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크의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스팩중 하나가 바로
사이드 컷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통짜 허리를 가졌던 데크에서와 달리 날렵한 사이드 컷을 갖게 됨으로서
스키는 물론 스노우보드는 엄청난 변화를 얻게 됩니다.

이제는 거의 대부분인 이러한 잘록한 허리를 가진 스키 플레이트를
카빙스키라고 부르죠. 이런 명칭 그대로 사이드 컷은
카빙을 쉽사리 접하게 만들어 준것입니다.

사이드 컷으로 인해 보드의 데크는 설면에 직각으로 세워지지 않아도, 
엣지전체가 설면에 닿게 됩니다. 이 상태로 최대한의 저항을 얻고
하나의 날만큼의 흔적을 남기며 주행하는 것이 바로 카빙이죠. 



자신의 데크를 살짝 펴서 바닥에 세워보고 엣지가 모두 닿는 각도를 찾아보세요.
그 엣지각이 바로 자신의 데크가 가지는 기본적인 카빙을 위한 엣지각입니다.

세워보면 아시겠지만 데크가 사이드 컷의 크기에 따라 가지는 특정한 각도 
이하는 물론이지만 그 이상의 각을 세우더라도 오히려 엣지 전체가 닿지 않고, 가운데가 뜨게됩니다.
오히려 더 적은 저항을 받게 된다는 것이죠. 
그렇기에 눈 상태에 따라 잘 박혀 저항이 큰 상태라면 엣지각만 많이 세우면 쉽사리 카빙이 되지만
잘 박히지 않는 강설일수록 과한 각도는 오히려 데크를 미끄러지게 만듭니다. 

이제 카빙이 아주 쉽게 느껴지지 않나요?
어떤 방법이던, 무릎을 이용하던 발목을 이용하던간에 데크가 원하는 정도의 
엣지를 세우면 데크는 카빙을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단 문제는 데크가 최대 저항을 받는 카빙을 위한 엣지각은 데크가 받는
압력에 따라 데크가 휘어지게 되어 더 깊은 각도를 요구하게 됩니다. 
그리고 설면의 상태에 따라 더 많은 저항이 생길수록 데크도 더 휘게되고,
속력과 라이더의 체중, 슬롶의 경사등 변수도 작용하게 됩니다.

또한 데크의 유효엣지가 최대 엣지면을 얻는다고 해도 압력을 견뎌내지 못하고
밀려날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높은 속도의 라이딩을 위해서는 압력을 받쳐줄
긴 유효엣지의 데크를 선택하게 됩니다. 
(눈이 주는 저항이 충분하다면 자신의 데크가 버텨줄수 없는 속도에서도
최대 엣지각 이상으로 세워 더 많은 저항을 얻을수도 있을 것입니다. 강설은 밀려요. ㅠㅠ)

이런 이야기를 하면 그럼 그 각도가 계산이 되냐고 묻습니다.
물론 이것을 모두 정확한 수치화한다면 필요한 각도마저 계산이 가능하겠죠.
그런데 슬롶이 모두 고른 경사와 저항을 만들어주지도 않고, 
일정한 속도를 얻을수 있는 것도 아닌데 한부분의 수치를 얻어 계산한다고해서
의미를 얻을수는 없습니다. 

이 부분은 결국 마일리지로 형성되는 부분이죠. 




결국 마일리지로 돌아가는 이야기지만 생각해보면 
쉽게 카빙을 할수 있는 팁이 숨어 있습니다. 

사이드 컷이 작은 데크는 조금만 세워도 카빙을 위한 엣지각을 얻을수 있습니다. 
적은 속도로 그리고 낮은 각도의 슬로프에서 말이죠. 
속도를 내기 위해 카빙을 한다고 하지만 반대로저는 이것이 장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엣지를 크게 세우지 못하고, 고각의 슬로프에 공포를 느끼는 초보자라도 카빙이란 
테크닉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니까요. 

그리고 데크가 휘어질수록 필요한 엣지각은 더 높아집니다.
자신의 데크가 갖는 최대 엣지를 위한 엣지각을 알고 있다면 
카빙을 위해 최소한 세워야할 엣지각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높은 플렉스의 데크는 잘 휘지 않아서 데크가 휠때마다 변하는 엣지각의 변화가
적겠죠. 그런데 라이딩 데크의 특성은 대부분 사이드 컷이 크고, 
데크가 잘 휘지 않는 것과 묶여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초급자 슬로프는 대부분 낮고 일정한 각도를 제공해줍니다. 
처음으로 카빙을 연습하기에 가장 좋은 곳이 아닐까 싶네요. 

엮인글 :

FirstSnow

2015.01.20 10:47:01
*.160.16.63

좋은 내용입니다. 추천.

JimmyKOO

2015.01.20 17:21:47
*.7.58.199

좋은 글이네요!

추천!!

BORNCARVER

2015.01.29 05:34:21
*.125.251.10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이렇지않을까? 에서 이렇구나! 물음표에서 느낌표가 되는 칼럼이었습니다.

수퍼마징가

2015.03.11 13:30:28
*.12.80.115

이렇지않을까 역시 이렇근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66
351 장비 관련 Snowboard/Ski Deck Construction [5] 카릴 2016-03-03   3279
350 장비 관련 비싼데크? 좋은데크? [27] 라메르-임채호 2016-01-29 67 8279
349 장비 관련 금속보강재 티타날이란? [22] 카빙낙엽 2016-01-26 5 7562
348 장비 관련 15분 핫 왁싱 !!!!! [13] 심장이통통 2016-01-20 3 7560
347 장비 관련 발에 통증없이 부츠 신는 방법 ... [20] 장어구이 2016-01-07 29 12533
346 장비 관련 전투보딩을 원하는 하체가 약하신분들의 부... file [1] 피브리조 2015-12-30 1 6715
345 장비 관련 센터링 잡는 법 팁 몇가지 알려드릴께요.. file [41] FC-X 2015-12-18 46 11031
344 장비 관련 버튼 바인딩 스트랩 잘라서 쓰세요.. file [55] FC-X 2015-12-04 65 10415
343 장비 관련 버튼 데크, 바인딩 정리 (ICS데크, EST바인딩) file [4] 하늘에별따귀 2015-12-01 10 10675
342 장비 관련 길들이기 왁싱 정리해 봤습니다(입문자용) [3] eNgenius 2015-11-30 10 9273
341 장비 관련 매우 개인적이고 이론적인 붓아웃 계산법 file [3] B.Boong 2015-11-20 9 5961
340 장비 관련 바인딩 나사 체결시 오류(빠가, 풀림) 해결 팁 [8] 레브가스 2015-10-06 11 5141
339 장비 관련 일본덱, 유럽덱 지름은 올해가 최적이지 싶... [4] 보린 2015-08-24 1 4457
338 장비 관련 유니온 바인딩 DANNY KASS의 (08년~16년) 고찰 file [5] yOeL 2015-03-13   4182
337 장비 관련 스노보드 베이스를 정리하였습니다. secret [25] GATSBY 2015-03-12 20 3585
336 장비 관련 7가지 캠버의 특성 총정리 secret [19] GATSBY 2015-03-05 26 3172
» 장비 관련 사이드 컷을 활용하자. (카빙 쉽게 하기) [4] Akapoet 2015-01-20 6 10981
334 장비 관련 학동 투어중 라이딩용/프리스타일용 플렉스 ... secret [40] GATSBY 2015-01-14 19 5844
333 장비 관련 토션, 토셔날 플렉스 Tosional Flex [3] Akapoet 2015-01-06 6 5941
332 장비 관련 바인딩 전용드라이버를 알아보자 file [12] 빨간단무지 2014-12-09 8 11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