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딩용이라고 흔히 알려진 스노보드들의 경우 하드하고 width 넓고, 유효엣지(12이상) 길고, 사이드컷이 큽(거의 8이상)니다.

고속!!의 흔들림이 없고, 모든 마운틴에서 탈 수 있고, 어떤 조건도 이겨내고 등의 묘사를 합니다.

결국 파운더나 눈이 많이 싸이는 해외 스키장에서, 특히 큰 턴을 만들며 고속턴을 하는 용을 의미한다는 말일텐데요.
사람이 거의 없이 설원을 쌩 타는 거죠.

해외에서의 라이딩용이라는 것이 그렇다면,

한국에서의 라이딩용이라고 하기 위해선,...

좁은 슬로프와 강설, 사람이 많고, 턴을 때론 짧게 수시로 해줘야하는 곳의 특성을 감안하고...
특히 국내에선, 숏턴(조건! 반호 새김, 유효엣지의 완전한 사용!!) 나름 고속카빙을, 라이딩이라고 말하는 것을 고려할때.

우리나라에서 라이딩용이라고 할땐.(그리고 약간의 기본적 트릭등을 한다고 칠때, 아니어도 상관없음)
아무래도 라이딩과 프리스타일의 중간에서 라이딩쪽으로 쫌 치우쳐진 정도의 하드?한 보드가
우리나라를 위한,
우리나라에서 라이딩을 위주로 탄다고 하는 하는 사람들의 위한,
충분히 콘트롤을 해야하는 울나라 스키장을 상황을 고려한,

라이딩용 데크와 하드함이 아닐까 결론이 내려지는군요.


물론 굳이 키나 몸무게 비해 짧은 데크를 쓰는 것으로 커버하는 것까지 빼고,
최근 말캉한 보드 선호 추세로, 말랑한 보드도 하드하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빼고요.

결국, 파우더나 넓은 초원에서의 카빙과 중간크기 의상의 턴을 위주로 쓰게될 상황에 맞춘 '라이딩'용 데크의 '하드함'을,
무작정 엄청난 그립력과 response의 느낌때문에
단순히 한국식? 라이딩(주로 턴과 카빙기술)을 추구하는 분들께 추천하기엔
약간 안 맞는 것 같습니다.

뭐. 그래도 정복하고픈 욕망의 맛은 있죠. 슬로프 경사와 조건만 맞추어 준다면, 꺄악~ 소리나고 튕겨나갈것 같은 엄청난 response의 카빙도 할 수 있구요. 크  

판테라 장비 사용기를 쓰신 어떤분의 말씀하신 기억이 납니다.
'요새 카빙머쉰이라고 불리는 데크치고 옛날만큼 하드한 건 거의 못봤다.'
이 문장은 틀린 말일 수도 있습니다. 물론 틀렸다는 뜻도 아니구요.

그럼 이만.




엮인글 :

쪼쪼

2009.12.13 07:09:55
*.244.221.1

당췌 먼말인지..ㅋ
그니까 외국 보드 라이딩머신이라고 하는 완전 하드 한건 우리나라에선 하이원 아니면 용평에서 타야만 그것도 사람이 없는날 타야만
지대로 그 보드를 느낄 수 있다 이런말도 되고
우리 나라 사람들은 하드와 소프트의 중간을 사야 딱 맞다 이거죠??

두유

2009.12.13 09:57:57
*.253.124.88

저두 무슨말인지 모르겠네요......;;;;죄송합니다..

룡이

2009.12.13 11:16:22
*.0.175.65

이거 정리 요약좀 해주실분 잘 이해가 안되네요 -_-a

ㅇㅇ

2009.12.13 12:12:46
*.94.134.38

freeride=흔히말한는 파우더보딩 라이딩, 라이딩머신이고뭐고 한국에서 프리라이딩 할곳 없을껄요.....

슭훗

2009.12.13 12:27:57
*.212.23.26

요약>

우리나라에서 라이딩용이라고 할땐
아무래도 파우더 용이 아닌 프리스타일과 라이딩의 중간정도 하드한 데크가
라이딩용 데크의 하드함이 아닐까 결론이 내려지는군요.




그나저나 세계최강의 고수임을 자부하는 그 어느분하고
글쓰는 스타일이 많이 닮았네요.(글쓰는 스타일만 닮았다는겁니다)

쓸데없는 수식어좀 빼고 글 써주시면 참 감사하겠습니다.


아직

2009.12.13 14:26:28
*.168.81.17

무조건 하드하다고 좋은 라이딩을 할 수는 없져...하드한 데크는 그만큼의 체력과 부츠의 조합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부츠 자체가 소프트 한데 하드한 데크를 컨트롤 할 수 없져...프리스타일 데크는 알파인 처럼 그렇게 하드하게 만들어서는 사용할게 못 됩니다. 그리고 하드한 데크를 파우더에서 사용하는건 아닌거 같아 보이는 군요..

Jay-Z

2009.12.13 15:19:41
*.194.153.154

걍 자삭하심이........ 일단 라이딩 실력부터.......

한숨만나온다

2009.12.13 15:46:50
*.156.141.24

해외 안가봤죠??

글만 봐도 딱 견적 나오네 ㅋㅋㅋㅋ

firehead(화두)

2009.12.13 15:54:40
*.77.61.133

전 보기 괜찮은 칼럼 같이 보이네요. 사실 하드한 덱이 파우더에서 사용하기 편한점이 있지요.
립텍사의 바나나덱도 노즈가 들려올라가 있어서 파우더에서 라이딩하기 편하다고 하지요.
하드한 덱은 조금만 후경을 준다고 해도 덱이 많이 휘질 않아 노즈가 들리면서 소프트한 덱 보다는
파우더 라이딩이 좀더 쉬워 지겠죠. 저두 생각하기에 우리나라에서 라이딩덱은 파이프용덱이
딱 알맞아 보이긴 하더군요. 허리 가늘고 적당이 하드하며 사이드컷 깊고.......

한숨만나온다

2009.12.13 16:08:48
*.156.141.24

그러니깐 하드한 데크가 파우더에 유리하다는 분들..
타보신 적 있으시냐고 묻고 싶네요

firehead(화두)

2009.12.13 16:54:24
*.77.61.133

한숨만나온다님은 타본적 있으세요? 그럼 하드한 덱이 왜 불리한지도 말씀좀;;;;

제 주변에 타보신분들은 베이퍼가 엄청 하드하기도 하고 파우더 머쉰이라 그러던데요....(보통타던덱보다도 4cm이상 짧게 탔는데도 그러시다더군요.)

뭐 파우더 머쉰이 가능한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하드함도 한목 하리라고 봅니다. 모든 데크회사들에서 백컨트리용 덱은 하드하게 만들고
있으니까요.

베이퍼 유저

2009.12.13 18:06:01
*.27.21.202

베이퍼 유저입니당.
베이퍼는 일단 느끼기엔 t6 보다 가볍습니다. 정확히 측정은 안해봤지만, 올해 모델꺼는 그렇더군요.
일단 조낸 가볍고, 많이 하드하진 않습니다. 요샌 옛날처럼 하드하겐 만드는 데크가 상당수 줄었구요.
그러나 용평 레인보우에서 강설에서의 카빙보다는 가끔 재수좋게 눈 많이 오는날이 가지고 놀기 더 좋았습니다.

쓰다보니 베이퍼 사용기 같은데요.
턴이 굉장히 빨리 이뤄지고, 올라운드용으로 보심이. 케빈 피어스는 이걸가지고 하프 우승도 하던데...


왕초보

2009.12.13 18:24:02
*.6.194.202

저 캐나다인데요... 여기도 짧은데크 많이 쓰는데....;;;

왕초보

2009.12.13 18:24:37
*.6.194.202

그리구... 거의다 숏턴만 하는데;;;;

아직

2009.12.13 18:52:51
*.168.81.17

파우더 타본적 없습니다. 말그대로 완전 파우더..

알파인을 타기에...

다만 하드한 데크는 직진성이 강하기에 그만한 하중을 주어야 리바운딩 이 생겨 엣지 체인지가 쉽고
회전성이 생깁니다. 파우더 같은 눈에서는 그만한 하중을 받쳐 줄 수 있는 여건은 아니지요.

알파인 데크로 파우더 라이딩이 어려운 이유중 하나입니다. 슬로프에서도 파우더 같은 눈에서는 알파인 타기 어렵습니다.

leeho730

2009.12.13 19:48:02
*.23.218.211

결론은... 한국 설질에는 타이탄보다는 로프트라는 건가용 ㅇ,.ㅇ;


알파인 보드로 파우더 라이딩이라... 허리가 좁은 탓에 빠지는 일이 잦더라는... ㅠ.ㅜ;

Jay-Z

2009.12.13 21:13:56
*.194.153.154

로프트........베이퍼..........둘다 파이프용 데크입니다 ㅡㅡ;
그리고 파이프용이 옛날에는 무조건 하드했지만........최근엔 계속 소프트해지는 추세입니다. 물론 상대적으로요......당연 제레미 같은 파크 전용보다는 하드하죠;.

Tom

2009.12.14 00:19:48
*.153.75.6

알파인 - 이라기 보다는 하드 부츠를 쓰는 데크? - 데크 중에도
파우더 런 용 데크가 따로 있습니다.

사실 스키도 파우더용 플레이트가 따로 있습니다.

그리고 프리보드도 파우더용 데크는 따로 있습니다.
일단 길이가 길죠.

글 쓴분의 의도를 제가 제대로 파악한건지는 모르겠
습니다만, 말씀하신건 올마운틴/올라운드 보드가 아
닌지.. -_-;

요즘은 알파인도 플렉스가 많이 소프트해 진것은 사
실입니다. 부츠하고 바인딩도 그렇고요.


tom

2009.12.14 05:31:41
*.168.81.17

요즘 알파인이 많이 소프트해졌다??

몇몇 프리카브라는 말랑한 알파인 데크가 나오긴 했지만 그것가지고 소프트해진게 사실이라고

말하는 건 아닌거 같아 보입니다.

선수들이 예전 풀카빙 스타일에서 스윙을 많이 사용하다보니 제가 보기에는 더 하드해진거 같은데요..

사이드컷이 15미터 이상 되고 더 하드해진 대회전용 데크를 많이 사용하져..실제 선수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케슬러 데크는 대회전용 사이드컷 18미터 이상도 나오던 데요..

그런 하드한 대회전용 데크를 말랑한 부츠로 컨트롤이 가능할가요??

의문이 아닐 수 없군요..

leeho730

2009.12.14 08:18:29
*.23.218.211

한국은 아니지만 (아직도 레이스카브가 대세인 것 같네요), 유럽이나 북아메리카쪽은 점차 소프트해지고 너비도 넓어지는 추세입니다.

플렉스: 매드, 스워드, 도넥, 코일러, 바이러스등은 이제 유저의 무게와 실력에 따라 맞춤 플렉스를 내놓는 추세이죠.
매드같은 경우는 최고급모델들인 Alp 는 3가지 플렉스가 있고 (f1~f3), 익스트림카빙용 스워드는 엑스트라소프트(XS~XH)까지 있습니다.

부츠: BTS 같이 부츠를 좀 더 유연하게 해 주는 스프링 모드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말랑한 부츠와 유연한 바인딩 셋업으로 12미터~13미터의 회전반경을 가진 GS 데크를 컨트롤하는 것이 익스트림카빙이죠.

바인딩: 북미에서 가장 인기있는 수공 바인딩모델인 TD3 같은 경우, 전번 모델과 비교해서 고무패딩의 두께가 무려 5mm 증가했습니다.
바인딩도 유연한 편이 더 낫다는 것이죠~ 익스트림카빙팀 같은 경우 소프트한 버클바인딩을 추천하기도 합니다.

너비: 스워드, 도넥, 바이러스, 프라이어등 많은 제조회사들이 너비가 20cm 이상인 넓은 데크들을 많이 내놓고 있죠.
프라이어만 하더라도, 최고급 모델인 FLC 와 WRC 는 모든 길이의 와이드 모델이 있습니다.

음... 알파인도 파우더용 데크가 있긴 하고 (알파인 프리라이드, 스왈로우테일), 저도 하나는 사용해 보았지만 (ATV),
역시 프리라이드 데크가 더 낫더라는~ 스왈로우테일은 안써봐서... 단 파우더에서는 지대라더군요...

Tom

2009.12.14 09:40:33
*.153.75.6

댓글 다실 때 닉을 그렇게 쓰시는 건 무슨 의도인가요?

알파이너들이라고 해서 레이서들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프리 카빙에는 하드한 데크와 부츠가 유리기만한 것도
아니고요.

언급하신 케슬러 데크 또한 라이더의 취향에 따라 플렉
스를 맞추어 제작합니다.

┓푸른바다┏

2009.12.14 11:51:00
*.207.214.132

각나라의 특색에 따라.. 외국에서 라이딩 데크로 불리는 것도

우리나라에서는 아닐수도 있다는 말씀...

하지만 데크가 하드하다고 숏턴및 미들턴이 소프트한 데크 보다는 어려운건 사실이지만.

별 무리는 없는 듯합니다.

아직

2009.12.14 16:38:59
*.185.177.130

위에 댓글 제가 단 겁니다...

지울줄을 몰라서 못 지웠어요...

많이 민감 하시군요...

그런데 프리 카빙이던 뭐던 하드한 부츠로 말랑한 데크를 컨트롤 할 순 있어도...말랑한 부츠로 하드한 데크를

컨트롤 못합니다. 뭐 추세가 어떻든 간에 선수층에서는 분명 소프트해지는 추세는 아닙니다.

leeho730

2009.12.14 19:45:28
*.23.218.211

본 주제로 돌아와서...


저도 동의합니다. 하드하고 막강한 그립보다는,

적당한 플렉스에 날렵한 데크가 강설이 많은 한국 지형에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강설에서는, 넓고 딱딱하고 비교적 넓은 유효엣지를 가진 넵썸 타이탄보다는,

좁고 비교적 부드럽고 날렵한 유효엣지를 가진 살몬 로프트가 더 유리하게 느껴진 것처럼요.

밑에 제가 올린 댓글에서도 저는 "넵썸은 건설에 더 적합한 보드" 라고 썰을 풀었는데,

아마 글쓴이의 의도도 이것이 아닐까 하네요. ^^;

익스트림카빙의 패트리스도 눈이 강설인 날은, 보통보다 소프트한 플렉스의 보드를 쓴다고 하는데,

같은 맥락인 것 같습니다.

플렉스도 적당한 게 최고인 것 같습니다 ^^;

아직

2009.12.14 20:24:41
*.168.81.17

맞아요..맞아...강설에서도 자연설에서도 소프트한 데크가 좋아요..트릭도..하프도..

음냐

2009.12.14 21:32:41
*.221.178.182

자기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알고는 있는걸까요 이글쓴분.

카릴

2009.12.15 12:29:36
*.94.110.213

하하. 글쓰는 스타일이야 글 쓰는 사람 맘이구요.
눈에 안 맞으시면 어쩔 수 없는 일일테죠.

솔직히, 타이탄이나 판테라는 플렉스를 확인해보고 싶은데, 눌러볼 기회조차 없으니, 그게 우리나라 스키장에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솔직히 타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얼마나 하드한 건 못타는지는 곧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나 VAPER.
글쎄요. 제가 기준하는 하드함을 0~10까지 두었을때, 5~5.5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6은 넘지 않습니다.


저도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으나,
카탈로그에 Patera, Titan은 프리라이드 용이라는 식으로 나왔으나, 아마 둘중의 하나는 올마운틴/올라운드 라는 식의 묘사 역시 있던 것 같습니다.
rome의 design, santacruz의 duo platinum 등도 올마운틴/올라운드 라는 식으로 말을 해놨던 같습니다. 카탈로그 디스크립션에 말이죠.

빠른 엣지 체인지와 턴은, 보통 작은 사이드컷을 요구하고 유효엣지도 살짝 짧은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각 사의 최상급모델(보통 하드하고 라이딩용이 많죠. 하드하지 않은 경우는 프리스타일용일 것입니다.)의 경우 데크 길이는 155~157 이상부터 나오는 경우가 많고,(159~161부터 나오는 경우도 있더군요)
유효엣지는 1.2m이상에 사이드컷도 8.2~8.5m 까지 깁니다. 종종 노즈 테일 팁도 쫌 높죠.
그러나 모회사의 '빠른 엣지체인지와 리바운드, 날렵한 카빙' 이라고 대놓고 제품설명에 '명시'한 데크의 경우,
물론 유효엣지는 1.7~1.8M에서 사이드컷도 7.5~7.8M 정도로 짧습니다.

실력과 체중(자신의 절대체중과, 그외 슬로프 경사와 자신의 즐겨타는 평균속도에 의한 하중)에 따라
유효엣지의 길이와 사이드컷의 반경 역시 커버를 할 수 있지만,
그딴 하나하나의 제반 성격을 무시한다면,
적어도,

해외 회사의 카탈로그에 라이딩용으로 하드한(요샌 최상급 모델의 극 소수만 하드하니), 그리고 특별히 유효엣지와 사이드 컷이 긴 경우, 거기다 올마운틴이라고 나온 경우엔 더욱더,

한국스키장엔 탈 수 없다, 타지마라, 가 아니라,
라이딩용으로 추천시, 쫌 함부러 추천할 건 아니라는 거죠.

역시 글 타입이 쫌 그런가요.


폭풍낙옆

2009.12.15 17:36:05
*.46.106.100

그냥 라이딩을 진짜 즐길려면 샾에서 사지말고 본인이 직접 외국에서 파는 라이딩용 데크를 직수입해야한다는건가요? ㅡㅡ;;

하긴 얼마전에 아는 분 데크에 올라봤는데 여느데크 보다 하드했습니다... 국내엔 몇장없는 데크... 그 하드함은 깁스수준

천년동안

2009.12.15 17:56:31
*.196.28.174

그냥 그런갑다... 하고 보면 되는거지 세살 60억 사람중 나랑 똑같이 생각하는 사람 있을라고

각자 다 자기 생각이 있는거지 개인 취향에 정답이란게 어디 있다고 그리 빡빡하게들 하시는지...

떠돌이보더

2010.03.05 15:54:59
*.241.147.32

경험담~ 노르웨이 파우더 보딩할때 걍 후경 줬어요. 적당히 재밌게 탔습니다. 렌탈도 해보고 제거 custom 0809도 타보구요.
결론은 사람마다 다르다는거? 중요한거는 후경안주면 뭔 데크를 타던 눈에 박혀 못나온다는거죠..그리고 거기 애들은 그다지 장비에 신경안쓰는거 같던데요..재밌게 타기만 하면 되는듯 ^^;; 신상데크 거의 못봤습니다. 1시즌동안..스키장 두군데만 다니긴 했지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3
271 장비 관련 2011 굿 Wood (from Transworldsnowboarding) file [12] 레메 2010-09-20 21 4571
270 장비 관련 자신에 맞는 데크 사이즈 선택하기 [15] 진광마 2010-07-23 39 7658
269 장비 관련 훼라리의 데크를 아낍시다!!! 3부~!! file [25] ☆[Ferrari]™☆ 2010-07-11 37 6431
268 장비 관련 훼라리의 데크를 아낍시다!!! 2부~!! file ☆[Ferrari]™☆ 2010-07-11 34 4747
267 장비 관련 훼라리의 데크를 아낍시다!!! 1부~!! file [4] ☆[Ferrari]™☆ 2010-07-11 33 5803
266 장비 관련 데크 한계 체중 참조 시 유의사항 [16] 노마 2010-05-20 47 7023
265 장비 관련 파우더 보드에 대하여 [5] 타다시후세 2010-04-11 59 8993
264 장비 관련 캠버의 종류? [16] 은둔하수 2010-03-24 46 7282
263 장비 관련 에덴밸리 0910 버튼 시승회 file [8] 벌러덩벌렁 2010-02-23 61 3484
262 장비 관련 렌탈장비 이용자가 알아둬야 사항. [18] 달려라 막보드 2010-01-30 31 9038
261 장비 관련 바인딩 토캡방식 쓰시는데 자주 풀린다면... [14] 프리스퇄 2010-01-28 51 8453
260 장비 관련 말라뮤트 끈 묶기 file [58] 말라말라 2009-12-20 35 15998
259 장비 관련 부츠 뒷금치가 약간 뜨거나.. 발등을 꽉 못... [23] 가루군 2009-12-16 69 12710
» 장비 관련 해외에서 '라이딩'용이라고 하는 보드의 속... [30] 카릴 2009-12-13 46 8117
257 장비 관련 플로우바인딩 세팅하기 [28] 따랑해 2009-12-02 65 18031
256 장비 관련 보드케리어 바람소리 제거방법 file [14] 스피드 2009-11-26 67 6080
255 장비 관련 대륙의 EG2 [27] Electric 2009-11-24 61 13794
254 장비 관련 업웨이팅과 스티어링을 통한 휨 정도를 넘... [22] 카릴 2009-11-17 62 6405
253 장비 관련 버튼 코리아 AS 관련. 미국 본사에 보내는 ... [31] Jason 2009-11-14 30 7547
252 장비 관련 익스트림카빙팀이 내놓은 일반부츠 라이딩용... [19] leeho730 2009-11-09 46 7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