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크의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스팩중 하나가 바로
사이드 컷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통짜 허리를 가졌던 데크에서와 달리 날렵한 사이드 컷을 갖게 됨으로서
스키는 물론 스노우보드는 엄청난 변화를 얻게 됩니다.

이제는 거의 대부분인 이러한 잘록한 허리를 가진 스키 플레이트를
카빙스키라고 부르죠. 이런 명칭 그대로 사이드 컷은
카빙을 쉽사리 접하게 만들어 준것입니다.

사이드 컷으로 인해 보드의 데크는 설면에 직각으로 세워지지 않아도, 
엣지전체가 설면에 닿게 됩니다. 이 상태로 최대한의 저항을 얻고
하나의 날만큼의 흔적을 남기며 주행하는 것이 바로 카빙이죠. 



자신의 데크를 살짝 펴서 바닥에 세워보고 엣지가 모두 닿는 각도를 찾아보세요.
그 엣지각이 바로 자신의 데크가 가지는 기본적인 카빙을 위한 엣지각입니다.

세워보면 아시겠지만 데크가 사이드 컷의 크기에 따라 가지는 특정한 각도 
이하는 물론이지만 그 이상의 각을 세우더라도 오히려 엣지 전체가 닿지 않고, 가운데가 뜨게됩니다.
오히려 더 적은 저항을 받게 된다는 것이죠. 
그렇기에 눈 상태에 따라 잘 박혀 저항이 큰 상태라면 엣지각만 많이 세우면 쉽사리 카빙이 되지만
잘 박히지 않는 강설일수록 과한 각도는 오히려 데크를 미끄러지게 만듭니다. 

이제 카빙이 아주 쉽게 느껴지지 않나요?
어떤 방법이던, 무릎을 이용하던 발목을 이용하던간에 데크가 원하는 정도의 
엣지를 세우면 데크는 카빙을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단 문제는 데크가 최대 저항을 받는 카빙을 위한 엣지각은 데크가 받는
압력에 따라 데크가 휘어지게 되어 더 깊은 각도를 요구하게 됩니다. 
그리고 설면의 상태에 따라 더 많은 저항이 생길수록 데크도 더 휘게되고,
속력과 라이더의 체중, 슬롶의 경사등 변수도 작용하게 됩니다.

또한 데크의 유효엣지가 최대 엣지면을 얻는다고 해도 압력을 견뎌내지 못하고
밀려날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높은 속도의 라이딩을 위해서는 압력을 받쳐줄
긴 유효엣지의 데크를 선택하게 됩니다. 
(눈이 주는 저항이 충분하다면 자신의 데크가 버텨줄수 없는 속도에서도
최대 엣지각 이상으로 세워 더 많은 저항을 얻을수도 있을 것입니다. 강설은 밀려요. ㅠㅠ)

이런 이야기를 하면 그럼 그 각도가 계산이 되냐고 묻습니다.
물론 이것을 모두 정확한 수치화한다면 필요한 각도마저 계산이 가능하겠죠.
그런데 슬롶이 모두 고른 경사와 저항을 만들어주지도 않고, 
일정한 속도를 얻을수 있는 것도 아닌데 한부분의 수치를 얻어 계산한다고해서
의미를 얻을수는 없습니다. 

이 부분은 결국 마일리지로 형성되는 부분이죠. 




결국 마일리지로 돌아가는 이야기지만 생각해보면 
쉽게 카빙을 할수 있는 팁이 숨어 있습니다. 

사이드 컷이 작은 데크는 조금만 세워도 카빙을 위한 엣지각을 얻을수 있습니다. 
적은 속도로 그리고 낮은 각도의 슬로프에서 말이죠. 
속도를 내기 위해 카빙을 한다고 하지만 반대로저는 이것이 장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엣지를 크게 세우지 못하고, 고각의 슬로프에 공포를 느끼는 초보자라도 카빙이란 
테크닉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니까요. 

그리고 데크가 휘어질수록 필요한 엣지각은 더 높아집니다.
자신의 데크가 갖는 최대 엣지를 위한 엣지각을 알고 있다면 
카빙을 위해 최소한 세워야할 엣지각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높은 플렉스의 데크는 잘 휘지 않아서 데크가 휠때마다 변하는 엣지각의 변화가
적겠죠. 그런데 라이딩 데크의 특성은 대부분 사이드 컷이 크고, 
데크가 잘 휘지 않는 것과 묶여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초급자 슬로프는 대부분 낮고 일정한 각도를 제공해줍니다. 
처음으로 카빙을 연습하기에 가장 좋은 곳이 아닐까 싶네요. 

엮인글 :

FirstSnow

2015.01.20 10:47:01
*.160.16.63

좋은 내용입니다. 추천.

JimmyKOO

2015.01.20 17:21:47
*.7.58.199

좋은 글이네요!

추천!!

BORNCARVER

2015.01.29 05:34:21
*.125.251.10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이렇지않을까? 에서 이렇구나! 물음표에서 느낌표가 되는 칼럼이었습니다.

수퍼마징가

2015.03.11 13:30:28
*.12.80.115

이렇지않을까 역시 이렇근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2
331 장비 관련 보드 바지 입는 법 -_- [55] 비었다네 2006-03-04 4 8109
330 장비 관련 묻답게시판, 자주묻는 질문들(바인딩,부츠,... file [3] 테일러스 2016-11-23 4 4055
329 장비 관련 "캠버 (CAMBER)" 에 대한 오해.. - 평가맨님... [6] 평가맨 2005-11-22 4 5272
328 장비 관련 역캠버(W 캠버 퍼포먼스 캠버), 정캠버, 제... file [22] ☆로시난테☆ 2011-01-22 4 21335
327 장비 관련 초보더들에게 관대한 보드 스펙. [5] guycool 2016-09-20 4 4525
326 장비 관련 각 브랜드 카버(알파인/커스텀/일본브랜드 ... file [6] 잉여9 2019-01-24 4 3055
325 장비 관련 스노보드 플렉스에 관련된 내용~ [4] 귤!!! 2013-06-27 5 3026
324 장비 관련 SP Interchanger 바인딩 센터링 조절 방법 [6] 안전우선 2013-01-30 5 2994
323 장비 관련 장비 선택에 관련 다양한 썰 [6] GATSBY 2020-07-07 5 1692
322 장비 관련 장비의 정비~ 장비정비~!! [31] redstar 2003-12-02 5 4162
321 장비 관련 플럭스바인딩 충격흡수 1mm 패드 부착하기 [7] 빽승a 2021-03-13 5 1402
320 장비 관련 금속보강재 티타날이란? [22] 카빙낙엽 2016-01-26 5 7559
319 장비 관련 오리털 패딩 점퍼 담배빵# 간단히 수선하기 [4] 커누들 2006-01-08 6 18131
318 장비 관련 발목이 아플때 바인딩 세팅 [17] 바다하늘지기 2005-12-07 6 7830
317 장비 관련 GLOVE or MITTEN [8] 엘케이 2013-12-20 6 1834
316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스텐스 [20] 스텐스 2005-12-17 6 9370
315 장비 관련 스노보드 보강/내장제와 그 역할 [6] GATSBY 2019-07-16 6 1342
314 장비 관련 본파이어 A/S 정보 [7] 커크 2006-01-10 6 2301
» 장비 관련 사이드 컷을 활용하자. (카빙 쉽게 하기) [4] Akapoet 2015-01-20 6 10981
312 장비 관련 빙판 모글에는 어떤 데크가 좋을까? [7] 스크래치 2021-02-08 6 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