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동경의 솔로잉 보드 마스임다.

이게 일본캠프와 관련된 마지막 편입니다.

사실 전 파크에서 에어라든지 웨이브라든지 레일이라든지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습니다. -_-; 그런데 캠프 첫날 자유라이딩 하던 중, 중간에 만든 조그만(?) 킥커(높이 1미터정도?)에서 대박 굴렀져..-ㅜ

진입속도가 좀 빨라서였는지 뜨기는 꽤 떴는데 목, 등으로 착지(?)를 해냈죠. 나중에 비디오 보니까 1미터 이상(높이)정도 날랐더군요. -_-;;;;; 욜라 아팠습니다. 다행히 큰 문제는 없었지만요.

그래서 이틀째 파크에 대한 기초를 갈쳐달라구 했죠. ^^;
지금 적는 이 내용은 조금은 과외과목으로 기초적인 부분만을 조금 배운 내용입니다. 근데....처음이라고 말했는데 연습하던 테이블탑이 거의 2미터가 넘 는 곳이였다는...ㅜㅜ 욜라 무서웠어여. 쩝.

잡설이 무쟈게 길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죠.
혹시나 용어가 틀릴까봐 그런데 테이블탑이란 에어를 위한 점프대를 말합니다.

에어에서 가장 중요하면서 가장 기초적인 부분은 램프진입입니다. 이 램프진입이 실패하면 에어자체가 실패할 위험도 크고 부상당할 위험도 커지지요.
그럼 어떤 식으로 진입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요?

먼저 램프에 진입하는 순간의 자세는 밑의 칼럼에서 나오는 기본자세에서 좀 더 낮은 자세입니다. 그리고 보드의 상태는 어느쪽도 엣지가 들어가지 않은 완전한 플랫상태입니다. 또한 플랫상태에서 몸의 중심은 보드의 정 한가운데이구요.

이론은 간단하죠? 필요한 연습과정은 이미 밑의 칼럼에서 다 나왔습니다.
기초자세, 다운자세, 트레버싱중 보드상의 밸런스, 플랫.
특히 중요한 것은 보드상에서 밸런스입니다. 노즈-테일에서의 중심이 아닌 프론트-힐사이의 중심이요. 이건 트레버싱하면서 업다운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연습이 가능하실겁니다. 또한 플랫이라는 느낌을 잘 간직하고 계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일단 진입할때 보드의 중심이 잡히고 플랫상태가 유지된다면 일단 절반은 성공한셈입니다. 여기서부터는 용기가 필요한 시점이죠.

에어를 자주 하시는 분이 아니라면 램프에 진입하는 순간 상당히 겁을 내게 됩니다. 정말 무섭죠..--; 그러다보니 몸의 중심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뒤로 빠지게 되죠. 몸의 중심이 뒤로 너무 빠진 상태에서 점프를 하게 되면 상당히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자동으로 백플립180(?)을 한다는거죠. 물론 착지는 머리로......( --)

또 보드가 램프의 경사면으로 서게 되면 중력의 법칙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몸이 뒤쪽으로 좀 쏠립니다. (이건 하프파이프에서도 적용되는 부분이죠. ^^;) 그래서 램프에 들어가면서는 약간의 다운 자세에서 앞팔을 평소보다 주욱 뻗어줘서 가능한한 앞쪽에 몸의 중심을 두도록 합니다.

원래 점프에서 이상적인 것은 보드의 중심에 몸의 중심이 오는 것이나 자신이 중심이라고 생각해도 의외로 뒤로 빠져있는 경우가 많이 있으니 약간 앞쪽에 중심을 둔다는 느낌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자...이제 램프의 진입도 매끄럽게 되었고 하늘을 날고(?) 있습니다.(10cm? -_-?) 남은 건...착지. 착지는 앞서 말한 부분들만 제대로 지켰다면 별 다른 일을 안해도 정확하게 될 겁니다.

유의할 점은 시선처리입니다. 절대로 착지할 부분을 본다고 아래를 내려다 본다던지 하지 마십시요. 시선을 아래로 내리는 순간 몸의 밸런스는 흐트러져서 프론트쪽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합니다. 시선은 착지하는 땅을 보는 것이 아니라 전방쪽을 약간 멀리 본다는 기분으로 봅니다.

자...여기까지 되었다면 여러분들은 특별한 기술은 없었지만 깨끗한 점프를 해 낼 수 있습니다.

의외로 간단하죠? 아마 앞서 말한 기초적인 내용들이 제대로 되어 있고 약간의 용기만 있다면 특별히 어려운 점은 없을 겁니다.

마지막으로...자주 나타나는 실수나 유의할 사항을 짚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다운자세에서 전체 자세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목이 숙이는 패턴이 많습니다. 자신도 잘 못느끼는데 남보고 꼭 봐달라고 하십시요.
목을 숙이면 플랫상태라고 하더라도 몸 중심이 프론트쪽으로 기울어져 있어서 점프하는 순간 프론트쪽으로 돌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겁니다.

역시 반대의 경우로 엉덩이를 뒤로 너무 빼는 것도 문제입니다. 이런 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업다운트레버싱을 통해 밸런스감각을 잘 익히는 것이 중요하죠.

그리고 역시 플랫상태라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램프에 들어가서 점프하기 직전에 긴장해서 힘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무의식적으로 엣지가 조금씩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죠. 엣지가 박히면 역시 점프하는 순간에...프론트나 힐방향으로 돌아가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_-; 거기다가 착지대를 벗어날수도 있구요.

다음으론 시선처리겠죠. 시선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전체적인 몸의 중심을 컨트롤하는데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램프진입할때 밑을 보지 말고, 점프할때 밑을 보지말고, 착지할때 밑을 보지 마십시요. 좋은 방법으로는 앞으로 주욱 뻗은 팔...아니 뻗은 손가락...을 보고 가십시요. 착지할때도 마찬가지로 말이죠.

또 한가지는 더는 무게중심이 뒤로 가지 않도록 특히 신경쓰십시요. 이건 하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평지에서 자세를 연습하시는 것이 좋은데 일반적인 다운자세에서 팔을 앞으로 주욱 더 내미십시요. 그럼 몸이 전체적으로 약간 앞으로 쏠리는 모습이 되는데 그 상태로 진입해서 점프한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지트레이닝과 평지에서의 연습을 통해 자세에 대한 감을 잡아두시는 것이 좋겠죠.

아....마지막으로 보통 점프할때 알리를 치면서 뛰게 되는데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역시 알리는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또한 알리치시는 분들도 치는 순간 엣지와 중심이동에 신경쓰도록 하시는 것이 좋겠죠.

휴우...이제 캠프내용에 대한 것들은 다 끝난 것 같군요. 캠프에 참여하면서 인스트럭터들이나 다른 사람과 많이 얘기를 나눴는데 역시나 모든 건 기초가 중요하더군요. ^^;

개인적으로 가장 잼있었던 부분은 플랫을 이용한 엣지전환과 에어였습니다.(에어라고 말하기도 글치만서리..--;)
그 전에는 작은 킥커를 봐도 별루 뛰고 싶다는 생각을 안했는데 이제는 조금 자신감이 붙었네요. 아..처음부터 무리하게 높이 뛰고 하실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일단 10cm만 뛰어도 충분한 것이니까요.(제가 10cm뛴다는 말이 아닙니다..--; 전 5cm입니다..........쿨럭)

좀 쓸데없는 얘기들도 많이 적느라 글들이 꽤 길어졌는데 아무쪼록 실력향상에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혹시 제가 잘 못 이해하거나 빠트린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니까 보시고 지적하실 부분이 있으면 과감히 지적을 부탁드립니다. ^__^;

이상! 동경에서 솔로잉보더 마스였습니다.

아마 다음 칼럼은 일본뽀드장소개로 노자와온천스키장이 될것 같습니다.
온천과 뽀드가 잘 어우러진 멋진 곳이죠. ^^; 다음 주말에 다녀온뒤 적도록 하죠.
엮인글 :

[風]민..™

2003.01.30 19:23:08
*.30.136.98

아 좋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리얼초보

2003.01.30 22:24:24
*.49.91.4

정말 좋은 정보네여^,.^ p샴돠..(__)

오크

2003.01.30 23:33:51
*.134.190.107

램프를 뛰고 싶었는데 요령을 잘몰랐지요...
아주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어쩐지 자꾸 엉덩방아를 찧더라니...

눈오는날 노상온천에서 몸담그고...크~정말 염장이겠네요..^^

assaulphist

2003.01.31 01:45:55
*.236.115.20

만약 램프를 한번도 안뛰어본사람이라면..
램프에 진입시에 속도를..
램프경사면 중간쯤만 가다가 멈출정도로 느리게 가세요..
그래도 슬쩍 넘어갑니다..
만약 겨우 넘어갈정도라고 생각하는 속도로 내려가면
훌쩍뛰어넘어가 버리죠...
항상 부상은 욕심부리다 당합니다..
처음엔 그냥 슬쩍 넘기만하고 그 감을 익히세요..
그 다음부터 1cm씩 뛰는 높이를 올리면 됩니다..

[風]option[]

2003.02.01 10:16:41
*.78.113.190

아!!!!! 노자와보드장... 기대만빵입니다....

디스트로이어

2003.02.01 11:49:58
*.91.125.116

정말 좋은 글이었음돠...얼마전에 저는 아무생각 없이 뛰다가 한 3~4M 뛰어서 목과 엉덩이로
랜딩을 해서 부상을 당했는데...어케해야할지 이제 알거같음다.....감쏴

오종선[jayson]

2003.02.01 22:55:28
*.144.231.211

램프 뛰기전에..뒷쪽에 먼저 준비한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시고..앞에 랜딩지역 안전이 확보된다음에 출발하세요!!!파크에선 질서가 가장!!!!중요합니다!!~

choco-funky

2003.02.02 18:57:50
*.205.235.123

램프에서 멋지게 오방나르는 날을 기약 하며 ..( ㅠ _ ㅠ )

헐랭

2003.02.02 18:58:53
*.239.23.81

이번에도 멋진 컬럼 이군요.. 다음 편을 기대하겠습니다.

엉클보더

2003.02.05 11:52:16
*.76.84.69

기초가 중요하단 말씀 새겨듣겠습니다. 얼마전 램프에서 엉덩이로 착지한 후 여기저기 조언 듣고있습니다. 열번 멋지게 착지해도 마지막 한번이 날 울리네요. ^^

가구보더

2003.02.07 19:35:50
*.243.42.74

칼럼 잘 읽었습니다.역시 시험해보고픈 강열한 욕망에 낼 아침
출근과 보딩과의 한판 갈등때리기를 할것같은...

론리보더 ~ ♪

2003.02.10 16:14:09
*.127.218.164

마르스님 제가 쪽지 날렸는데... 아직 안 보셨나요..
저도 일본에 있는데 물어 볼게 있어서요

가람

2003.02.12 15:37:56
*.223.54.30

참 좋은 글입니다..마스님...
저는 "몸으로 반응"하는 주의자여서 별도의 이론을 통한 연습을
하진 않았습니다. 헌데, 님의 글은 지금 제가 하고 있는 수준을
자기평가하게 해주는 아주 좋은 글입니다.
바쁜 와중에도 이렇게 좋으 글을 남긴 님께 감사드립니다.^^
일본에서 함 뵙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269 기술(테크닉) 피아님의 업다운 글을 읽고 [4] 뉴잉글 2008-01-10 35 3234
268 기술(테크닉) 오토바이 레이싱처럼 탈래요~~~~~ [13] AKaSH 2007-01-04 35 4064
267 기술(테크닉) 지빙 입문 [50-50] 다치지 맙시다!! [33] 사악돌이 2006-01-18 35 5158
266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4 "보드는 앞으로 타세요" [26] grindays 2014-10-30 35 11012
265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3. 자세 file [21] Lunatrix 2014-01-23 33 10994
264 기술(테크닉) 토션에 대한 이해 - 1. 토션의 사용 file [17] Lunatrix 2014-12-30 33 16720
263 기술(테크닉) 롤링 이렇게도 해보자 [10] 까앙 2005-09-24 33 4260
262 기술(테크닉) 뉴트럴 포지션 [neutral position] 에 대한 ... [21] 호암 2017-02-13 33 8494
261 기술(테크닉) 실패 사례로 본 베이직 에어공략법 [22] 론리보더 ~ ♪ 2005-12-19 32 5685
260 기술(테크닉) Frontside 180 [28] 말괄량이보더 2007-01-19 32 6776
259 기술(테크닉) 턴서 슬라이딩 되는 문제점에 대해.. [29] 발업 2004-01-14 32 6298
258 기술(테크닉) 도전 롤링 !! (서버 다운으로 재업) [2] CoolLee 2005-09-24 31 3976
257 기술(테크닉) 테크니컬라이딩의 이해 file [15] ┓푸른바다┏ 2015-11-15 30 15203
256 기술(테크닉) 스케이팅에 관한 짧은 글.. [21] 비트[BEAT] 2003-07-21 30 3688
» 기술(테크닉) 보드파크에서 즐기기 위한 기초.(일본캠프) [13] Mars 2003-01-30 30 4124
254 기술(테크닉) 인터넷 사기대처법 총정리 [5] amEl 2005-12-03 30 2809
253 기술(테크닉) '블런트' 기술 명칭에 대해서... [3] 정덕진 2004-02-09 30 3309
252 기술(테크닉) 인터넷 사기대처법 총정리 [12] 므띠 2005-11-14 30 6016
251 기술(테크닉) [오빠달려] 트릭하다가 넘어졌을 때 수습하... [35] 오빠달려 2002-12-03 29 6630
250 기술(테크닉) Back Side 180 [3] Kick 2005-10-10 29 4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