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문자분들이 묻고 답하기 게시판에 길들이기 왁싱에 관해서 주로 묻는 질문을 정리해봤습니다

대상자 : 1. 첫 장비, 첫 왁싱 보더들
            2. 중급정도의 가격 데크 보유
            3. 가성비를 중요하시하는 보더
            4. 왁싱에 대해 깊게 들어가지 않고 데크 보호용으로 사용하시려는 보더
            5. 다음 시즌에 데크 교체하실 보더(막데크)

1. 새 데크 길들이기 왁싱 

(1) 길들이기 왁싱 꼭 해야되나요? 
 - 하면 좋습니다.(내구성, 기타 기능 향상 까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데크 보호차원에서)
   팩토리왁싱은 핫왁싱과는 차이가 있으니 길들이기 왁싱을 못하더라도 데크 보호용으로 핫왁싱 후 라이딩을 권장
(2) 길들이기 왁싱시 팩토리 왁싱 리무버 해야되나요?
 - 완벽한걸 추구하고 싶다면 리무버 사용 후 길들이기 왁싱
   (기본 왁스와 길들이기용 왁스가 섞일 수 있고 길들이기용 왁스가 제대로 흡수되지 않을 수 있음)
 - 새 데크 상하지 않게 보호용으로만 하시려면 기존 데크에 핫왁싱만 해도 무방

(3) 길들이기 왁스 종류
 - 익스트림 왁스 핑크(대세) : 그냥 좋다고 함, 묻고 답하기 게시판에서 제조자분의 친절한 설명을 들을 수 있음 
 - 볼라 MX 200 : 새 스키 길들이기용(제품설명)
 - 막데크/저렴/왁스차이모르겠다는 분들 : 볼라 유니버셜 왁스 또는 용량깡패 LF-250로 해도 무방,(안하는것보다 낫다는 의견)

(4) 기본 핫왁싱 방법
 - 리무버->왁스 녹인후 다림질->건조 (따뜻한 곳에서 1~2시간정도)->스크래핑->솔질

(5) 새 데크 길들이기 왁싱 방법
 - 리무버(선택)->왁스 녹인후 다림질1->건조 (따뜻한 곳에서 1~2시간정도)->다림질2->건조-다림질3~4->건조-
>사용하기전 스크래핑->솔질
 - 길들이기 왁싱은 스크래핑 하지 않고 다림질->건조과정 3~4회반복
 - 2회~4회 다림질 시 데크에 왁스가 부족하면 더 사용 

2. 왁싱 장비
(1)리무버 : RCR-450(대세,저렴), 다이소 오렌지다목적세정제(가장 저렴), 전용 리무버

(2)왁스 : 익스트림 왁스 화이트,블루(이것저것 생각하기 싫은 분들) 
             볼라 유니버셜 (가성비, 데크 보호용)
             LF-250 (용량깡패, 셀프왁싱킷에 들어가는 제품)

(3)다리미 : 테팔 건식 다리미 (2만원대), 지식쇼핑 가장 저렴한 건식 다리미 (8천원대)
                -열 보전력이 떨어져서 온도편차가 발생할 수 있음, 바닥이 평평해서 데크와 흡착현상 발생할 수 있음  
               왁싱 전용 다리미 토코 T8, 볼라 T-40B 등이 있음

(4)스크래퍼 : 아크릴 상점에서 잘라서 사용(길이15cm, 너비5cm, 두께5mm)
                  문구용 30cm 아크릴 자를 사로포 갈아서 사용
                  신용카드, 포인트 카드 가능 
(5)솔 : 솔 길이가 짧은 나일론 솔 (다이소 구매 가능)

3. 마치며

저와 같은 장비, 왁싱 입문자용으로 정리해놓았으니 부족하더라도 양해해주시고 수정해서 다른 분들도 볼 수 있게 의견달아주세요

고가, 고성능, 전문장비보다 가성비에 중점을 둔 저가형이나 입문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으로 정리했습니다

활주성이나 기타 다른 용도를 고려하신다면 고성능 제품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특정 제품들을 언급한것은 절대적인것이 아니며 입문자분들에게 정보를 주기 위함입니다 문제가 있을 시 수정하겠습니다 

엮인글 :

comanet

2015.11.30 13:18:25
*.186.68.11

누구나칼럼에 가면 정말 좋을거같아용! 좋은글 감사합니다 추천

파머

2015.11.30 22:42:59
*.187.47.22

필요한거 딱 적혀있네요 ^ ^

북극인

2016.02.07 02:46:32
*.168.170.104

길들이기 왁싱 3-4회 반복 후 스크래핑을 하지 않고 바로 슬로프 올리면 안되는건가요 아니면
3-4회 반복시에만 스크래핑 생략하고 3-4회가 끝나면 스크래핑을 하는건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55
351 장비 관련 Snowboard/Ski Deck Construction [5] 카릴 2016-03-03   3271
350 장비 관련 비싼데크? 좋은데크? [27] 라메르-임채호 2016-01-29 67 8279
349 장비 관련 금속보강재 티타날이란? [22] 카빙낙엽 2016-01-26 5 7560
348 장비 관련 15분 핫 왁싱 !!!!! [13] 심장이통통 2016-01-20 3 7558
347 장비 관련 발에 통증없이 부츠 신는 방법 ... [20] 장어구이 2016-01-07 29 12533
346 장비 관련 전투보딩을 원하는 하체가 약하신분들의 부... file [1] 피브리조 2015-12-30 1 6715
345 장비 관련 센터링 잡는 법 팁 몇가지 알려드릴께요.. file [41] FC-X 2015-12-18 46 11030
344 장비 관련 버튼 바인딩 스트랩 잘라서 쓰세요.. file [55] FC-X 2015-12-04 65 10415
343 장비 관련 버튼 데크, 바인딩 정리 (ICS데크, EST바인딩) file [4] 하늘에별따귀 2015-12-01 10 10673
» 장비 관련 길들이기 왁싱 정리해 봤습니다(입문자용) [3] eNgenius 2015-11-30 10 9272
341 장비 관련 매우 개인적이고 이론적인 붓아웃 계산법 file [3] B.Boong 2015-11-20 9 5960
340 장비 관련 바인딩 나사 체결시 오류(빠가, 풀림) 해결 팁 [8] 레브가스 2015-10-06 11 5140
339 장비 관련 일본덱, 유럽덱 지름은 올해가 최적이지 싶... [4] 보린 2015-08-24 1 4457
338 장비 관련 유니온 바인딩 DANNY KASS의 (08년~16년) 고찰 file [5] yOeL 2015-03-13   4180
337 장비 관련 스노보드 베이스를 정리하였습니다. secret [25] GATSBY 2015-03-12 20 3585
336 장비 관련 7가지 캠버의 특성 총정리 secret [19] GATSBY 2015-03-05 26 3172
335 장비 관련 사이드 컷을 활용하자. (카빙 쉽게 하기) [4] Akapoet 2015-01-20 6 10981
334 장비 관련 학동 투어중 라이딩용/프리스타일용 플렉스 ... secret [40] GATSBY 2015-01-14 19 5844
333 장비 관련 토션, 토셔날 플렉스 Tosional Flex [3] Akapoet 2015-01-06 6 5941
332 장비 관련 바인딩 전용드라이버를 알아보자 file [12] 빨간단무지 2014-12-09 8 11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