제가... 초보를 말하는건지.. 중급을말하는건지 상급을 말하는건지..
이정도 문제를 얘기할정도면 중급이상의 실력일듯..그럼 급왜갈님에게.. 추천 빵빵빵.....
앞에서 롱턴치는데 그거 가로질러가는 [스키어나.보드어]가 주의를 잘해야겠죠... 이건 스키어나 보드어나
마찬가지인듯... 앞질러가는차량의 자신의 실력과 파단으러 안부딪히게 피해야 하는데 당연한듯...
하지만 뒤가 불안하니깐 롱턴을 칠때는 보드어는 토우턴때.. 내려오는 사람들을보고 스피드를 보고
힐턴으로 롱턴을 치면서 안전을 찾죠. 직할강하는 스키어나 보드어가 있으면 숏턴으로 바꾸고 지나가면 롱턴으로 전환하죠..
.. 이런 말이 오락가락하넹.. ㅋㅋㅋ
결론을 말하자면 급왜갈님에게 추천.. *^^*
[롱턴 치는 스키어는 직할강하는 보드어를 얼마나 피할수있을까요... 보드만큼 피할수있을까요.. 보드만큼 시야가 확보가 될까요]
[직할강하는 스키어를 보드가 더잘피할꺼라 보여집니다.. 왜냐면 토우턴시 시야가 확보되니깐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0

의학,부상,사고 넘어지는 것도 기술... [26]

  • Dark.H
  • 2007-06-12
  • 추천 수 52
  • 조회 수 6332

의학,부상,사고 보험..선택이 아닌 필수.. [18]

  • 아코
  • 2007-01-30
  • 추천 수 33
  • 조회 수 2760

의학,부상,사고 부상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나자 ... [2]

의학,부상,사고 1612번 글을 읽고... [10]

의학,부상,사고 if... 당신이 다쳤다면...(수정) [8]

의학,부상,사고 덕스탠스의 부상 위험성 [62]

의학,부상,사고 수박깨지는 소리와 기억상실증 (헬멧에 관... [45]

  • daru
  • 2006-12-05
  • 추천 수 33
  • 조회 수 7802

의학,부상,사고 시즌시작에 즈음해서 부상방지에 관한 좋은... [4]

  • 니트
  • 2006-11-24
  • 추천 수 7
  • 조회 수 3034

의학,부상,사고 정형외과 손목보호대, 스노보드용 보호대로 ... [31]

  • Double M
  • 2006-10-21
  • 추천 수 45
  • 조회 수 10047

의학,부상,사고 헝글 장터에서 생기는 정신병 [45]

의학,부상,사고 사기 당했을때... [15]

의학,부상,사고 뭘 하던간에 안전수칙을 지킵시다. [24]

  • 블랙쏜
  • 2006-10-10
  • 추천 수 15
  • 조회 수 3526

의학,부상,사고 혹사당하는 무릎, 허벅지근육을 위하여... [8]

의학,부상,사고 엔조이라는 이름의 자유 혹은 방종 [36]

  • 육보드
  • 2006-02-06
  • 추천 수 12
  • 조회 수 4366

의학,부상,사고 안전보딩에 대한 또다른 의견 [11]

  • IQ
  • 2006-01-30
  • 추천 수 15
  • 조회 수 2109

의학,부상,사고 안전보딩을 즐기는 또 하나의 팁!! [2]

  • 에피
  • 2006-01-28
  • 추천 수 23
  • 조회 수 3016

의학,부상,사고 방어라이딩 - 내 뒤에 뭔가가 오고있다 [11]

의학,부상,사고 스노보드 보험 가입하셨나요?? [8]

  • 코난™
  • 2006-01-17
  • 추천 수 10
  • 조회 수 2667

의학,부상,사고 라섹 후 보딩.. 안경쓰시는 보더들에게 도움... [13]

의학,부상,사고 누구나칼럼 - 부상예방 칼럼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