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제 소개를 먼저 할까합니다.
경력은 11시즌을 탔지만 매년 주말보더였기 때문에 상주 한시즌 한사람보다 못타며 그대신 그동안 장비의 변천사라든가 특성에 대해서는 조금 알고있는 정도입니다.
참고로 용어를 잘 모르므로 걍 대충 넘어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선 데크에 관한 저의 생각을 올려보겠습니다.
흔히 우리들은 상급데크다 중급데크다 싸구려 렌탈보드다 구분짓고는 하죠.
자~ 그 기준은 무엇이냐~ 바로 가격이죠...가격....
좀더 비싼데크를 타면 안되던 J턴도 왠지 잘될것만 같고. 트릭을 하면 한바퀴라도 더 돌아갈것만 같은.....
그 가격은 무엇이 결정하는가....바로 소재와 재료 기술력등이겠죠.
데크를 하드하게 하려면 아무래도 코어라든가 여러가지 재료들이 조금더 들어가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하드하게 만들죠. 그래서 하드한 데크들이 조금더 비싼이유일지도 모릅니다.
물론 기술력이 큰비중을 차지할 수 도있겠지만요.

자 이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란 사람이 있는데요 키가 180에 몸무게는 65키로그람입니다.
B란 사람은 키가 180에 몸무게가 100키로그람입니다.
자 이 두사람에게 아주 하드한 최상급 데크(사이즈 160)를 줘보겠습니다. 물론 길이로 조절가능하지만 일단 길이는 키에 맞춰야 좋다는게 제 걔인적인 생각이므로 배제해두겠습니다. 제가 본 데크중엔 내츄럴이 가장하드하였으므로 내츄럴을 예로들겠습니다.
A는 이 데크를 타면서 하드함 그 이상의 하드함을 느낄것입니다. 프레스 주기도 아주힘들죠.
하지만 B는 이데크를 타면서 A보다 훨씬 소프트하게 느낄것입니다. 프레스도 잘주고 탄성이 좋다고 느낄수도있습니다.몸무게가 자그만치 35키로가 차이나니깐요~

이때 A에게 커스텀을 줘보겠습니다.(너무 상표에 연연하지 마시길 그냥 예를 든것뿐입니다)
커스텀 소프트하죠~ A에게 커스텀 160을 타보라고하면 아마 B가 네츄럴을 탈때 느끼던 느낌을 느낄수있을겁니다.(예를 든것뿐이니 너무 세세하게 들어가지 마시길 ㅡㅡㅋ)
어떤분이 그러죠 소프트하면서 탄성이 좋아요~
그럼 댓글에 바로 달리죠~ 어떻게 소프트한데 탄성이 좋아요?
그게 바로 이런 이유아닐까요? 바로 몸무게~

상급데크 중급데크 하급데크....물론 상급중에서도 소프트한것이 있고
하급중에서도 하드한것이 있습니다. 제가 말하고자 하는요지는
데크는 자신의 키보다 몸무게에 따라서 플렉스를 조정하는게 좋지 않을까 하는것입니다.
즉 키나 다리길이(전 다리길이가 데크 사이즈 결정에 큰 역활을 한다고 봅니다)로 데크 길이를 결정하고 몸무게는 플렉스 조정하는데 기준을 두면 좋지 않을까 하는점입니다. 수만은 반발이 있을 수도있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이므로 너무 흥분하지는 마시길 ㅎㅎ

자 다음은 바인딩입니다.
제가 바인딩을 이것저것 써보면서 느낀점 한가지만 적어보겠습니다.
바로 하이백입니다.
우리들은 하이백에 카본이 들어갔는지 어떤지 길이가 어떤지 반응성이 어떤지  신경을 많이 씁니다.
근데 여러분께 한가지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부츠를 신고 일어서봅니다. 앞으로 무릎을 굽혀봅니다 부츠가 앞으로 눌리면서 굽혀지겠죠?
자 이젠 일어선상태에서 부츠의 뒷부분(즉 뒤꿈치부터 종아리 뒷부분까지)를 굽힐 수 있으십니까?
물론 앉아서는 할 수도 있습니다. 억지로 하지만 우린 서서타죠.
여기서 의문입니다.
우린 부츠도 뒤로 못꺽는데 왜 하이백의 소재와 길이와 반응성에 연연하는가....
예전엔 스텝인 부츠도 참 많이신었었죠. 하이백이 없는...

아참 참고로....버튼 바인딩... 참 가벼웠었죠~ 저도 바인딩 무게엔 민감한 편이라서 가벼운걸 좋아합니다.
근데 요새 버튼 바인딩 많이 무거워졌습니다. 토캡이라든가 항상문제시되온 내구성을 높이기위해
소재가 좀 바뀐듯하구요 여하튼 무게가 무거워졌습니다...확실히...
그리고 무게비교대상에서 항상나오는 플럭스 바인딩....
예전에 무겁긴했었죠 버튼에 비해서~
요새 나오는 버튼바인딩과 플럭스 바인딩 무게 재보셨나요?
차이가 없을 뿐아니라 두회사중 가장가벼운 바인딩은 플럭스의 std라인인가....745g이죠.

부츠는 뭐 발모양에 따라서 천지차이이므로 제외시키겠습니다.
하지만 가벼운게 편한건 사실입니다.
전 32의 lashed나 버튼의 hail이 가장 가볍고 가격적인 면에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으로~

다 썼다고 생각하니 횡설수설한거 같네요.
제 얘기는 딱이거다 이게 옳다가 아니고 이런 생각을 갖고있는데 스스로 생각하기에 괜찮은 생각인거 같다고 생각해서 ㅋㅋ 올린겁니다 ^^;;

자 우리모두 상급상급만 외치지말고 외국처럼 남의 눈치 안보면서 장비자랑 안하면서
타는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램에서 적어봅니다.
엮인글 :

불량패트롤

2006.02.15 18:01:21
*.102.136.132

제발 제 의견에 공감하시는 분이 나타나시길 ㅎㅎ;;;;;

조C

2006.02.15 18:20:51
*.118.159.47

장비 테스트 할때 그래서 그래픽은 지우고 프로라이더들한테 써보라 하죠.. 어떤브랜드면 최고고 어떤브랜드는 아니야.. 이렇게 생각하는 분들에게 같은 모양의 장비가 주어졌을때 상반된 결과가 나올수도 있겠죠. 물론 고가의 장비가 좋을수도 있지만, 자신에게 가장 잘맞는 장비가 최고가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스뎅밥그릇

2006.02.15 18:30:38
*.64.45.132

바인딩 하이백얘긴 좀 이해가 안가네여??
부츠랑 하이백이랑 관련시킨 얘기는 특히여...

불량패트롤

2006.02.15 18:36:09
*.102.136.132

제생각엔 하이백은 라이딩이나 트릭시 라이더에게 크게 영향을 못주는것이 아니냐 이말입니다.
부츠도 뒤로 못꺽는데 하이백이 없거나 길이가 엄청 짧아져도 그게 어떤영향을 줄까 하는점이죠.
스텝인 바인딩도 그랬고....
물론 앞으로 구부리는걸 모라하는지 갑자기 용어가 생각은 안나지만 그용도 이외에는 크게 관여 안하지 않나 하는점입니다.

불량패트롤

2006.02.15 18:38:30
*.102.136.132

아...포워드린....한마디로 말하자면 하이백 로테이션이란것도 과연 무슨소용인가 하는것입니다....너무 극단적인가 ㅜㅜ

viper

2006.02.15 19:01:59
*.106.48.100

데크의 길이에 관해 쓰신말중에 약간의 반론을 하자면..
말씀해주신사항이 틀린것은 아니지만. 보통 사람들이 문답할때는 적당한 데크길이를 사용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하드함과 소프트함을 애기 한다고 생각합니다. 분명 말씀하시는바와 같이 잘못 논의되는 문답이 없지않으나 그래도 역시나.. 일반화오류가 아닌가 싶고요.
바인딩은 소재와 길이에 따른 성능차이가 분명히 존재함을 조금만 장비에 대해 공부하시면 알수 있지 않나 싶네요.
생각하시는바대로 쓰고 즐기시는것에는 전혀 문제가 없어보이나 동조를 얻기는 좀 힘든글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리고 하이백에 관한 이야기는 정말 11년 타신분이 맞는가 싶을정도로 의심이 가는 구절입니다.
끝으로 아이디가 본인아이디가 맞는지요? 아주 일찍 시작하셨네요^^;;

불량패트롤

2006.02.15 19:12:11
*.102.136.132

음.....그런가요?
바인딩의 소재와재료에 따라서 분명 차이가 있겠지만 그걸 느끼실수있는지? 당연히 이론상으론 나오죠 공부하면~
그리고 정말 11년 탔구요 ㅋㅋ 하이백 얘기중에 스텝인 바인딩 타보셨나 물어보고 싶군요....
하이백 얘기에 관한 반론은 안써주시고 그냥 의심만 간다니 ㅡㅡㅋ
저도 이론은 안답니다 ㅎㅎ

ⓝⓘⓣⓡⓞ

2006.02.15 19:19:35
*.102.138.127

불량패트롤님 말씀에 전 공감하는 바가 많습니다.
트릭만을 놓고 본다면 몸무게가 많이 나간다고 길이를 기르면 돌리기 힘들고 소프트하면 자신을 띄어주지 못하죠.
바인딩도 전 하이백 소재는 정말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힐컵만 잘들어맞고 사이즈만 맞다면 그리고 토우스트랩 안채워도 라이딩할때 아무 차이 못느낀다는것도 아실런지~

여하튼 짠밥없는 사람들은 잘 못알아먹을 글인건 확실한거 같은데요 ㅎㅎ

스우스보다

2006.02.15 19:38:12
*.178.146.141

데크에 대한 말씀은 지당하고 당연한 말씀이죠. 실제 대게 그런 방식으로 데크를 선택하는 게 아니었습니까?
불량패트롤님 말씀처럼 길이는 키에 의해 (+취향차이), 플렉스는 몸무게 뿐만 아니라, 다리힘 & 실력 & 취향에 의해 조정 될 겁니다. 역시 몸무게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바인딩 하이백은 전경각(포워드린)을 많이 줄 때에야 그 차이가 나는 것 아닙니까? 완전히 다 세워서 타면 불량패트롤님 말씀처럼 그다지 의미가 없겠지만, 앞으로 눕혀주기 시작하면 상황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

한정치산자

2006.02.15 19:44:17
*.97.108.113

최상급만을 찾기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장비를 갖추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포워드린을 얼마나 주시는지는 모르겠지만 포워드린의 효과도 동의하지 못한다는건 좀 이상하네요.

지나가다

2006.02.15 19:59:48
*.120.200.234

하이백높이는 높을수록 힘 전달 잘되는거....맞는소리입니다. 간단히 지렛대 생각하시면 되구요
토스트랩은 라이딩할때 아무 차이 못느낀다는건 말이 안됩니다. 토스트랩이 부러져서 하루동안 없이 타봤는데 처음엔 몰랐지만 가면갈수록 허전하다는 생각듭니다. 트릭,에어등에선 더욱이요.
소재면에선....아직 카본을 안써봐서 대답을 못하겠네요. 그러나 하이백이 소프트하고 하드한것에서는 꽤 차이가 납니다.

불량패트롤

2006.02.15 20:02:27
*.102.136.132

포워드린은 효과가 있고요 하이백로테이션을 말씀드린겁니다 한정치산자님^^

라스

2006.02.15 20:06:39
*.84.5.74

05-06 개장일부터 지금껏 토스트랩 없이 탄 나는 뭐지..ㅡㅡ;

삐꾸마왕

2006.02.15 20:18:09
*.237.1.74

양쪽 토우 라쳇이 망가져서 하루동안 대충 밀어넣구 타봤는데
조심해서 그런 지 별로 모르겠더라구요.
글구 하이백 재료가 뭐가 됐든 가볍고 튼튼한게 좋은거 아닌가요?
근데 카본이 쇠보다 가벼워서 사용하니 비싼거겠죠.

동감

2006.02.15 20:35:14
*.10.86.9

여러개 많이 타봤지만 그게그거
발 안아프면 장땡.

음..

2006.02.15 20:53:22
*.119.30.104

1.데크-내추럴에서 극악의 하드함을 느낀 A가 커스텀을 탔을때 느껴지는건 "하드함"이지 "부드러움"이 될수가 없음. B가 커스텀을 탔다면 그 부드러움을 느꼈을것임.
그러므로 "부드러우면서 탄성이 좋다"는 말이 안됨. 탄성이 좋다는건 A의 느낌이고 부드럽다는건 A가 아닌 일반적 라이더들의 의견일 가능성이 크므로 두개를 결합하여 결론을 만들수는 없음.

2.바인딩 하이백-우선 카본도 카본 나름. 카본이라고 다같은 품질과 두께를 가진 제품을 사용하는것이 아님.
하이백 카본의 효용성에 대해 상당히 부풀려진 면이 있을정도로 기능성에서 장점을 점하기 위한 목적으로 카본 재료를 실효성을 살리며 사용하는 바인딩 브랜드는 얼마 안됨. 특히 드렉이나 버튼 카본 하이백은 카본 아니라고 봐도 무방.
하이백의 영향은 포워드린 상태의 라이딩에서 뚜렸하게 나타남.
부츠의 발목부분이 하이백에 접하지 않는 상태라면 하이백의 용도 자체가 사실상 필요없어짐.
보다 확실한 힐프레스 전달을 위해 이용해야 하는것이 부츠의 발목에서부터 하이백의 가장 높은 부분으로 연결되는 프레스임.
이 과정에서 힘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것이 바로 하이백의 강성.
버티고 받쳐주기 위한 강성이 부족하다면 힘의 손실이 발생하게 됨.
하이백이 비틀리며 하이백으로 가해지는 프레스가 토션으로 바뀌는 순간 몸의 균형까지 무너질 가능성이 있음.
또한 하이백의 강성이 약하다면 토우와 힐카빙에 있어 각각 다른 상체 스티어링이 이뤄지는 라이딩을 구사하는 보더의 상체 스티어링시 이어지는 하체 자세의 변화를 제대로 지지하기 힘들게 됨.
그리고 스핀계열의 트릭시 하이백 비틀림을 통한 힘의 손실 발생<-이부분은 트리커의 개인적 취향에 달려있음

동감

2006.02.15 22:35:07
*.10.86.9

한가지 빼먹엇는데 하이백 포워드린은 지대 영향이 있죠
그거 빼고 바인딩 여러개 부츠여러개 보드 여러개 써봣으나
특성은다 다르나 어느게 좋고 나뿌다 라고 말하기 쉽지 않음
나름대로 개성이랄까 이런것은 느겨짐

앤간한 장비면 다 좋다는........

스뎅밥그릇

2006.02.15 22:57:35
*.64.45.132

필요없는데..왜 하이백을 만들고...토스트랩을 만들었을까여?? 진짜 없어도 되는건가여??
토론방으로 옮겨보는게 좋겠네여....

Green Tee

2006.02.15 23:57:31
*.106.233.123

음...우선 좋은 글인거 같네요. 여러가지 공감되는 부분도 많고
윗분 말씀은 하이백과 토스트랩이 필요없다는게 아니고 그 재료와 특성차이로 큰영향을 주지 않는다라는거 같네요. 토스트랩 당연히 있어야죠. 하지만 저도 없이 타봤는데 앵클스트랩만으로 부츠를 잡아주는거 같더군요.
별차이 못느꼈음... 그리고 하이백~ 예전에 하이백이 부러져서 손으로 건들면 움직일 정도였는데 부츠신고 뒤로 암만 재껴도 힐컵에서 잡아주니까 하이백 꿈적도 않더군요.
그리고 윗분말은 부츠에서 잡아줄거 다 잡아주고 데크로 전달해주는데 하이백이 큰영향을 주지않는다고 하는거 같은데요. 이건 하드한 부츠일때 만일거 같습니다. 숀화이트같이 소프트한 부츠는 뒤로 젖힐수 있을꺼같네요.
그리고 래쉬드나 해일부츠 정말 가볍고 편하긴 하더군요. 무게와 가격으로 따진다면 둘만한 부츠도 없는듯.
아~ 그리고 버튼바인딩 확실히 무거워졌어요 ㅜㅜ 02-03 미션쓰다가 04-05 카르텔쓰니까 무게 차이 장난아님 ㅡㅡ 그냥 플럭스로 바꿀까 생각중.... 버튼바인딩 너무 조심스럽게 쓰게됩니다 ㅜㅜ

Green Tee

2006.02.16 00:02:47
*.106.233.123

그리고 저도 비싼데크가 좋은줄 알고 무조건 선택한후에 길이로 조정했었던 어리석음을 경험했었죠.
이 데크 저데크 타다보니 자신의 스타일(무조건 라이딩이냐, 트릭도 같이하느냐, 트릭하는 재미로 타느냐)
로 데크 결정해야겠더군요. 가격이 아니고.
그래서 첨엔 하드한데크 쓰다가 올라운드 데크로 바꾸고 지금은 소프트한걸 찾게 되더군요.
소프트한 데크 라이딩에 어느정도 경지에 올라있다면 다 커버가능하다고 보구요.
정말 보드타는게 재밌어집디다.... 깔짝깔짝 ㅎㅎ 일본애들이 왜 소프트한걸 좋아하는지 알거같기도....
하여튼 저는 지금 나이트로 T1을 타고있는데요. 100만원 넘는 그 머냐 바이퍼인가 하는 데크랑 바꾸자고해도
안바꿀겁니다. 정말 재밌어요. 요새 다시 타오르고있음 ㅎㅎ

지나니

2006.02.16 00:14:28
*.73.95.214

보드 타면서 몸무게가 30키로 정도 변하는 걸 겪어본 사람으로써 표현은 못하겠지만 첫번째 데크에 대한 내용은 전혀 공감이 안가네요. 뭐 마지막 문장은 절대 공감이지만요... ^^

ㅊㄴ

2006.02.16 01:07:24
*.106.233.123

그래서 짠밥없는 사람은 알아듣지 못할꺼라고 쓴듯 ㅋㅋ

一騎當千™

2006.02.16 01:32:01
*.110.98.36

전부라곤 할수 없지만..공감가는 부분이 많이있군요....저역시 마지막 문장이 제일 맘에 드는군요...^^

☆알콜☆

2006.02.16 02:59:34
*.30.128.28

튜닝은 끝은 순정이다...
그런 글이 떠오르네요~~~
추천~~~

제파

2006.02.16 05:03:54
*.227.233.80

저도 이론적이건 잘 모르지만...
부츠 당연히 서서 뒤로 제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라이딩할땐 얘기가 틀려집니다.
부츠는 몸과 하나가 된상태고, 바인딩은 데크와 하나가된 상태입니다.
이 부츠와 바인딩을 결합시켜도, 스트랩을 꽉 채워도 유격이 생깁니다.(이 유격은 부츠가 논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이건 바인딩을 채운후 서서 데크를 뒤틀어보시면 알겁니다. 왼발은 발가락을 들고 오른발은 뒤꿈치를 들고...
왼다리에 하이백으로 힘이 가해진다는걸 느끼실거예요.
소재나 반응성은 배제시켜도 무방하리라 봅니다만,
그러나 하이백의 유무에 대해선 당연히 있고 없고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론리보더 ~ ♪

2006.02.16 09:31:55
*.127.218.162

저도 하이백은 있고없고의 차이는 당연하고
강성과 높이의 차이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부츠가 아무리 하드해도 힐턴시에 걸리는 힘들 다 받아주진 못 합니다.

봉기

2006.02.16 10:48:55
*.94.41.89

힐턴시 아래와 같이 힐쪽의 일정 부분이 축이되어 토우쪽은 반대로 나가려는 힘이 받고 이를 잡아주기 위해 2개의 스트랩으로 잡아 주죠
그러나 이때 일반적인 부츠가 소프트 부츠이기 때문에 발목 부분이 약간 뒤로 밀려 날겁니다. 이 밀려나는 것을 하이백이 받아서 보드를
세우는 힘으로 변화 시켜 주죠. 이때 하이백의 재질에 따라 받는힘을 얼마나 잘 전달 하느냐가 반응을 좋게 하는것 아닌가요 ?
단단하면 좋은데 무게가 문제가 되니 가벼우면서 단단한 재질을 사용 하는것 아닌가요 ? 참 부츠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당연
하이백이 의미가 별로 없을것같네요. 알파인처럼요 ...

힐턴시


└──── <-부츠
──────
↑ ↓
지렛대 나가려는힘
중심점

토우턴시 아래와 같이 힐쪽이 부츠와 떨어져 나가려는 힘이 생기는데 이것을 앵글스트랩이 잡아주는 것 아닌가요
이때 스트랩의 강성이나 조여주는 힘에따라 잡아주는 힘이 틀리겠죠

토우턴

└──── <-부츠
──────
↓ ↑
나가려 지렛대
는힘 중심점

작지만 여러힘에 의해 발생되는 뒤틀림 움직임등을 얼마나 잘 잡아주냐가 장비를 만드는 기술 아닐까요 그래서 오늘도
새로운 장비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저의 생각 입니다.

허접파

2006.02.16 11:18:56
*.28.72.254

ㅋㅋㅋ 자기한테 맞는 장비가 최고입니다^^

아리잠

2006.02.17 00:21:09
*.248.252.70

장비에->장비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3
151 장비 관련 [헝그리보더] 한시즌사용한 가죽글러브 덧대... [32] 무적엘지 2006-08-24 33 5437
150 장비 관련 시즌이 되면 정말 이월 장비 가격이 오른다??? [25] 아기늑대 2006-08-23 13 5938
149 장비 관련 스놉 타면서 느낀 점.(라이딩과 트릭?) [65] epro(2%) 2006-08-14 9 5750
148 장비 관련 보드복을 오징어 처럼 보관하자! [24] biggy 2006-07-30 15 6699
147 장비 관련 [도전] 캠버살리기 100일작전....^^ [35] 엉망보더 2006-07-30 10 5291
146 장비 관련 고글 몇가지 프레임과 시야..... 정말 몇가... [17] 나츠키 2006-07-29 26 4336
145 장비 관련 보드를 인테리어 도구로... 스페이스 월~! [37] icktus 2006-07-28 14 5520
144 장비 관련 살로몬 바인딩 버튼 데크에 맞추기 [31] Monsi 2006-06-27 43 7536
143 장비 관련 엣지 녹 제거 및 녹방지 [14] 아스카 2006-06-02 25 11913
142 장비 관련 `부츠와 데크,바인딩` [2] take2™ 2006-06-01 39 4060
141 장비 관련 끊어진 바인딩 스트랩!! 스스로 수리하자!! [12] 아이쿠쿠-_-;; 2006-06-01 25 4791
140 장비 관련 비시즌 '헝글한 박스로 지빙하기' & 헝글님... [16] 행복한승호™ 2006-05-31 81 3623
139 장비 관련 스페이스월에 대해서,,, [7] 헐글 2006-05-15 12 3825
138 장비 관련 저만의 장비보관 방법~ [3] 보드꾸러기 2006-03-17 16 4905
137 장비 관련 토턴이 힐턴 보다 잘 안되는 이유(장비측면) [38] 바다포수 2006-03-06 11 8115
136 장비 관련 데크에 눈 안쌓이게 하기... [16] 똘이 2006-03-05 8 5347
135 장비 관련 보드 바지 입는 법 -_- [55] 비었다네 2006-03-04 4 8109
134 장비 관련 고글 김서림 방지 [2] 램프 2006-03-03 7 6991
133 장비 관련 32 베이더 쓰시는 분들만 보시면될듯^^ 구매... [3] CraZyfEel 2006-02-24 17 2367
» 장비 관련 장비에 선택에 관한 저만의 생각..... [29] 불량패트롤 2006-02-15 3 2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