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7 시즌 끝나고 올렸다가 몇몇 리플에.....

"진작좀 올려주시지"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시즌도 이제 시작이고 하니 참고 하시라고

중복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다시 한번 올립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해요^^;;
엮인글 :

11

2007.11.18 18:12:39
*.166.231.235

잘 몰라서 하는 말이지만 이렇게 하이백을 로테이션 시키면 부츠랑 바인딩 사이에 남는 공간이 생길 것 같은데;; 이게 원래 정석인가요? 첨 들어보는 소리라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雪立™-지팡이

2007.11.18 18:20:08
*.81.128.157

맞습니다. 해보시면 압니다.

Buddhababe

2007.11.18 20:11:56
*.145.214.159

근데 이렇게 하면 부츠가 데크를 중심으로 토우쪽으로 나가더라구요. 그럴 경우는 어케해야돼요?

11

2007.11.18 22:29:54
*.166.231.235

이 칼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듣고 싶어요 ㅠㅠ 잘 아시는 분 대답 부탁드려요 ㅋ

Lunatrix

2007.11.19 00:02:01
*.252.68.194

하이백 로테이션은 이것이 정석이냐 아니냐는 차원에서 보기 보다는, 필요에 의해서 생긴 바인딩의 기능중 하나로 봐야 할듯 하네요.
로테이션으로 인해 얻어지는 장점을 취할 사람은 취하는거고, 그게 싫은 사람은 마는거고...머 그런거죠...
전 미그를 쓰는데 하이백을 돌려놓으면 생기는 사소한 불편함이 너무 싫어서 그냥 씁니다.(그래요 저 까칠합니다)

칼럼 자체가 옳으냐 그르냐를 물으신거라면... 지극히 정확한 칼럼이라고 봅니다.

mc

2007.11.19 00:09:33
*.236.208.40

포워드린과 비슷하게 개인 취향일듯...
저는 하이백 뒤틀리는 게 싫어서 안해요
사실 힘전달도 잘 모르겠음ㅋ 라이딩을 잘 안해서 그른가ㅎ

참치회

2007.11.19 00:38:27
*.46.150.13

저도 바꿨다가 하이백이 왠지 불안해 보여서 다시 원위치...

보더-天雪飛龍

2007.11.19 00:49:21
*.57.212.149

전 항상 하이백 로테이션 해서 세팅합니다...
느낌인지는 모르겟으나
라이딩 할떄는 힘전달이확실히 잘 됩니다...
처음에는 약간 불안 해 보였지만...
아무런 문제 없었습니다

킬킬

2007.11.19 02:50:31
*.130.254.212

보다나은 라이딩을 위해 꼭 필요한겁니다.
로테이션햇을때 부츠가 앞으로 더 나가는거는
바인딩을 빼서 센터를 맞춥니다.

way

2007.11.19 03:04:50
*.5.7.25

저도 항상 로테이션 합니다..각이 21'라...
저도 첨엔 하이백 부러지진 않을까 걱정했는데요..전혀 지장 없었구요..
전 라이딩만 하기에 로테이션 하면 확실히 달라집니다.

...

2007.11.19 09:49:17
*.49.29.2

정리하면... 라이딩을 많이 하는 사람은 꼭 하는 것이 좋고 키커나 파이프의 파크질을 주로 하는 사람을 안하는게 나음.. 로테이션하면 부츠와 하이백이 밀착이 덜되기 때문에 접점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훨씬 커져서 키커에서 랜딩을 하거나 파이프나 레일등등에서 순간적인 힘을 받을 때 하이백에 무리가 더 가기 때문에 부러질 위험이 더 커져요... 힐컵이 없는 바인딩을 사용한다면 로테이션을 해도 물리적학적으로는 좀 낫긴 할텐데...

&#0010

2007.11.19 10:26:05
*.113.5.45

하이백 로테이션도 했고, 키커랜딩하다 그 바인딩의 각 연결부위가 조각조각 부러졌습니다. 하이백 로테션이 바인딩 파손의 결정적인 원인인지는 모르겠으나 어느정도는 인과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라이딩시 하이백로테션이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 차이는 아주 쪼끔~이지만
그런 셋팅으로 인한 조금의 차이들이 모여서 크게 체감할만한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닐까요~^^

스노우워커

2007.11.19 10:29:37
*.141.9.190

제 바인딩은 불행하게도 로테이션이 불가능하지만. 효과적인 힐엣지시 힘의전달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유사한 내용은 sky칼럼에 3번글 완벽바인딩 세팅에 또 나와있습니다.

프랭클린

2007.11.19 11:19:02
*.131.231.90

매년 시즌만 되면 잠깐 이슈가 되는 사항입니다...
각자 돈주고 산 바인딩이나 데크, 자기 몸에 맞게 튜닝해서 사용하시는것 좋습니다.

하지만 이런한 사항은 각자 주관적인 느낌이나 사실이라고 생각 됩니다.
따라서 섣부르거나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결론을 내리기엔 아직 무리라고 보여 집니다.

데크나 바인딩 제조사에서는 수많은 기술자가 연구와 실험,설계, 테스트등을 해서 매년 시제품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중에 하이백 로테이션이 언급되거나 시도 되지 않았을까요?

뭔가 틀어서 내놓기에는 장점보다는 더 많은 단점이 발생하거나, 그다지 효율이 없거나, 아님 이렇게 고객의 판단에 맡기거나...
하지만 어느 바인딩 제조사도 자기몸에 맞게 하이백을 틀어도 됩니다. 라는 문구는 못봤습니다.

라운딩시 하중이나 파손등 그런것에 책임을 피하기 위했을수도 있고 효율이 없다던지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것 같습니다.

따라서 하이백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잘 설명해 주셨지만 그 다음의 의견들에 대해서는 좀더 신중해져야 할것 같습니다.

josh

2007.11.19 13:18:43
*.198.100.42

윗 분들도 말씀하셨지만, 자기 장비 쓰는 첫째 이유는 자기 몸에 맞는 세팅이겠죠.
하이백 로테이션도 일종의 세팅의 옵션이니 자기에게 필요하면 하면 되겠죠. ^^
저는 개인적으로 하이백 로테이션 유무에 따라서 라이딩 느낌이 확연이 차이나는 것 보면, 저에게는 필요하고 큰 도움이 됩니다. ^^

최동승

2007.11.19 14:59:04
*.105.16.225

장비란 자신의 라이딩 능력에따라 10~20% 정도의 차이를보인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능률을올리기에 최적의조건을 만들어 노력한다면 실력향상에 큰도움이될꺼라생각합니다

아직

2007.11.19 16:16:54
*.157.196.251

저두 이것저것 다해봤지만 심리적인 효과말고는 별다른 차이는 안느껴지고...

날고긴다하는 고수 및 프로들도 하이빽로테이션을 안하고 타시는분이 훨씬 많은걸로봐선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걸로 보입니다.

김왕장

2007.11.19 21:17:52
*.212.12.185

바인더마다 로테이션이 잘되고 안되는게 있어요.
안되는거 너무 무리하게 틀려고 하지들 마시고...
이것도 좋은 정보니 한번쯤은 시도정도는 해보시고 나에게 도움이 될것인가 안될것인가를
판단하는게 좋겠네요. 쉬우니까.

참고로 전 안합니다.
이거하면 몇년전까지 문답에 뻔질나게 올라오던 소위 바인딩/부츠 궁합이란게
완전 메롱되거든요. 포워드린처럼..

환장보더

2007.11.20 01:49:48
*.96.100.108

제가 알기에도 하이백을 로테이션 시키는 것은 힘전달을 좀더 용이하게하기 위해서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돌리지 않아도 라이딩엔 문제가 없으나.. 어떤 프로의 칼럼에서 본것 같은데요.. 상급자로 가고자하는 사람이라면 미묘한 차이지만 로테이션을 하는 것이 좋다고한 것을 본기억이 남니다.. 사실 저도 귀찮아서 그냥 타는 편인데 올해는 돌려봤네요.. 걍타고나면 제하이백이 살짝 비틀림이 생기는 것 같아서 이번시즌엔 돌려서 타볼려고요...!!

라쉬

2007.11.20 16:52:45
*.216.159.200

전 버튼 계열 바인딩을 주로 쓰는데요, C14도 그렇고... C60도 그렇고... 하이백 로테이션 할려면 연결부위 나사 자주 조절해야 하는데(약간씩.... 움직여서 최상의 조건을 찾아야 하니...) 그러다 보면 안쪽 네모난 쇠붙이로 인해 연결 부분이 잘 깨지더군요... 그담 부텀.... 걍 있는대로 탑니다.... 에휴~

jegun

2007.11.20 17:07:23
*.114.22.106

로테이션을 하고 안하고의 차이는 다운했을때의 하중을 얼마나 손실없이 데크로 전달하느냐의 차이입니다.

로테이션을 하지 않은 때를 예로 들어보죠.

15' -9'의 덕스탠스를 가진 보더가 라이딩을 한다고 가정했을 때,

양발에 각각 100만큼의 하중이 가해진다고 하면 앞발 : 100*cos15=96.6 / 뒷발 : 100*sin15=98.8만큼의

힘이 데크로 전해지는거죠.

즉, 1-(96.6+98.8)/200=0.023 2.3%의 힘손실이 발생하게 되는거죠.

이 차이가 미미하다고 생각되실수도 있지만, 우리가 안정되고 깊은 카빙을 위해서

조금이라도 더 많은 다운을 하려고 하는것을 생각해보면

작은 차이지만 라이딩에 미치는 효과는 분명 있디고 생각됩니다.

2007.11.20 19:30:05
*.130.254.212

헝글에는 주기적인 무한루프로 반복되는 주제가 몇가지 있죠.

접점이 잘 나오지 않는 이유는 개개인의 실력이나 단계마다 안목과 경험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윗분이 설명잘해주셨는데 만약 앞발이 15도가 아니고 18,21이나 그 이상이라면 어떨까요?

로테이션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됩니다.

투명종이

2007.11.21 09:55:05
*.84.26.70

보통 한쪽 바인딩을 15도 이상 각도를 주게 되면 하이백 로테이션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하더군요.

전 15, -12로 타는데 하이백 로테이션 해보려고 했다가 하이백이 부러질 것 같아서- _-;; 포기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첫 시즌에 18, -9로 타면서 하이백 로테이션을 해봤는데(이 때는 바인딩이 달랐어요.) 힘 전달의

차이는 나는 것 같습니다.

3333

2007.11.21 10:39:28
*.146.47.135

힘전달이 잘된다고 꼭 보드를 잘타는건 아닙니다.

쪼아쪼아!

2007.11.21 12:05:38
*.246.49.26

전 안하다 이번부터 해보려고요~! ㅋㅋㅋ~!

불타는산소탱크 준이

2007.11.22 05:54:21
*.130.84.163

한번 해봐야겠다 ㅋㅋㅋ

후지산보더

2007.11.22 16:00:23
*.73.10.121

완개초보

2007.11.26 00:03:12
*.183.13.1

저거 트는 방법 좀 누가 알려주심 안될까요.
나사부분 돌려도 반대편 맞물린 부분하고 같이 돌아가는데..;;
특별한 장비를 써야하는건지.. 후..;;

헝글박코치

2007.11.27 10:37:07
*.43.114.80

양쪽 다풀고 한쪽으로 치우치면 됩니다.
저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해놓고 한번 타봤는데요 그뒤로 bs180가 안되더군요 ^^ 스킬차이인가 ㅋㅋㅋ

국가대표보따리

2007.11.27 19:02:31
*.187.90.94

키커타면 반딩 개작살 납니다 ㅎㅎㅎ 유격이많아서 랜딩존이 하드한 우리나라 눈에서는 물론 100 % 마그네틱 랜딩이 가능 하신 분이라면 갠찬켔지만 아무래도 저같은 키커 빨래감 들은 ...... 라이딩만 하시는분들은 하셔도 .. 무리 없어보일듣.
안하셔도 별 무리 없어보이는듣 합니다 하이백 하나 3 만에서 7 만원 합니다 ~ 우리는 헝그리 보더 입니다 ㅎㅎ

얼렁뚱땅

2007.12.13 14:38:25
*.88.234.205

했는데 전혀 득이 없더군요 하이백을 틀어 놓으면 하이백이 완전 하게 펴지질 않더라구요..
제가 잘못 조절해서 인지는 몰라도 그렇게 되면 토턴시 힘전달이 약하게 되는거 같고.
무게 중심과 힐턴시 너무 과도한 힘을 주어 흐트러 지게 될 뿐더러..그라운드 트릭에 있어 대단히 번거롭다는,.,
습관이 안된지인지는 몰라도 비추입니다 모든지 원조가 최고니까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86
231 장비 관련 자기가 사용할만한 데크의 길이를 확인해보... [13] 협이 2007-03-08 52 6285
230 장비 관련 왁싱 - <양초 왁싱, 무엇이 옳고 무엇이 ... [6] Lunatrix 2007-03-12 78 10668
229 장비 관련 0506 커스텀 엑스 테일부분 회색 스크래치 ... [15] 영권 2007-03-13 44 5020
228 장비 관련 데크랑 바인딩을 풀 때! [18] mrflow 2007-03-13 44 7639
227 장비 관련 올바른 스노보드 세팅법에 대해서 [19] 정덕진 2007-03-15 29 12862
226 장비 관련 바인딩 센터링시 무게중심에 관한 고찰 [24] 바램지기 2007-03-16 51 17313
225 장비 관련 세탁~ [24] 똥싸계 2007-03-18 28 6007
224 장비 관련 하이빽을 틀어주자!! [46] NiKimaru 2007-03-25 37 8183
223 장비 관련 유명 스노우보드 내구성 문제 [22] WG로마 2007-04-09 40 6167
222 장비 관련 엔데버로 알아보는 OEM의 비밀 [14] S로마 2007-04-21 37 5724
221 장비 관련 아직 0405 팀투부츠를 사용하시는 분들께 [5] 소닉군 2007-05-12 59 3242
220 장비 관련 캐나다의 메이커 Jason Broz의 스노우보드 ... [7] leeho730 2007-06-09 125 4607
219 장비 관련 스노우 보드 데크 검색이 가능한 사이트 입... [8] 협이 2007-06-12 77 5836
218 장비 관련 오클리 렌즈에 따른 실제 모습 [10] 올챙이에요~!@ 2007-08-17 68 9241
217 장비 관련 내 신체와 잘 맞는 데크를 고르자 file [37] SSINBI 2007-08-23 37 21555
216 장비 관련 엔데버의 씁슬한 원가 절감정책 [28] S로마 2007-09-05 -5 6557
» 장비 관련 하이빽 로테이션!!! [31] NiKimaru 2007-11-18 51 7299
214 장비 관련 데크 길이의 유행은 돌고돌고? [24] Gatsby 2007-11-22 54 9201
213 장비 관련 장비구매시 중복투자를 최소화 하는법. [16] 이남자의순정♬ 2007-12-04 15 5819
212 장비 관련 발수력 떨어진 보드복 스키복 겨울철 등산복... [15] 스펜서 2007-12-24 48 8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