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보드를 정말 사랑하고 열정으로 열심히 타고있는 , CASI Level2 NADAE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노우보드를 처음 접하시거나 혹은 스노우보드를 접해보셨지만 아직 자기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신 분들을 위한 작은 팁을 드리고자 이 글을 적어 봅니다.

 

스노우보드 장비라 함은 기본적으로 데크,바인딩,부츠를 일컫고 그 외에 보호장비(상체,손목,무릎,엉덩이 등등),스노우보드복, 장갑,헬맷,고글 등등 이러한 부류들도 장비에 속합니다.

 

하지만 제일 중심축이 되는 스노우보드 장비 즉 데크,바인딩,부츠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데크

데크의 가격은 천차만별 그리고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큰 틀로 나눌수 있는것은 프리스타일 데크, 알파인 데크가 있고 프리스타일 데크중에서는 일반 프리스타일과 헤머덱(노즈와 테일이 떠있지 않고 설면과 거의 밀착 되어 있는형태)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또한 데크의 캠버 종류에는 정캠버(라이딩에 좋음),역캠버(정캠버의 반대 방향으로 프리스타일 혹은 그라운드 트릭에 유리),w캠버 혹은 m캠버(정캠버와 역캠버의 복합형)로 나눌수 있습니다.

저는 일단 일반 프리스타일 위주의 강습을 하기 때문에 일반 프리스타일 데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데크를 우선 선택할시에 가장 중요시 여겨야 할것은 자기의 라이딩 스타일에 따라 선택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즉 프리스타일(그라운드 트릭,파크)을 중점으로 타는 것,프리라이딩(라이딩 위주의 보드를 즐기나 스케일이 큰 한방 그라운드 트릭이나 킥커를 가끔 즐겨하는 것),또는 라이딩위주(90%이상)로 타느냐에 따라 데크 선택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그에따른 기준으로는 데크의 플렉스(단단함의 차이),데크의 길이(키와 몸무게,그리고 스타일에 따른 차이) 이 두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1-1 프리스타일 위주의 데크 선택법

프리스타일 위주의 데크 선택법으로는 플렉스는 일단 1-10으로 나누어 봤을때 3~6 정도의 플렉스를 가지고 있는 데크가 적합하고 역캠버 혹은 w캠버,m캠버가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일단 그라운드 트릭이나 파크(킥커,지빙,박스)에서의 컨트롤이 유용하며 지빙이나 박스에서의 엣지가 걸려 넘어지는 확률이 줄어들수 있고 알리나 널리 위주의 컨트롤이 쉽다는 점을 들수 있습니다.(but 데크의 단단함이 낮아 알리나 널리의 기술 사용은 쉬울수 있으나 스케일이 작을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데크의 길이는 짧게 타는 것이 유리하며 이것의 이유는 자신의 키나 몸무게의 비례해서 짧게 탄다는 것은 그만큼 데크의 회전이나(즉 스핀기술)의 시작점이 짧아지므로 컨트롤이 쉬어지고 버터링 계열,프레스 계열(노즈나 테일의 한쪽면만 설면에 맞닿고 한면은 띄운상태의 기술)의 기술을 구사하기 훨씬 편하기 때문입니다.

 

데크의 플렉스 기준은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3~6의 정도의 데크를 추천하며

길이는 키나 몸무게에 비례해서 쪼금 짧게 타는 것을 추구합니다. 예를 들어 제 신체스팩의 경우 176cm 에 70kg 의 몸무게를 가지고 있을때 프리스타일 위주의 데크 길이는 150~153 정도의 데크 길이를 사용하겠습니다.

 

1-2 프리라이딩 위주의 데크 선택법

프리라이딩 위주의 데크 선택법으로는 일단 데크의 플렉스는 5~9 정도의 플렉스를 가진 데크가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프리라이딩 이라함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라이딩 위주 이면서 한방트릭(고속 라이딩중의 180도나 360도의 기술을 구사하는 것)을 구사한다고 생각했을때 기본적으로 데크가 라이딩에 적합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으며 그와 동시에 데크의 탄성을 이용한 알리 널리 계열의 기술이 구사 될수 있어야 합니다.

물론 데크의 플렉스가 높아 데크가 단단하므로 알리나 널리의 기술이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아 적응을 하는데 시간이 소요 될수 있으나 데크의 특성이나 데크를 자기몸에 맞게끔 컨트롤 할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면 플렉스가 낮은 데크들보다 훨씬더 높고 큰 스케일의 기술이 구사 가능합니다.

 

또한 하프파이프에 적합한 데크들이 주로 라이딩 위주나 프리라이딩에 적합한 데크가 많은데(ex-Burton사의 커스텀X, Salomon사의 XLT, Rome사의 앤썸 등등) 이는 하프파이프 또한 하드한데크의 탄성에서 나오는 높은 하이(즉 높이)가 필요로 하기때문에 하프파이프에 적합한 데크가 프리라이딩 데크에 적합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모델들은 라이딩 위주(90%이상) 에 적합한 모델에 해당 되기도 합니다.

 

1-3 라이딩 위주(90%이상)의 데크 선택법

사실 라이딩 위주의 데크 선택법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하프파이프에 적합한 데크들(위에서 언급한 데크들은 정캠버)도 적합하며 또한 요즘에는 라이딩에 최적화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카빙에 최적화된 해머데크가 많이 나오는 추세이며 라이딩에 유리하다는 요소는

(1)플렉스가 단단하고 데크의 반응성이 좋다. 이는 플렉스가 단단하다는 것은 그만큼의 안정성 데크를 사용하는 보더의 움직임을 조금더 묵직하게 받아줄수 있다는 측면이고 그에 따른 보더가 쪼금 더 안정적인 라이딩을 할수 있습니다.

(2)유효 엣지가 길다. 이는 헤머데크에 해당하는 이야기로써 노즈나 테일이 붕 떠있지 않은 형태로써 설면과 접촉하는 엣지의 면적이 길어지므로 라이딩시 더욱더 많은 안정성을 느낄수 있습니다.

(3)정캠버의 특성. 정캠버는 노즈와 테일의 안쪽부분이 설면에 닿아있고 허리쪽이 떠있는 형태로써 라이딩시 리바운딩을 느낄수 있으며 역캠버와 갈매기 캠버보다 고속 라이딩이나 급한 경사의 코스에서 더욱더 안정적인 라이딩을 할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사진이나 그림이 없이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수 있는 설명이고 몇가지 빠진 부분이 있지만 댓글이나 쪽지를 주시면 더욱더 자세하게

알려드릴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음편에는 우리의 신체에 가장 밀착되어있고 가장 예민하게 반응할수 있는 "부츠"편에 대해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엮인글 :

갈맥

2014.09.12 09:32:53
*.217.188.122

와 정말 도움이 많이 된 글입니다!! 감사드려요~ 전 프리라이딩 쪽이군요 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75
231 장비 관련 묻답게시판, 자주묻는 질문들(데크,왁싱) file [8] 테일러스 2016-11-19 22 5560
230 장비 관련 보드를 인테리어 도구로... 스페이스 월~! [37] icktus 2006-07-28 14 5522
229 장비 관련 플럭스 바인딩 A/S ... [11] 에어뽀드 2008-12-04 49 5456
» 장비 관련 장비선택에 대해 고민하는 보더들을 위한 팁... [1] NADAE 2014-05-23 8 5454
227 장비 관련 [헝그리보더] 한시즌사용한 가죽글러브 덧대... [32] 무적엘지 2006-08-24 33 5437
226 장비 관련 보아를 분해해 보아요~~~ [29] ◐펜잘™◑ 2003-11-29 6 5391
225 장비 관련 헝그리 바인딩 툴을 만들어 보자 [18] 너만쏘냐 ㅡㅡ? 2007-02-01 39 5389
224 장비 관련 데크에 눈 안쌓이게 하기... [16] 똘이 2006-03-05 8 5347
223 장비 관련 영국에서 실시하는 K2 리콜 서비스 [8] leeho730 2008-05-04 -16 5339
222 장비 관련 데크는 소모품? [32] 육보드 2006-02-14 6 5325
221 장비 관련 아논고글 검정 얼룩 물드는것 방지 [3] 커크 2006-01-23 16 5311
220 장비 관련 정캠버, 리버스캠버, 플랫캠버, W캠버,M캠버... [16] Gatsby 2013-02-12 13 5303
219 장비 관련 레진으로 만든 스텀패드 file [20] 광마_892531 2011-11-03   5303
218 장비 관련 [도전] 캠버살리기 100일작전....^^ [35] 엉망보더 2006-07-30 10 5291
217 장비 관련 "캠버 (CAMBER)" 에 대한 오해.. - 평가맨님... [6] 평가맨 2005-11-22 4 5272
216 장비 관련 노즈, 테일부분도 왁싱을 해야하나?? [20] 옹헤야~ 2007-12-29 27 5256
215 장비 관련 왁스 제거제... [21] tigr 2003-03-25 14 5244
214 장비 관련 내부츠 정강이부분이 헐겁다면 ? - 2 [12] 싸루 2006-12-21 31 5216
213 장비 관련 물고기 데크패드....^-^ [9] 무플방지클럽 2007-02-16 57 5196
212 장비 관련 바인딩 나사 체결시 오류(빠가, 풀림) 해결 팁 [8] 레브가스 2015-10-06 11 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