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숀화이트의 슈퍼 파이프 런에 대한 것 입니다. 게이트를 나갈 때, 숀 화이트는 파이프까지 직선으로 가는데, 다른 이들은 턴이 발생합니다. 이는 숀 화이트가 최소한의 마찰력으로 파이프를 진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숀은 파이프에 들어갈 때, 점프를 해서 들어가는데, 이것은 스피드를 증가시킵니다. (60km/h) 더 강한 떨어짐은 강한 가속을 만듭니다. 가속을 잃게 되면 90cm보다 더 적은 높이가 됩니다. 150미터 길이의 파이프 안쪽에서 숀은 한 기술을 하나 사용하는데, 'pumping'이라고 불립니다. 그네에서 다리를 이용해서 높이 올라가는 것 처럼, 숀은 파이프에서 펌핑을 이용하고, 이것은 angular velocity(각속도)를 증가 시킵니다. (1:00)


웅크렸다가 립에서 몸과 팔을 업시켜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중력을 회전으로 교차시켜 스피드를 더욱 더 증가시키는 것 입니다. 그 높이는 22피트의 벽을 가르며 80~85도의 각으로 올라갑니다. 숀은 이번 런에서 85도의 각으로 파이프를 올라가는 군요. 추진 스피드의 최대치는 자동적으로 높이를 만듭니다. (20.1'feet = 6m).80도 이하의 얕은 각은 에너지를 파이프 아래로 떨어뜨려 버리고, 대조적으로 5feet(1.5미터)의 높이 차이를 만듭니다. - @1:50


 말할것도 없이 만약 숀이 한다면, 뜨기 위해 좁힙니다. 당신이 립에 직면할 때, 파이프의 커브는 완전하게 수직(vertical)으로 바뀝니다. 여기서는, 팝 타이밍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장 효율적인 팝 시간은 0.1초도 안됩니다. 숀은 보드를 밀어주는 동시에 팔과 상체를 펴주는 것을 합니다. 정확하게 30000분의 1초 더 빠르게 쳐 주고, 그 이후에 어떠한 것도 잃는 것 업이 에어로 바꾸어 줍니다. 숀은 이러한 각각의 스텝을 실행해서 23피트(6.6m)의 높이를 만듭니다. 그 높이는 또 다른 슈퍼파이프의 높이입니다.


이러한 완벽한 폼에서 나오는 기술들로 볼 때, 숀이 15번의 엑스게임 우승자라는 것과 최근 연속 3회 슈퍼파이프 금메달 리스트라는 것이 놀랍지 않겠죠.



이번 숀은 첫번째 에어에서 7.3m 백사이드 뛰었네요.



엮인글 :

재퐈니

2013.02.03 21:28:14
*.247.147.133

잘보고 갑니다..

뭐라 할말은 없고요.. 멋지네요^^

Gatsby

2013.02.03 23:05:12
*.62.167.19

제가 파이프 초보분들에게 이야기 하는것이 서서 그네를 타는 기분으로 파이프 벽을 타라고 하는데 이번 스포츠 사이언스와 일맥상통 합니다. 역시ㅡ파이프의 팝은 알리가 아닌 업을 통한 펌핑 이군요. 저도 백사이드 에어 뛸때 팔을 벌리는 연습좀 해봐야 겠어용^^

반중력

2013.02.03 23:46:21
*.47.6.124

안녕하세요.


웁 답글 알았는데.... 자동 로그 아웃 되네요 여기... 꽤 길게 구구절절 썼는데.... 


요약하면.. ㅠㅠ 


반 알리 입니다. 


슬로프에서 알리 하면서 테일 떨어지지 않게 노즈 들리게만 만들며 상체까지 업 시킨 후 


그 상태로 오래 버티는 것이랑 파이프나 키커에서 똑같습니다. 의자에서 일어나는 느낌의 알리... 


베이스로 하면, 키커 


에지 가지고 하면 파이프에서 도움 됩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e7NRRMCfnBk&list=HL1359807779


이 동영상 보시면, 


얼굴이랑 상체가 뜨고 다리가 따라 옵니다. 테일쪽은 립 핥고요. 펌핑 후 반 알리... 



길게 또 쓸 자신이 없네요..  


위대한 갯츠비님께서 해 보시고 적어주세요. ㅋㅋ 프론트는 잘 하시니 백도 금방 하실 겁니다. 



월턴에서도 연습할 수 있는데, 

노즈를 하늘로 밀며, 테일은 파이프에서 안 떨어진 상태로 턴 하는 연습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잠시 멈췄다가 테일 블런트처럼 돌고 내려 오겠죠. 

반중력

2013.02.03 23:47:14
*.47.6.124

아.. 바로 위 버튼 동영상 드롭인은 별로입니다. 드롭인은 패스. 

Gatsby

2013.02.04 11:33:16
*.62.167.19

펌피후 반알리 .....이해했습니다.^^
테크에 대한 분석력에 찬사를ㅡ보내드립니다.
근데 그테크를 대명파이프에는 최적으로
먹히겠지만 웰팍 파이프에서 시도하면
버텀 랜딩이 우려됩니다. 저는 웰팍에서
주로타기 때문에 백사이드에서 펌핑 순간에
팔을 벌려상체의 중심을 바깥쪽으로 흘림과
동시에 상체의 업을 통해 무게 중심 또한 위로
업을 시켜 공중부양에 필요한 에너지를 좀더
얻어보려고 노력해보겠습니다.^^

이글을 제 블로그에 퍼가도 될까요?

Gatsby

2013.02.04 11:33:37
*.62.167.19

펌피후 반알리 .....이해했습니다.^^
테크에 대한 분석력에 찬사를ㅡ보내드립니다.
근데 그테크를 대명파이프에는 최적으로
먹히겠지만 웰팍 파이프에서 시도하면
버텀 랜딩이 우려됩니다. 저는 웰팍에서
주로타기 때문에 백사이드에서 펌핑 순간에
팔을 벌려상체의 중심을 바깥쪽으로 흘림과
동시에 상체의 업을 통해 무게 중심 또한 위로
업을 시켜 공중부양에 필요한 에너지를 좀더
얻어보려고 노력해보겠습니다.^^

이글을 제 블로그에 퍼가도 될까요?

시티헌터우수한

2013.02.04 21:44:10
*.142.217.230

이 영상을 작년인가 봣는데...

쑌 너~~~무 멋잇따옹...

 

암튼

조은 정보 감사 합니다.

 

낼도 열씨미 연습하러 가야쥐...

장땡_1018957

2013.02.05 20:36:59
*.206.67.160

높이가 역쉬 무시무시 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75
289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트릭(인트로) [1] 성게군~ 2013-03-07 6 4753
288 기술(테크닉) 다운 언웨이트 , 업 언웨이트 의 구별에 대하여 [22] 알리알리짱 2013-02-16 6 3132
287 기술(테크닉) 슬로프를 썰자! [5] 알리알리짱 2013-02-15 5 2172
286 기술(테크닉) 급사에서 급사하지 않는 방법 [26] 문박사 2013-02-11 15 3815
285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 프론트사이드 월턴과 에어턴의 ... [3] 반중력 2013-02-03 2 1769
»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 과학 [8] 반중력 2013-02-03 3 1995
283 기술(테크닉) 카빙턴에서의 힐턴 [6] 165LX 2013-01-10 1 4966
282 기술(테크닉) 카빙턴 프레스와 기울기에 대한 생각을 올려... [5] 성게군~ 2013-01-04 2 3438
281 기술(테크닉) 턴은 어떻게 생기나 [1] 나경아빠 2013-01-02 5 1642
280 기술(테크닉) 프레싱과 앵귤레이션의 구분~!! [22] 날아라가스~!! 2012-12-27 12 2948
279 기술(테크닉) 카빙 힐턴시 어려움이 있는 분들께.. file [12] 오뚜기칼에 2012-12-17 7 7837
278 기술(테크닉) 스켑 알리와 스노보드 알리의 공통점과 차이점. [8] RockQ 2012-11-14 2 3735
277 기술(테크닉) 사진으로 확인해보는 알리... file [10] 혀니... 2012-11-14   4763
276 기술(테크닉) 알리 어디 까지 뛰어봤니??? file [26] eli 2012-11-01 6 7512
275 기술(테크닉) 스위치와 페이키의 차이점을 정감가는(?) 손... file [14] DreamSaver 2012-10-29   5930
274 기술(테크닉) 스위치(페이키)라이딩 연습 팁!! [33] ★카이★ 2012-10-29 18 8905
273 기술(테크닉) 심심해서 써봤던 고속라이딩에 대한 글~!! [30] 날아라가스~!! 2012-10-08 5 6180
272 기술(테크닉) 정캠 vs 역캠, 그리고 장단점 [23] Gatsby 2012-10-04 7 10655
271 기술(테크닉) 오랜만에 써보는 라이딩 기초이론~!! [29] 날아라가스~!! 2011-12-22 6 11588
270 기술(테크닉) [초보] 초보가 하는 힐턴에서의 다운과 앵... file [28] 딴생각 2011-12-14 7 13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