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동경의 솔로잉 보더 마스임다.

적는 김에 그냥 마져 적습니다. 엣지전환에 대해서는 그림이 별 필요없는지라..-_-;
이러다가 나 짤리면…-ㅜ 타국에서 짤리면 굶어죽는데….-ㅜ

지금부터 설명하는 내용은 플랫을 이용한 엣지전환인데 개념적으로 조금 어려운 부분이라고 합니다. 원래는 상급자교육내용이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이 방법은 실제 알파인선수들이 경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하더군요. 속도를 최대한 살리는 방법이라는…

그리고 카빙턴을 제대로 하고 있으신 분들은 이미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르죠. 연습에서는 아주 긴 호흡으로 이루어지지만 익숙해지면 모든 동작은 거의 한순간에 다 일어나는 것이니까요.

서론이 좀 길었군요. 그럼 들어갑니다. 내용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연습슬로프는 초중급슬로프입니다. 가능하면 밑쪽에 사람이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폭이 좀 넓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폴라인을 향해서 베이스로 내려갑니다. 속도가 약간 붙었으면 힐사이드턴을 시작합니다. 물론 이 때에는 앞서 배운 기초자세와 다운자세를 충분히 이용합니다. 낮은 자세로 턴을 했으면 업을 해서 기본자세로 만들어주고 보드의 베이스가 설면에 완전히 닿도록 합니다. 즉 어느쪽 엣지도 들어가지 않은Flat상태로 만듭니다. 이 플랫상태로 만드는게 아주 쉬울 것 같지만 해보시면 꽤 무서울겁니다. ^^;

여기서 유의할 점은 절대 엣지전환을 무리하게 하려고 하지 마십시요. 천천히 플랫상태가 될 때까지 계속 슬로프를 가로지르십시요. 이 것때문에 폭이 좀 넓은 슬로프가 필요합니다. 처음 할 땐 플랫상태를 빨리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좀 길게 가기 때문인데 폭이 좁은 슬로프의 경우 이 연습을 제대로 하기가 힘들어 지는겁니다.

또 한가지 유의점은 절대 보드의 진행방향이외로는 시선을 돌리지 마십시요. 시선을 돌리면 보드의 방향이 바뀌게 되므로 보드의 진행방향만을 보도록 합니다. 한가지 요령은 앞손의 손가락 하나를 세워두고 그것만 보고 가는 것도 괜찮습니다.

일단 플랫상태가 만들어지면….자동적으로 어떤 현상이 일어납니다. 인스트럭터는 여기까지만 설명해주고 간단한 시범후에 해보라고 했습니다. 여러분도 여기까지만 읽어보고 함 해보는 것도..^^;


초허접한 그림입니다....-_-;;;

자….그럼 플랫상태가 되면 어떻게 될까요? 한마디로 말하면 역엣지가 걸립니다. 무섭져? ^^;
일단 위의 허접한 그림을 봐주십시요. 플랫상태가 된 보드는 슬로프를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가고 있을거고 밑쪽으로 중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힐턴후라면 프론트엣지가 살짝 걸리는 상황이 됩니다. 그리고 프론트엣지가 살짝 걸린 상황에서 그냥 그대로 있어도 보드는 자연스럽게 돌아가기 시작하죠.
여기서 이미 엣징체인지는 끝난 상황이니 프론트방향으로 다운을 해주면 슬립없이 깨끗한 턴이 이루어질겁니다.
혹시나 강력한 역엣지가 두려우실지 모르겠는데 대각선으로 진행하면서 플랫상태를 만들어주는 정도로는 강력한! 역엣지가 걸리지 않습니다. 급격한 엣지전환을 무리하게 하려고 할 때 주로 걸리지요. ^^;

개인적으로 이 플랫이란 개념은 3가지 면에서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는 이 개념을 가지고 있음으로서 턴의 단계가 천천히 이루어진다는 겁니다. 턴을 천천히 이루어지게 하는 건 여러 면에서 많은 도움이 되죠. 보통의 턴이 힐다운 -> 업(엣지체인지) -> 프론트다운의 단계라면 힐다운 -> 업 -> 플랫트(엣지체인지) -> 프론트다운이라는 단계가 됨으로써 한 호흡을 더 가져지는거죠. 물론 익숙해지면 업과 동시에 플랫상태로 만들면서 엣지체인지가 되겠지만서리. 참고로 보통 업후 다운을 하면서 엣징체인지를 하는데 이 플랫이라는 과정이 거의 생략되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죠.

두번째는 같이 강습을 받았던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 건데 엣징체인지를 할때 과도한 중심이동으로 인한 슬립이 상당히 많이 일어나는 편이더군요. 이런 분에게는 상당한 도움이 될겁니다. 엣지체인지가 훨씬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과도한 중심이동도 필요없고 역엣지의 위험도 보다 줄어들겁니다. 단점(?)이라면….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것..-_-; 전 1키로 정도 되는 초중급 슬로프를 이 개념을 가지고 난뒤 내려와보니…..속도가 상당하게 빨라졌다는 걸 느꼈습니다. 무섭더라구여…쩝.

세번째는 별 것 아니지만 플랫에 대한 개념과 연습을 함으로써 킥커의 램프진입에 도움이 됩니다. 나중에 따로 적겠지만 램프진입할때와 점프시에는 플랫상태에서 하는 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

인스트럭터가 이 개념에 대해 설명을 해주면서 이 부분은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제대로 적용하려면 상당한 연습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즉 플랫상태를 빠른 시간에 만들어주고 다른 쪽 엣지로 자연스럽게 체인지하는 건 상당한 상급자 레벨이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보드를 내가 억지로 끌어당긴다던지 방향을 전환하면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흘러가는 보드위에 나를 맡긴다는 느낌으로 타는 개념이랍니다.

또 한가지 더는 업후에 플랫, 그리고 반대쪽 엣지가 걸리는 걸 느끼고 다운의 순이냐구 물으니까 미묘하다면서 그러더군요. 꼭 그렇게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건 아니라고 하더군요. 결국 업, 플랫, 엣지전환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거겠지만 자신도 말로 설명하기는 무척이나 어렵다더라구요. 이것저것 해보면서 몸으로 느껴보라면서 그러던데….
참고로 숏턴시의 플랫과 엣지전환은 자신도 가능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 사람 타는 거 보면 엄청난 실력인데도 불구하고 말이죠. -_-;

음…일단 제가 듣고 제가 느낀 점에 대해서는 대충 다 적은 것 같군요. 어느정도 이해가 되셨나요? 아마 슬로프에서 직접 한 번 해보시면 훨씬 쉽게 몸에 와 닿으실겁니다. 참 위에서는 힐사이드만의 연습과정을 적었는데 프론트사이드는 반대로 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밑에 적은 기본자세에 대한 글과 마찬가지로 여러분들도 직접 해보시고 이런 저런 경험담과 토론을 해보고 싶습니다. ^^;

여기서부턴 잡담….
아…..글 적고 나니까 갑자기 보드가 무쟈게 타구 싶다….ㅜㅜ
이번 주말은 보드장 안가고 걍 한국에 구정 쉬러 들어가는데……취소하고 보드장으루? -_-;
엮인글 :

홍서방

2003.01.29 16:52:59
*.196.227.188

Mars님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홍서방

2003.01.29 16:59:17
*.196.227.188

그런데 궁금한점이요, 첨에 폴라인방향으로 내려오다 힐턴 끈낸상테에서 플랫을 만들라고 하셧는데, 그러면 보드진행방향이 사선으로 가라는말씀이신지요? 사선상테에서 플랫을 만들면, 몸의중심과 보드가 수직이 될수있나요? 중력때문에 몸은 수평된 평지 기준으로 수직이 될거 같은데 아 이거 말로 설명하려니 잘 안되네요.. 참 그리고 플랫 상태를 만든느것이 초급을 넘어 상급 최상급으로가면 점점더 여려워 질텐데, 좀더 보충설명을 해주시면 안될까요.. 직접만나서 좀 여쭤보고 싶지만 일본에 계신거 같애서 ^_^ 앗 이만일하러 다시 여쭤볼께요

홍서방

2003.01.29 17:04:10
*.196.227.188

아참 저는 프리스타일입니다 어깨는 완전히 닫고 타는 스타일입니다 요새 라이딩이 잘안되서 고민주잉죠

Mars

2003.01.29 17:11:30
*.8.239.133

플랫을 만들라는 얘기는 그 중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평지기준으로 수직이 되게 하면 플랫상태가 안되죠. ^^; 즉 약간 엉거주춤한 자세로 플랫상태가 되는데 이런 상태로 플랫이 되면....위에서 말한 중력에 의한 보드의 엣지가 안걸리게 됩니다. 몸을 보드와 수직이 되게 움직이면서 플랫을 만들어 보십시요. 그럼 플랫상태가 되는 순간....반대쪽 엣지가 걸리다는 걸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아마 직접 한 번 해보시면 금방 느끼실 거예요. ^^;

Mars

2003.01.29 17:14:08
*.8.239.133

또, 상급, 최상급으로 가면 점점 더 어려워지죠. 원래 상급으로 가면 카빙자체가 어려워지죠? ^^; 그 무서운 속도를 감당해야하는 것도 문제죠. 상급에서 너비스가 되고 카빙이 될 정도라면 플랫을 만드는 건 그렇게 어렵지 않을 겁니다. 단지...플랫만드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면 곤란하니까 충분히 적응해서 익숙해진 후에 하는 것이 좋겠죠. 아..그리고 진행하는 속도가 있기 때문에 보드와 수직이 되게 하는 건 별로 어렵지 않죠. 넘어지지도 않을거구요.

홍서방

2003.01.29 17:29:31
*.196.227.188

제경우에는 상급슬롶에서 라이딩시 사람이 없을경우만 넓게 폭을 잡고 연습을 합니다.
사람이 있으면 무서워서 그냥 슬금슬금 내려가구요.. 거의 슬로프 폭을 2/3이상 잡아먹는데, 그경우 젤중요한게 시선처리 같더군요, 시선이 폴라인쪽을 보고있으면 여지없이 자세가 망가지더군요 지적하신대로 진행방향 을보는것이 중요할거 같습니다. 제경우 힐턴시는 고개를 왼쪽으로 좀더 돌리는 식으로 의식적으로 폴라인방향 안볼라고 노력중인데 잘안되네요

Mars

2003.01.29 18:12:56
*.8.239.133

음..먼저 플랫을 느낀다기 보다는 정확한 플랫상태가 되면 반대쪽 엣지가 걸리는 걸 느껴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사이드 슬리픙을 꽤 진행되어야 느끼게 되죠. 실제로 자신은 플랫이라고 느끼지만 보드가 정확한 플랫상태가 안되기 때문인겁니다. 그리고 연습은 상급에서 하시면...별로 안좋을 것 같네요. 왜냐면 처음 플랫을 이용한 엣지 전환을 하려면 사이드슬리핑이 되는 거리가 꽤 됩니다. 상급슬로프에서는 그런 걸 느낄 경황이 없을 정도로 스피드가 붙기 때문에 별로 도움이 안되죠. 중급도 좀 그렇습니다. 그리고 약 13-18도정도의 경사가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드는군요.

Mars

2003.01.29 18:18:08
*.8.239.133

또 상체이동이란 건 원래 어느정도의 스피드가 없이는 힘들죠. 그런데 상급슬롭에서 반대쪽 엣지전환이 안될정도로 속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조금 이해하기 힘들군요. J턴이라면 당근 떨어지겠지만서리.....참고로 J턴에선 플랫이란 개념은 소용없습니다.. -_-;;;
마지막으로 플랫에 의한 엣지전환은 상당히 느낀 속도에서도 가능합니다.

제일 처음 말했지만 보드가 정확히 설면에 밀착되는 순간 반대쪽 엣지가 걸리는 느낌이 옵니다. 자신은 플랫이라고 생각해도 실제로는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역시 몸이 지면에 대해 수직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플랫은 정확히 말해 플랫상태라고 보는게 힘들겠죠?

대욱

2003.01.29 18:47:56
*.58.234.199

음... 제가 여태까지 본 칼럼 가운데 젤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ars님..
제가 요즘 파이프에서 플랫 베이스의 중요함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트렌지션을 올라갈때 에지에서 베이스로의 전환이 필요한데 역에지 때문에 쫄아서 계속 월을 에지를 사용해서 올라가니 속도가 안나서 두번째 턴부터는 립오버가 안된답니다. 슬로프에서 일단 연습을 해 봐야겠군요.. 앞으로 좋은내용 많이 부탁드립니다.

Mars

2003.01.29 19:29:18
*.8.239.133

용어 선택에 문제가 있어서...사이드슬리핑이라니..ㅜㅜ 난 뭘 배웠던걸까? -_-; 트레버싱으로 교체합니다.

홍서방

2003.01.29 19:46:49
*.196.227.188

아, 제가 좀 질문을 잘못했군요 ^^ 아무튼 칼럼써주신 내용을 좀더 연구해볼게요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그리구 위에 제 질문은 약간 오해의 소지를 불러일으킬것 같아 삭제하겠습니다 꾸벅.

MKII

2003.01.30 02:12:35
*.73.90.206

크헉~ 제가 관리자 라면... 최소 포인트 업 500정도 하게습니다. 500*2 = 1000 ㅋㅋ ^^

Mars

2003.01.30 10:18:17
*.198.156.61

MK님..글케 포인트가 쌓이면 정말 좋겠지만..^^;
칼럼에 글을 몇개 적어보니 포인트가 글케 차이는 안나더군요.
10점정도 되는듯...후후.
고로....아이콘에 대한 꿈은 애초에 접었습니다. -_-;;;;

엽기보이™

2003.02.01 22:20:26
*.74.133.17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장대희

2003.02.02 11:58:33
*.217.156.42

플랫은 뭐고 트렌지션은 뭐쥐...? -_-;; 용어가 너무 어려워라...에궁~
너무 깊이 생각하지 마시구 즐겁게 타보세영...

헐랭

2003.02.02 18:50:45
*.239.23.81

넘 멋있는 컬럼 **강추**

choco-funky

2003.02.02 18:54:55
*.205.235.123

( @ _ @) 맞아여 무슨 얘긴지 해석이 필요 하다는....;;
그치만 Msrs 님 칼럼 작성하시느라 수고 마니 하셨어요 !짝짝짝!

Corea

2003.02.04 17:02:02
*.235.43.58

카빙턴에 대해 이야기하다보면 가끔 잘못알고 계시는 부분중에 하나가 지나온 엣지라인이 깨끗한 S자이어야
한다고 알고 계시는분들이 많다는 사실입니다. 진정한 카빙이라면 깨끗한 S자가 아닌 엣지전환타이밍에는
엣지자국이 끈겨있어야 합니다. 그 두께는 딱 데크한장두께만큼이죠.즉 토에서 힐로 엣지가 플랫 상태를
거치면서 전환이 되기때문에(물론 매우 짧은 찰나의 순간이지만) 순간적으로 엣지자국이 끈기게됩니다.
그게 정확한 카빙이죠. 카빙에서는 정확한 엣지전환 타이밍과 엣지프레스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가구보더

2003.02.05 21:45:58
*.187.94.22

함 연습해보겠습니다..
연속되는 조은글 감사합니다.

fastbreak

2003.02.10 11:17:19
*.116.196.225

그럼 에어턴보다 이 프랫을 이용한 카빙이 더 빠른건가요
아님 상급슬로프와 같이 에어턴하기 조금 힘든 슬롭에서 가능하다는건가요 ??

GunBoarder

2003.02.12 03:10:46
*.36.174.249

마스님 대단하심다.....

빵집아들

2004.01.05 14:28:00
*.79.202.26

이 칼럼본지는 벌써 1년이 다되가는데 이제서야 제대루 읽어보내요. 라이딩 실력이 안늘어 고민중이었는데 이거 읽으니 얼른 슬롭에가서 해보구 싶어 미치겠네요. -_-

라바

2004.01.14 20:46:43
*.121.50.107

엣지체인지 시점에 엣지자국이 데크한장두께만큼 끊겨야 된다는데에는 반대의견입니다.. 업을 할때 탄력을 많이 이용할수록 엣지자국이 가까워지고, 심할땐 오히려 체인지후의 엣지가 더 윗쪽에 생기는 경우도 있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3
329 기술(테크닉) 라이딩 스타일에 관한 이야기 [12] 눈꽃송이 2007-03-09 49 5207
328 기술(테크닉) 진입시 프레스컨트롤 [7] 심훈Film 2016-11-05 49 8220
327 기술(테크닉) 초보를 강습하기전에 고려해야할 사항 [27] ┓푸른바다┏ 2009-12-08 49 9948
326 기술(테크닉) 덕풋에서 벗어나서 레벨업 합시다. [42] Gatsby 2008-01-29 48 8993
325 기술(테크닉) 중급슬롭에서 카빙이 잘 안돼신다면..몇가지... [39] 허접보더 2008-01-08 48 10800
324 기술(테크닉) 에어 투 카브 (Air to carve) - 비로거님 ... [7] 비로거 2005-11-22 48 7158
323 기술(테크닉) 다이나믹 슬라이딩턴에 대한 독학적 고찰 [25] 허접보더 2008-02-05 48 7418
» 기술(테크닉) 카빙턴을 위한 엣지 전환.(일본캠프) [23] Mars 2003-01-29 47 8500
321 기술(테크닉) [RiderCrew] 카빙에 대한 짧은 생각...... [33] RiderCrew 2002-01-17 47 5998
320 기술(테크닉) 팔을 흔드는 이유 file [35] Lunatrix 2014-01-30 47 15099
319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Nollie F/S 180 [21] 루돌프조련사 2006-06-01 47 8462
318 기술(테크닉) 아이스도 좋은 연습 조건입니다~~~ [38] ROCKJA 2008-08-31 47 7160
317 기술(테크닉) [jayson]원메이크의 순서.. [14] 오종선 2002-01-03 47 5201
316 기술(테크닉) 라이딩시 무릎 스티어링과 무게중심의 이동... [13] CABCA 2004-02-16 47 4548
315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1. 전경후경과... file [32] Lunatrix 2014-01-21 46 13614
314 기술(테크닉) 라이딩을 대하는 자세 - 강한 프레스로 가는... [60] 비로거. 2013-10-20 46 5601
313 기술(테크닉) 관성, 구심력, 원심력 그리고 스노보드 file [25] 문박사 2010-02-21 46 10506
312 기술(테크닉) 베이직 점프를 배우자! [9] ::쿨러닝:: 2002-11-07 46 5811
311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의 스포츠의학적분석 [12] 최강베르캄프 2007-12-21 46 4765
310 기술(테크닉) 주제도 몰...라.....그냥 옛날 생각에... [33] 동관이 2009-10-22 46 7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