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제가 쓰는 막보드복 바지가 있습니다.
몇달전 5만원주고 샀는데 발수력 정말 형편없더군요.
그래서 발수 코팅제로 재생 시켰습니다.

발수력이라는것은 방수와는 다릅니다.
발수는 섬유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물이 옷감으로 스며드는것을 방지하는것 입니다.
옷감에 물과의 접촉면을 최대로 줄여주게되죠. 즉 완벽한 발수는 물방울을
완벽한 원(구)으로 만들어주죠. 거의 옷감위에 물방울이 떠있게 되는거죠.

여러분들이 보드복을 살때 발수력이 궁금하면 태그에 붙은
수치를 보지 마시고 물 몇방울을 떨어뜨리고 가까이가서 물방울의
형태를 보면 압니다. 구에 가까울수록 좋은 발수코팅이 된 보드복입니다.
방수는 물이 압착되었을때 안으로 못들어가게 하는 압력입니다.
보통 만방 이만방을 mm 단위로 표기하는데 ml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중요도로 보자면 보드용 기능성 의류는 발수가 좋아야 합니다. 그다음이 방수죠.

발수는 (Durable water repellent)이라고 하는데 옷감에 입힌 코팅막입니다.

이건 고어텍스도 마찬가지 입니다.
고어텍스라는게 안감과 겉감 사이에 있는 멤브레인(얇은막)이
다른 기능성 의류와 다르기때문에 고어텍스입니다.
고어텍스 전용의 멤브레인 이라는거죠.그 고어텍스 멤브레인을
중간에 넣고 만든 원단이 고어텍스 원단인데 고어텍스사만 가공및 공급을 하는걸로 압니다.

보통 보드복에는 방수와 투습의 수치가 태그에 붙어있죠.

투습도의 수치는 한시간동안 1제곱미터의 원단을 통과하는 수증기의 무게 입니다.
쉽게말해 옷을 입고 있는 인체가 발산하는 땀을 얼마나 시원하게 말려주느냐 입니다.
그리고 투습도만 포기한다면 방수력은 얼마든지 높일수 있지만
그러면 쾌적함이 줄어들기에 방수와 투습을 어느정도 하느냐가
관건이 된 거죠. 그런면에서 고어텍스 멤브레인이 가장 탁월 하게
양쪽을 만족시켜 줍니다. 그러므로 고어텍스 원단이라도 사용할수록
DWR코팅막은 얇아지고 부서지게 되므로 발수력은 떨어집니다.

그럴때 발수코팅제를 발라서 다시 코팅을 입혀야 합니다.
이때 주의할점은 우레탄이나 실리콘 성분이 들어있는 코팅제라면 피해야 합니다.
투습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죠.

그리고 코팅은 그냥 뿌리고 말려서는  효과가 미비합니다.
헤어드라이기나 열선 난로, 60도 정도의 저온 다리미(온도 유지가 가능하면 효과가 제일큼)
로 압력 그리고 열로 코팅을 해줘야 효과가 있습니다.

이번에 거의 생활 발수력 정도로 전락한 중고 보드용 자켓을 하나 샀는데
이것도 Revive X 로 살려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깨끗하게 빨아서 잘 말린후 코팅을 입히는거죠.

물론 공장서 만들어졌을때의 발수보단 못한건 당연합니다.
발수력이 재생된다는 의미가 100%로 재생은 아닌거죠.
그런제품이 나온다면 기존 제품보다 5배정도 가격이 올라도 뭐라 할수 없을겁니다.
발수코팅은 모든 soft shell에 적용 가능하니 나중에 한번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발수력 향상은 TOKO WAX < NIK WAX < REVIVE X 순 으로 점수를 매깁니다.
엮인글 :

&#0010

2007.12.24 17:07:27
*.113.5.45

무플방지위원회에서 왔습니다.

형. 저 새로 취직했어요 ㅋ

호오

2007.12.25 09:02:35
*.30.3.236

아주 좋은 정보이군요. 안그래도 보드복 바지 엉덩이부분이 발수,방수 성능이 떨어지기 시작했는데.. 암튼 감사.

상디

2007.12.25 10:40:59
*.236.144.201

전 보드복낡으면 겨울 작업복으로 입습니다.
무지 따뜻하고 눈 안들어가고..ㅋㅋ 좋더군요..

™판떼기보더

2007.12.26 11:32:21
*.155.125.30

ㅋㅋ 작업복 현장에서 입고 다녀도 좋겠네요.

DCinside

2007.12.26 15:49:49
*.13.46.54

여러분들이 보드복을 살때 발수력이 궁금하면 태그에 붙은
수치를 보지 마시고 물 몇방울을 떨어뜨리고 가까이가서 물방울의
형태를 보면 압니다 <-- 그러고 안사면? ㅡ.ㅡ ;;

고어텍스 원단인데 고어텍스사만 가공및 공급을 하는걸로 압니다. <-- 당연, 고어텍스는 고어사에서 만든 멤브레인이니까. 나오니까.

고어텍스보다 더 좋은 멤브레인도 많이 나왔음.
고어가 워낙 유명하다보니 최고인줄로 알고들있음.



&#0010

2007.12.26 16:19:52
*.113.5.45

") 고어보다 좋은 멤브레인으로 만든 스노보드 의류 아시면 소개좀 시켜주세요.

(디씨인사이드님 어쩜 그렇게 말씨도 참 꼬우신지...)
글을 읽고 자기생각과 다른 점이 있으면, 생각이 다름만 표현하면 되지 왜그렇게 흠집내려고 안달인지...

스펜서

2007.12.27 01:53:28
*.5.219.78

모임을 갖고 지금 들어왔는데 댓글이 많이 달렸네요. ^^;

방수와 투습을 놓고 봤을때 고어텍스를 능가하는 원단은 현재 없습니다.
고어텍스는 물은 못들어 오게 막으면서 쾌적함을 주는 원단에서 우위를 점했습니다.
경쟁이 되는 원단이 일본에서 만들어지고 있죠.
Toray(도레이)사의 엔트란트(Entrant) 원단과 Nitto denko사의 미크로텍스 (microtex)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저는 엔트란트 원단으로 만들어진 피닉스사 산악용 자켓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방수는 동등하나 내마모성과 쾌적함 면에서 고어텍스 xcr를 능가하진 못 하는것 같군요.

암튼 가격대비 효용성과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돈 많은 보더는 풀 고어텍스 xcr 원단으로 만든 보드복을 사서 쾌적하게 입고 다니는거죠.
첨고로 현재 만들어진 기능성 원단에 대한 정보를 주루룩 올려보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미크로텍스 (microtex) : 일본의 日東電工(Nitto denko)이 개발한 것으로 0.6micron, 물방울의 1/5000 이라고 하는 아주 미세한 통기공을 갖고 발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 필름에 래미네이트 가공을 하고 있기 때문에 2중적인 방수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것들은 나일론 소재와 같이 열에 약하 것이 흠이다.

- 엔트란트 (Entrant) : 일본의 東洋레이온(도레이)이 개발했으며 방수성, 증기 투습성이 아주 강하다. 고아텍스의 필름이 래미네이트 가공으로 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엔트란트는 코팅 가공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코팅은 액체 속에 소재를 처리하는 것으로써 특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 엔트란트는 우레탄 계열의 수지(樹脂)75%, 불소계 발수제(發水濟)25% 정도로 만들고 있어서 고아텍스에 비해 투습성(透濕性)은 떨어지나 구김에 강하고 세탁을 하는 데도 편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 고어 드라이로프트 (DryLoft) : 최상의 기능을 발휘하는 충전재 원단으로 전문 다운복 및 충전재를 사용한 기능성 높은 방한복을 위해 고어사에서 개발했다. 방풍성이 좋아 찬 바람을 막아주고 눈등 습기가 스며들지 않아 항상 따뜻하고 쾌적하다.

- 쉘러 (Schoeller) 드라이스킨 : 스위스 쉘러텍스타일사에서 개발한 제품으로 신체가 수분에 대하여 견디어 낼 수 있도록 습기 이동시스템을 개발하여 몸의 습기를 중공섬유를 통해서 모아 스폰지처럼 빨아 들여 몸의 땀으로부터 젖어있지 않도록 항상 건조시켜 청결감과 세균으로 보호를 해주며 착용시 아늑함과 포금함을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가벼우며 대단히 튼튼한 표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구적인 신축성으로 편안하게 해주며 자유롭다. 이 원단은 특히 땀이 많이 나는 운동등을 하는 사람들을 위해 개발된 소재이다.

- 쉘러 스트레치라이트 : 활동적인 스포츠를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으며 혁신적인 기술로 구성한 시스템으로 짜낸 원단이다. 매우 가볍고 몸에 밀착했을 때 편안함과 아늑함을 주는 마치 제 2의 피부처럼 몸의 움직임에 적응하고 압박등에 잘 견디어 낸다. 자연스럽고 몸의 체온등을 조절하고 섬유에 산소를 공급하고 피부에 기분좋은 촉감을 준다. 그리고 매우 견고 하며 저항에 잘 견디어 내며 투습,흡습성이 좋아 쾌적하며 형태 안정성이 좋아 관리가 용이하다.

- 쉘러 다이나믹 : 혁명적인 세대의 소재로 초경량소재중에 예외적으로 튼튼하며 부드러운 섬유이다. 고등급과 고기술로 만든 이 섬유는 마모와 저항력에 강하고 반영구적인 엘라스틱 라이크라를 더한 것으로 스포트를 하는 사람들이 요구하는 훌륭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 Akzo Nobel사의 심파텍스(Sympa Tex) : 대표적인 콤팩트멤브란으로서 심파텍스는 세계적인 화학회사인 Akzo Nobel사에서 개발한 소재로 미세한 구멍으로 기능을 발휘하는 고아텍스와는 달리 화학적인 성질에 의해 그 기능을 발휘한다. 심파텍스의 장점은 입자사이의 구멍이 거의 없어서, 그 사이로 이물질이 끼어 멤브란의 기능을 저해할 경우가 없으며, 최대 300%까지의 재질팽창성을 보장하고 쟈켓 한벌에 약 20g 내지 25g의 무게밖에 차지하지 않으며, 리사이클링에 관해서도 일반 쓰레기와 똑같이 취급될 수 있다.

- Climaway : climaway는 Lafum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방수, 방풍, 통기성 원단으로 어떤 악천후에서도 최상의 편안함으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다

- 프로액트 (Proact) : 국내 효성T&C 제품으로 수심 10m지점에서의 잠수복 같은 방수력을 지니고, 1일 최고 8500g/m2의 땀도 거뜬하게 배출하는 소재이다. 일반 투습 방수포와는 달리 특수 코팅 가공으로 1평방 인치당 약 90억개의 기공을 만들어 완벽한 방수성을 지니면서 기존 투습방수 섬유에 비해 내수압이 5배,투습도가 2.5배가 향상되었다. 스키복,등산복,낚시복등 스포츠웨어,다운점퍼,파카 등 캐쥬얼웨어에서 텐트,비옷,슬링핑백까지 부드러운 촉감에 방풍성, 보온성까지 갖춘 소재이다. (내수압: 10,000mm/H2O , 투습도: 8,500g/m2/24hrs)


- 기타 국산제품으로는

* 뉴월드의 하이플렉스 (내수압: 10,000mm/H2O, 투습도: 20,000g/m2/24hrs)
듀폰의 방수투습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수지 하이트렐(Hytrel)을 공급받아 생산. 단층 구조의 수지막으로 물성이 견고하고 시간이 지나도 기능 저하가 없음.

* 힐텍스사의 힐텍스(Hill-tex : 내수압: 30,000mm/H2O, 투습도: 30,000g/m2/24hrs)
자체 제작한 수지막 사용. 매우 뛰어난 발수성능.통기성 '0'의 완벽한 방풍기능. 국내 히말라야 원정대의 필드테스트 거침.

* 코오롱의 하이포라 (Hipora : 내수압: 2,000mm/H2O , 투습도: 936g/m2/24hrs)
국내 최초의 방수투습성 원단. 폴리우레탄을 원단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 가격이 저렴하나 투습성능이 비교적 낮은 편.

스펜서

2007.12.27 01:57:04
*.5.219.78

힐텍스사의 힐텍스 산악복은 정말 뛰어나다고 하더군요.
듀퐁 코팅만 하지 말고 이것을 원단으로 보드복을 만들어 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내수압(방수), 투습도 모두 세계 정상급입니다.

ROXY

2007.12.28 16:58:45
*.61.54.88

전문가이신가바여^^;

생강

2007.12.29 12:15:38
*.190.166.130

발수력높이는 제품 종류는 뭐가 있나요??
바지가 발수력이좀 떨어진거같아서 발라볼려고 하는데요
어디서구하는지.. 이름이나 가격도좀 알려주세요..

스펜서

2007.12.29 21:39:25
*.143.69.118

동대문 ok outdoors에 revive x 라는 발수력 보강제품을 판매 합니다.
가능하면 저온 다리미로 다리시기 바랍니다.
뿌리고 다리고 뿌리고 다리고 2 중으로 해보세요.

ROXY님
저는 전문가가 아니고 전에 댓글로 revive x를 써보라고 권했다가
악플만 연속으로 달려서 한번 길게 써 본 겁니다. 좋은 제품은 여러사람이 써봐야죠.

소사이어티

2007.12.30 12:32:48
*.127.85.174

스펜서님 그러니까 revive x 라는 제품을 사서 뿌리란 말이죠?? 저도 면바지 비슷한 보드복이 있는데 재생 시키고 싶어요..
그리고 말씀하신 revive x 제품 파는 사이트좀 알려주세여~~~

1234

2008.01.06 02:53:09
*.51.87.164

zz 발수코팅제... 헝글에도 팔아요..
해마다 이슈로군요..

망치부대

2008.01.07 19:53:57
*.222.200.71

스펜서님 컬럼 읽고 흡수 20000방인 제 바지로 작업 들어갔습니다.
세탁하고 발수제 흡수시키고~ 건조기에 한시간 정도 돌려서 말려줬습니다.
결과는...
대성공입니다. 완전 만족합니다. ^^;;
쭉쭉 물을 빨아들이던 바지가 다시 방수기능을 되찾았네요~ 스펜서님 넘 감사드려용~~^^

스펜서

2008.01.11 18:21:00
*.143.86.121

발수는 방수하고 다릅니다.
발수는 물과 섬유가 닿는 부분을 최소화 하는것이고 방수는 내수압이죠.
즉 녹은눈에 깔고 앉으면 발수가 엄청나도 방수가 부실하면 물이 들어옵니다.
압력이 가해졌을땐 발수가 아니라 방수가 중요합니다. 서서 바인딩 채우세요~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3
231 장비 관련 자기가 사용할만한 데크의 길이를 확인해보... [13] 협이 2007-03-08 52 6285
230 장비 관련 왁싱 - <양초 왁싱, 무엇이 옳고 무엇이 ... [6] Lunatrix 2007-03-12 78 10668
229 장비 관련 0506 커스텀 엑스 테일부분 회색 스크래치 ... [15] 영권 2007-03-13 44 5019
228 장비 관련 데크랑 바인딩을 풀 때! [18] mrflow 2007-03-13 44 7637
227 장비 관련 올바른 스노보드 세팅법에 대해서 [19] 정덕진 2007-03-15 29 12862
226 장비 관련 바인딩 센터링시 무게중심에 관한 고찰 [24] 바램지기 2007-03-16 51 17313
225 장비 관련 세탁~ [24] 똥싸계 2007-03-18 28 6007
224 장비 관련 하이빽을 틀어주자!! [46] NiKimaru 2007-03-25 37 8183
223 장비 관련 유명 스노우보드 내구성 문제 [22] WG로마 2007-04-09 40 6165
222 장비 관련 엔데버로 알아보는 OEM의 비밀 [14] S로마 2007-04-21 37 5724
221 장비 관련 아직 0405 팀투부츠를 사용하시는 분들께 [5] 소닉군 2007-05-12 59 3242
220 장비 관련 캐나다의 메이커 Jason Broz의 스노우보드 ... [7] leeho730 2007-06-09 125 4607
219 장비 관련 스노우 보드 데크 검색이 가능한 사이트 입... [8] 협이 2007-06-12 77 5836
218 장비 관련 오클리 렌즈에 따른 실제 모습 [10] 올챙이에요~!@ 2007-08-17 68 9241
217 장비 관련 내 신체와 잘 맞는 데크를 고르자 file [37] SSINBI 2007-08-23 37 21555
216 장비 관련 엔데버의 씁슬한 원가 절감정책 [28] S로마 2007-09-05 -5 6557
215 장비 관련 하이빽 로테이션!!! [31] NiKimaru 2007-11-18 51 7299
214 장비 관련 데크 길이의 유행은 돌고돌고? [24] Gatsby 2007-11-22 54 9201
213 장비 관련 장비구매시 중복투자를 최소화 하는법. [16] 이남자의순정♬ 2007-12-04 15 5819
» 장비 관련 발수력 떨어진 보드복 스키복 겨울철 등산복... [15] 스펜서 2007-12-24 48 8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