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한번 거창하게 써보았습니다.
제가 자유게시판에 2번정도 엔데버 스노우보드사의 OEM에 대해서 몇번 써왔는데, 몇분께서 쪽지로 질문을 해오셨습니다. 그래서 한번 OEM에 관한 글을 한번 써보려고 합니다. 엔데버에 관한 내용은 트랜스월드 스노우보딩 잡지의 2004년 9월에 실린 기사와 유럽 OEM 에 관한 내용은 www.boardsportsource.com 에서 매년 발행하는 유럽 연간 마켓 보고서를 참고 했습니다.

엔데버는 시작된지 6년째인 신생회사입니다. 첫해에 400장을 팔았구, 작년시즌에는 전세계에 5500장을 팔았습니다. 매년 유럽에서만 생산되는 보드가 985,000 장인것을 감안하면 정말 소규모의 회사이죠. 그러나 회사 브랜드 이미지는 상당히 좋구 많이 알려진 편 입니다.

엔데버가 처음 생겼을때에는 미국 오레곤주의 공장에 하청을 줘서 만들다가, 2003 년 즈음해서, 상위모델을 모두 캐나다의 소규모로 고급 보드를 만드는 곳인 Jason Broz 에 하청을 주기 시작합니다. 그후에는 바로 옵션 스노우보드사에서 하청을 받아 만들기 시작하며, 내년부터는 몇몇 하위모델은 오스트리아에서 제작이 됩니다.

옵션스노우보드도 마찬가지로 몇년전 부터 상위모델 몇개를 제외한 전 제품을 오스트리아에서 하청 제작합니다. 이때 옵션 사장님이 인터뷰에서, 비용절감을 위해서 오스트리아에서 하청을 준다는 말을 했습니다. 캐나다에서 제작하는 것 보다 오스트리아에서 제작해서 캐나다로 들여오는 것이 싸다는 말 입니다. 그래서 옵션 보드에 Made in Austria , Designed in Canada 라는 웃지 못할 원산지 표시를 해놓았습니다. 캐나다 산 이라는 프리미엄을 놓지 않고 싶어서 인가 봅니다.

오스트리아,슬로베니아는 한마디로 스노우보드 대량생산의 본거지 입니다.
엘란,Pale,GST 들이 세계의 대부분의 유명 브랜드를 OEM 생산을 해줍니다.

이 3개 회사가 1년에 생산해내는 보드가 475,000 장 입니다. 포럼,롬,캐피타,나이트로,옵션 등 참으로 많은 브랜드가 이 3곳의 공장에서 만들어 집니다. 대량생산을 하기 때문에, 재료를 대량으로 싸게 구입할 수 있기에, 보드 제작 단가가 싼 편입니다.

캐나다의 소규모 수공업체들은 전세계적으로 콸리티를 인정받고, 이미지 가치도 매우 높으나, 소량 생산에 제작 단가가 매우 비쌉니다. 보드회사가 커지고 돈을 많이 벌려면, 이런곳보다는 오스트리아의 공장에 하청을 주는 것이 유리 한 것 입니다.

엔데버도 초창기에는 이런 소규모 수공회사인 Jason Broz(사장이름)에 하청을 주었으나, 회사 규모가 커지면서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곳으로 거래처를 옮기는 것 입니다.
그러나 그 만큼의 질적인 하락은 감수를 해야 하겠지요.

이제는 제품 질의 싸움이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의 싸움인 것 같습니다.
그래도 남아있는 보드시장에서의 소량의 고급제품들은 소비자들이 판별해내기는 어렵겠습니다.
엮인글 :

그렇다면

2007.04.21 08:09:48
*.141.71.18

...양질의 제품을 찾는 방법은

Made in Canada인 제품을 고르는것뿐인가요?

하긴 Made in Austria가 Made in China 보다야....

규사마

2007.04.21 10:26:38
*.254.138.94

엔데버 06-07까지는 수공이더군여 ^^ 저의 roots ㅋㅋㅋ

王토야

2007.04.21 13:01:03
*.173.9.18

대량생산이라해서 무조건 나쁜건 아니라고 봅니다. 오히려 수작업이 더 작업자의 컨디션 여하에따라
위험하지않을까요? 대량생산을 한다면 그 규모에 맡는 엄격한 테스트를 거치지않나요?
문득 그런 생각이 듭니다만...슬로베니아나 오스트리아가 그 나라의 인건비가 싸고, 재료를 대량으로
가져오기 때문에 싼거죠. 이때문에 제품 자체의 퀄리티가 떨어진다는건 의문이가네요. 그냥 제 생각입니다.
캐나다와 오스트리아의 국가 이미지영향이 큰건지..... 좋은 글 잘봤습니다.^^

S로마

2007.04.21 14:19:59
*.180.179.98

2004년 엔데버 파보 모델이 TWS Top 10 보드에 선정이 되었는데요, 이때가 바로 캐나다의 Jason Broz 가 제작한 보드 입니다. 그 다음해인 2005년 모델 부터 파보는 옵션공장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아무래도 어떤 분야이던지, 소규모로 한정판처럼 만들어지는 것들이 콸리티는 좋은 것 같습니다. 물론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Super star★™

2007.04.21 16:54:45
*.234.187.53

옵션..중국제도 많던데요.

업타운

2007.04.21 17:23:59
*.41.250.37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CNL Co. 에서 수입하는 엔데버 스노우보드의 원산지에 대해 올려주셨는데요 저희가 수입하기 시작한 05-06 시즌부터 이번 시즌에 들어올 0708 시즌까지 매년 다변화를 꾀하며 있습니다. 위에 글을 남겨주신 로마님의견처럼 일부 모델은 오스트리아에서 생산된 제품들도 있습니다.
이번 0708 제품중에서는 LIVE , DIAMOND, NEXT, COLOR 시리즈는 오스트리아 생산제품입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디자인은 엔데버 본사의 여러 디자이너들에게서 나온것이기때문에 그런 표기가 됩니다.

소위 많은 저가제품들이 공정상에서 디자인된것을 각 브렌드에서 구입하는것이 아니라 디자인과 퀄리티 결정은 엔데버에서 직접 관리하기때문에 표기하는 것입니다.

제품의 생산에 있어 좋은자제와 꼼꼼한 공정은 돈으로 직결됩니다. 따라서 큰 공장에서 공정을 거치더라도 우수한제품도 많습니다. 생산단가의 차이는 저희도 정확히는 알 수 없습니다.

저희가 올해 생산결정된 제품중 다른 사이즈를 요구했을때도, 엔데버측에서 답변이 오기를 우리가 원하는 사이즈에 대해 동일한 코어가 생산이 안되어 힘들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만큼 자신들의 제품에 신경을 쓰고 있으니 향후 한국스노우보더들에 좀더 적합한 코어생산에 대해서도 약속을 했습니다.

저희는 앞으로도 엔데버 본사와 항상 이야기 하면서 한국에 대한 이미지도 높여나갈것을 요구하고 또 수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ENDEAVOR SNOWBOARDS 많이 사랑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헝그리부츠

2007.04.23 01:37:46
*.9.61.126

무조건 하청제품이 나쁘다고 볼수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적어도 그 나라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나라의 이미지와 또는 만든 회사의 생산된 제품과 직결이 된다면요.
흔히 우리가 나쁘다고 생각되는 중국산...
왜 나쁘다고 말하는걸까요.
보드에 개념조차(?) 이건 좀 심한 말인가..
아무튼 보드랑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듯한 그런 이미지의 또한 그런 회사가 제작을 맡아서 이기 때문 아닐까요.
전 그렇게 생각 됩니다.
사업을 하면서 생산단가를 낮추는 일은 제일 중요합니다.
하지만 생산단가도 낮추고 또한 생산되는 제품의 질또한 나쁘게 한다면 그건 나쁘다고 말할수 있지만.
브랜드의 이미지를 생각하고 또한 제품의 질을 절대로 그전과 동일하게 갖추어 간다면
나쁘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론리보더 ~ ♪

2007.04.23 08:52:06
*.127.218.162

소규모공장의 수공?(수공의 기준이 뭔지 모르겠지만 설마 직접 손으로 데크를 만드는 건 아니겠죠;;) 데크가
좋다는 건 편견일 수도 있습니다.
최신 생산 설비의 차이는 곧 품질로 연결되니깐요.

어떤보더

2007.04.23 09:15:03
*.252.163.104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물론 스노우보드 특성상 일부는 사람 손을 타는 부분도 있습니다만..
수공의 단점이라면 제작자의 숙련도에 따라 퀄리티의 균일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이죠..
대량 생산품, 공산품일 수록 퀄리티가 들쭉날죽한 최고급보다 균일한 퀄리티의 그저그론 제품이 더 좋은거죠..
특히나 데크의 경우 그렇다고 봅니다...

후니~★

2007.04.26 18:16:17
*.250.56.14

ㅇ ㅏ.. 자영업을 하는 사람중 한명으로써..기업이미지(아직까지 기업까지는 아니지만..^^;;;;;;)
정말 중요하다고 봅니다..죽느냐 사느냐 문제죠..정말..ㅠㅠ

ㅋㅋ

2007.04.29 16:13:00
*.15.143.19

엔데버 구린데 뭘 수공이라는건지

^^

2007.04.30 13:47:42
*.55.120.70

본드칠만 한번 직접 손으로 해도 핸드메이드라더군요 ㅋㅋ

핸드메이드

2007.05.01 04:20:44
*.151.107.33

핸드메이드의 장점은 소량생산으로 희귀성을 꼽을 수 있지만 상품에 따라서 질이 대량생산보다 좋다고 구지 말하기 어렵겠죠. 핸드메이드의 경우 당연히 같은 조건이라면 가격이 비싸겠죠. 그래서 가격비성능은 당연히 떨어지겠죠.
미국의 트랜스월드잡지사에서 꼽는 탑10보도는 아주 심하게 말하면 좀 "쓰레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단지 미국산에서 다른 나라로 옮겼다는 이유로 탑10보드였던 것을 쓰레기 취급하는 "과잉애국자"들이 테스터로 들어 가기때문이죠. 믿지 못하면 미국보드싸이트 포럼에 들어가서 한 번 그들과 대화해 보시길...
패션 프리미엄브랜드의 경우 원산지의 표시가 중요하겠지만 (이유는 버버리가 튼튼해서 방수잘되서 버버리가 아니라 브랜드가 주는 이미지때문에..) 하지만 보드는 브랜드이미지를 이야기 할때 성능을 바탕으로 그 성능을 논하는 것이 되어야 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leeho730

2007.06.09 15:06:00
*.100.90.209

그 Jason Broz 가 새로운 스노우보드 회사를 차렸습니다.
이름은 Clyde Snowboard, 캐나다에서 제작하고 팩토리 숍을 오픈할 예정입니다.
웹사이트 주소는 target=_blank>http://www.clydesnowboards.com/

이번 가을에 캘거리, 캐나다에서 오픈하며, 2008년 시즌을 위한 스노우보드를 만들며,
상급자를 위한 커스텀 주문제작도 한답니다.
한번 방문해 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231 장비 관련 자기가 사용할만한 데크의 길이를 확인해보... [13] 협이 2007-03-08 52 6285
230 장비 관련 왁싱 - <양초 왁싱, 무엇이 옳고 무엇이 ... [6] Lunatrix 2007-03-12 78 10668
229 장비 관련 0506 커스텀 엑스 테일부분 회색 스크래치 ... [15] 영권 2007-03-13 44 5019
228 장비 관련 데크랑 바인딩을 풀 때! [18] mrflow 2007-03-13 44 7637
227 장비 관련 올바른 스노보드 세팅법에 대해서 [19] 정덕진 2007-03-15 29 12862
226 장비 관련 바인딩 센터링시 무게중심에 관한 고찰 [24] 바램지기 2007-03-16 51 17313
225 장비 관련 세탁~ [24] 똥싸계 2007-03-18 28 6007
224 장비 관련 하이빽을 틀어주자!! [46] NiKimaru 2007-03-25 37 8183
223 장비 관련 유명 스노우보드 내구성 문제 [22] WG로마 2007-04-09 40 6165
» 장비 관련 엔데버로 알아보는 OEM의 비밀 [14] S로마 2007-04-21 37 5724
221 장비 관련 아직 0405 팀투부츠를 사용하시는 분들께 [5] 소닉군 2007-05-12 59 3242
220 장비 관련 캐나다의 메이커 Jason Broz의 스노우보드 ... [7] leeho730 2007-06-09 125 4607
219 장비 관련 스노우 보드 데크 검색이 가능한 사이트 입... [8] 협이 2007-06-12 77 5836
218 장비 관련 오클리 렌즈에 따른 실제 모습 [10] 올챙이에요~!@ 2007-08-17 68 9241
217 장비 관련 내 신체와 잘 맞는 데크를 고르자 file [37] SSINBI 2007-08-23 37 21555
216 장비 관련 엔데버의 씁슬한 원가 절감정책 [28] S로마 2007-09-05 -5 6557
215 장비 관련 하이빽 로테이션!!! [31] NiKimaru 2007-11-18 51 7299
214 장비 관련 데크 길이의 유행은 돌고돌고? [24] Gatsby 2007-11-22 54 9201
213 장비 관련 장비구매시 중복투자를 최소화 하는법. [16] 이남자의순정♬ 2007-12-04 15 5819
212 장비 관련 발수력 떨어진 보드복 스키복 겨울철 등산복... [15] 스펜서 2007-12-24 48 8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