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랩잡는법에대해 많은분들이 궁금해 하시는것 같아서 적어봅니다~



일단 그랩에 들어가기에 앞서~~~


1. 어프로치 자세는 양발 스탠스각도에 따라서 달라질수 있습니다.

2.베이스라이딩은 충분히 연습해야합니다

3. 바인딩 센터링체크는 반드시 해주세요

4. 복부 근력이 그랩잡는데 많은 도움을 줄수 있습니다.





그랩은 팝에 대한 이해가 정확해야합니다.


그랩은 보드를 잡는 동작입니다.

하지만 허리를 숙여서 보드를 잡는으면 몸의 중심이 흐트러져서 위험한 랜딩으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내가 다리를접고 허리를숙여서 보드를 잡는다는 개념보다 보드가 위로 올라와서 손만 대서 잡는다는 개념으로 이해하셔야합니다.

그렇다면 보드가 올라오는것이 다리를 접어서 보드를 잡는것과 무엇이 다른가~?

팝에의해서 보드를 올려야합니다. 즉 힘으로 보드를 손과 가까이 만드는게 아닌 팝에 의해서 보드가 손에 가깝게 만들어주어야합니다.


그렇다면 정확한 팝이란 무엇인가??

팝에대해서 여러가지 의견들이 많이 있습니다.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는데요

양발로 립을 밀어준다는 개념과

뒷발에 힘이 좀더 실려서 밀어준다는 개념입니다.


둘다 킥커 위에서 립을 밀어서 순간 속도를 내기 위함은 같습니다.

이때 립이 곡선이 심할수록 팝을 행할때 순간 가속도는 더 빠르고 높게 나올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파이프 트렌지션에서의 펌핑개념과 흡사합니다. 즉 그네타는것과 같은 이론이죠~


대신 립의 어느위치에서 밀어내느냐의 타이밍에 따라 조금 다른듯합니다.

즉 보드가 립에 어느위치에 걸려서 팝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다른데요

일단 팝은 립을 끝까지 탄다는 생각에서 출발해서 립이 끝날때 까지의 길이에 대비해서 너무 빠르지 않게

립에서 수직(땅에서 수직이 아닌..) 으로 밀어낸다는 개념으로 밀어주시면 됩니다. 이때 머리를 약간 위로 들어준다는 느낌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이때 보드가 립에 걸리기전에 마지막으로 다 펴느냐 립이 보드 테일에 걸렸을때 보드를 다 밀어내느냐의 차이입니다만

보드가 립에 걸렸을때 팝이 끝나는게 최고 좋다고 볼수 있으나 타이밍이 어렵기 떄문에

처음엔 보드가 노즈나 보드의 중간에 걸렸을떄 팝이 끝나는게 좋습니다.

물론 보드가 테일에 걸렸을때 팝이 끝나도록 연습하시는게 제일 좋고요~

보드가 테일에 걸렸을때 팝을 주게되면 테일이 팅기면서 알리느낌이 나게 되는데요~

요부분이 사실 팝에서 알리냐 팝이냐의 논란인 부분입니다.

즉 립에서 테일이 걸렸을때 팝이 킥커에서의 알리라고 생각합니다만

분명 슬로프에서의 알리자세와는 많은 차이가 있죠~

알리는 테일탄성이용후 자세를 다시 앞쪽으로 하지만

킥커에서 테일 이용은 립의 경사 그대로 어느정도 위로 솟아 올라갑니다.

하지만 테일탄성이 들어간다는것은 같습니다.



팝 타이밍이 팝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부분중 하나입니다.

너무 빨리치면 삑사리 나는 느낌으로 그냥 발로 립을 위로 힘으로 찼다는 느낌이구요 너무 늦게치면 립에 안걸리고 그냥 그속도로 넘어가는 느낌이 됩니다.


이런 팝의대한 감이 생긴다면 보드는 자기도 모르게 쑤욱 위로 순간 가속을 내면서 보드를 내가 힘을 주지 않아도 끌어올릴수 잇습니다.

약간은 무중력의 느낌이라고 할까요~



스핀시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스핀시에도 보드가 위로 솟지 않거나 보드가 립을 벗어나면서 속도가 많이 감소한다면

많은 슬립으로 인한 속도저하도 있겠지만요.~

그것은 정확한 팝을 주지 않아서일 경우가 많습니다.


즉 이런 정확한 팝을 이해하고 연습하신다면 그이후엔그냥 보드에 손만 대면 보드가 잡힙니다.


보드가 립에서 벗어나서의 동작은 립에 벗어나서 동작을 생각해서 행동하기엔 좀 짧은 시간이거나 생각조차 안나는경우가 많습니다.

이럴땐 킥커를 타시기전에 미리 슬로프에서 앉아서 보드를 잡아보시는 동작으로 이미지트레이닝을 해보시는것도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그런식으로 미리 보드잡는 동작을 익숙하게 만들어서 정확한 팝이 이루어졌을때 반사적으로 보드를 잡게 하는 행동으로 만들어주는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보드가 립을 벗어나서는 내가 잡을 보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잡을수 없습니다. 그래서 미리 반사적인 행동을 연습하시는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또한 어프로치시에 상체가 꽂꽂히 세워져 있는것보다 상체도 약간 숙이고 다리도 구부리시면서 어프로치 들어가시는게 좋습니다.

요부분은 스타일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때 그때 다르다고 말씀드리고 싶고요


오늘의 요점은 정확한  팝이 안전하고 쉬운 그랩잡기를 도와준다였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곘네요~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66
369 기술(테크닉) 관성, 구심력, 원심력 그리고 스노보드 file [25] 문박사 2010-02-21 46 10509
368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그림으로 보는 BS180의 기초... file [25] 가고일~* 2011-10-25 7 10502
367 기술(테크닉) 하프를 잘 타고 싶나? [70] Dr.kimcarving 2007-11-12 38 10435
366 기술(테크닉) 턴 카빙 쉽게 다가 가기 ㅡㅡ [10] 상계동 랩퍼 2006-11-26 98 10405
365 기술(테크닉) 어드밴스트 슬라이딩 턴 [24] 펀보더 2008-01-01 19 10398
364 기술(테크닉) 널리 FS 360... 야스오처럼 뛰자~~ [35] 쎄지~ 2007-02-17 45 10382
» 기술(테크닉) 그랩을쉽게 하는 방법~~~! (부제 정확한 팝) [24] volcomsnow 2009-12-09 63 10312
362 기술(테크닉) 크로스 언더 기술에 관한 글 (동영상 포함) [28] leeho730 2008-05-14 125 10246
361 기술(테크닉) 제대로된 카빙을 하시나요? [64] 카빙 2005-12-06 13 10228
360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잘 타는 법 (좋은 스타일) [23] 사몽 2003-10-19 68 10179
359 기술(테크닉) 초보자를 위한 업다운 무브먼트 [11] 안가르쳐줘 2009-06-02 110 10167
358 기술(테크닉) [jayson]spin 트릭.. 180, 360, 540, 720, 9... [5] 오종선[jayson] 2002-01-15 90 10023
357 기술(테크닉) [한줄팁] 토턴시 자세 [11] 소리조각 2016-01-22 14 9958
356 기술(테크닉) 초보를 강습하기전에 고려해야할 사항 [27] ┓푸른바다┏ 2009-12-08 49 9948
355 기술(테크닉) [동관이]그라운드 트릭을 하구 싶어? [41] 동관이 2002-11-25 24 9925
354 기술(테크닉) 전향으로 타시는 분들 참고 하시면 좋을 듯 ... [7] 나모나모 2017-01-25 15 9917
353 기술(테크닉) 업다운과 프레셔 컨트롤 2 (부제: 업다운은 ... [42] Lunatrix 2006-09-03 39 9910
352 기술(테크닉) 간단한 '토션'의 원리와 사용법 [22] Jake! 2015-10-26 21 9878
351 기술(테크닉) 누군가를 강습해줘야 한다.. 어떻게 해야할까?! [20] 고타나 2009-01-15 94 9867
350 기술(테크닉) 카빙시 가속방법 [53] 매서운 2006-11-10 22 9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