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프로도 아니고, 초고수도 아니지만.. 지난 8년간 보고 배운 것을 완전 통 틀어서 한번 칼럼을 써보겠습니다. 물론 저도 배우는 단계이니, 그저 그 수준에서 이려니 봐주세요. (그리고 경어체를 쓰지 않았습니다. ~~)

스노우보드의 실력을 가름하는 두 기준은 콘트롤과 스타일 이다. 어느 속도에서나, 어느 사면에서나 어느 설질에서나, 보드를 완벽히 컨트롤 할 수 있는 능력과 그것을 좋은 스타일로 하는 것이 보드기술 발전의 궁극의 목표 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서 하프파이프에서 똑같이 한키를 떠도, 딱 보면 그 보더의 콘트롤 능력과 스타일을 한눈에 알 수 있다. 기술의 난이도가 아니고 콘트롤과 스타일이 결국 제일 중요한 기준인 것이다. (물론 콘트롤이 잘되니깐, 고난이도 기술도 가능한 거지만 ㅋㅋ)

그럼 본론으로 들어갑시다.

어떻게 하면 콘트롤 능력과 좋은 스타일을 배양할 수 있을까?
그것은 마일리지와 기초기술에 충실하는 것이다.

1. 마일리지

마일리지란, 실제로 보드를 타는 절대 시간을 말한다. 제 아무리 운동신경이 좋고, 테크닉이 발전해 있어도, 마일리지가 부족하면 단번에 콘트롤과 스타일이 부족하게 보인다. 또한 아무리 운동신경이 좋은 보더라도, 마일리지가 많은 보더를 넘을 수 없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장벽이 있다. 보드 실력에 배양에 가장 중요한 것이..보드 타는 절대 시간을 늘리는 것이다.

2. 기초 실력 배양

'기본에 충실하자' 이 말은 우리가 살면서 귀가 아프도록 듣는 말이기에, 다른 말 없이 조태정 프로의 말을 인용한다. 조태정 프로는 90/91년 시즌즈음에 무주에서 보드를 시작하셨는데, 그때는 무주에 초보자 슬로프만 보더에게 개방되어 있었다. 어쩔수 없이, 그 초보자 슬로프에서만 몇년을 죽어라 탔는데.. 프로가 되서 보니깐, 그때의 초보코스에서의 연습이 자신의 좋은 기술과 스타일을 엮어 내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었다.

( 무리하게 상급코스에서 내려오거나 하면, 결국 스타일을 안좋게 한다.)

누구나 잘타고 싶고, 실력이 빨리 늘고 싶다. 그러나 고난도 기술을 무조건 시도하는 것 보다, 지금 자기가 할 수 있는 기술을 꾸준히 오랫동안 하는 것이 실력 향상의 지름길이다.

외국프로들도 마찬가지다.대회에서나 비디오파트에서나 스타일과 콘트롤을 매우 중요시 여긴다. 데븐월쉬도 팔을 퍼덕이는 1080를 할바에는 부드럽고 완벽한 콘트롤의 180를 하겠다고 했다.

보더 여러분들이여.. 기술발전을 이루려고 너무 조급해지지 마세요~~ 좋은 스타일과 콘트롤 능력은 전적으로 마일리지에 의존합니다. 보드를 연습한다는 생각을 잊고, 그저 타시기만 하십시요.

달력에 탄 날짜를 체크하면서, 한 시즌에 최대한 자주 보드를 타십시요~  

엮인글 :

어설픈[직]ONE

2003.10.19 12:46:30
*.176.174.219

마일리지 올릴일만 남았네요

Stephan

2003.10.19 12:53:54
*.48.41.6

정답~

백군

2003.10.19 13:15:24
*.205.153.148

흠..마일리지라~~^^

28호

2003.10.19 13:28:55
*.39.68.58

흠...이번시즌엔 마일리지를 한번 기록해봐야겠네여

뽀좍【sic`ⓢ】

2003.10.19 13:43:38
*.102.161.54

초보가 아니신듯(겸손하심돠) ^^

pino키오

2003.10.19 19:35:14
*.205.153.74

가장 핵을 집는 컬럼이였슴돠
good!

오사마빈라면

2003.10.19 23:51:01
*.39.225.104

요번에 왠지 시즌권 양도를 해야할꺼 가튼 위협감이... ㅠ.,ㅠ;;

ronin

2003.10.19 23:58:36
*.111.32.189

마일리지...10년탄만큼...

BASS

2003.10.20 00:33:04
*.213.248.129

나의 시즌권이 마일리지를 올려 주리라...ㅡ_ㅡ;;

murder

2003.10.20 01:43:01
*.180.248.211

감~~~~~~~솨.......

血花香

2003.10.20 02:35:23
*.177.92.60

Good

JayEl

2003.10.20 09:23:50
*.248.146.15

리프트 대기줄이 워낙 길어서.. 마일리지 올리기 힘들듣.. --;;

나무나무

2003.10.20 15:00:42
*.240.229.153

마일리지 이번 시즌 500킬로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대략 제주도까지 한번 갈 수 있을지도...

지니

2003.10.20 20:43:34
*.240.219.64

마일리지...가 중요한 거였구뇽~~^^

★대박★

2003.10.20 21:31:37
*.88.32.194

일기를 함 써야겠어요/...

雷引輔雨

2003.10.21 05:16:24
*.236.3.225

마일리지라....
한시즌에 몇키로를 탈수 있을지 재는 것도 재미있겠네여...^^.

마일리지

2003.10.21 20:09:16
*.126.23.145

대한항공 마일리지로 이번에 텍사스 왕복했는데...
라이딩 마일리지는 리프트 대기시간이 길어서...

가고일~*

2003.10.23 10:01:14
*.102.198.133

"팔을 퍼덕이는 1080를 할바에는 부드럽고 완벽한 콘트롤의 180를 하겠다" 괜찮은 말이네요 ^^

크크

2003.10.23 12:15:53
*.175.80.39

ㅋㅋ 년수만 늘고 실제 탄 시간은 얼마되지 않으니...
90이라도 할 수 있음...좋겠는데요
아자...

내리막전문가

2003.10.29 10:25:28
*.112.239.2

직딩 애기 아빠 보더에게는 너무 슬픈 현실을 직시하게 하는 칼럽입니다 ㅠㅠ
애기들을 맡겨야하기 땜시 시즌권 끊어서 열씸히 다녀도,
시즌방 잡아노쿠 타는 학생 2주분량이나 겨우 한시즌에 탑니다ㅠㅠ
희망이 있다면 둘째가 3살인데 3~4년 뒤에는 보드를 가르칠 수 있으니 그날만 오기를 ㅠㅠ

뽀대

2003.11.03 17:41:15
*.144.102.169

눼..기본에 충실하자..^^

휴고보스

2003.11.04 17:25:31
*.145.250.32

중요한 이야기 입니다..기본에 충실..올보드는 기본에충실 이다..에잇..

구본혁

2003.11.05 19:37:07
*.150.141.155

전 하체 운동하지요..하체의 힘....기마자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369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그림으로 보는 BS180의 기초... file [25] 가고일~* 2011-10-25 7 10502
368 기술(테크닉) 관성, 구심력, 원심력 그리고 스노보드 file [25] 문박사 2010-02-21 46 10497
367 기술(테크닉) 하프를 잘 타고 싶나? [70] Dr.kimcarving 2007-11-12 38 10434
366 기술(테크닉) 턴 카빙 쉽게 다가 가기 ㅡㅡ [10] 상계동 랩퍼 2006-11-26 98 10404
365 기술(테크닉) 어드밴스트 슬라이딩 턴 [24] 펀보더 2008-01-01 19 10398
364 기술(테크닉) 널리 FS 360... 야스오처럼 뛰자~~ [35] 쎄지~ 2007-02-17 45 10382
363 기술(테크닉) 그랩을쉽게 하는 방법~~~! (부제 정확한 팝) [24] volcomsnow 2009-12-09 63 10312
362 기술(테크닉) 크로스 언더 기술에 관한 글 (동영상 포함) [28] leeho730 2008-05-14 125 10245
361 기술(테크닉) 제대로된 카빙을 하시나요? [64] 카빙 2005-12-06 13 10228
»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잘 타는 법 (좋은 스타일) [23] 사몽 2003-10-19 68 10179
359 기술(테크닉) 초보자를 위한 업다운 무브먼트 [11] 안가르쳐줘 2009-06-02 110 10166
358 기술(테크닉) [jayson]spin 트릭.. 180, 360, 540, 720, 9... [5] 오종선[jayson] 2002-01-15 90 10021
357 기술(테크닉) [한줄팁] 토턴시 자세 [11] 소리조각 2016-01-22 14 9957
356 기술(테크닉) 초보를 강습하기전에 고려해야할 사항 [27] ┓푸른바다┏ 2009-12-08 49 9948
355 기술(테크닉) [동관이]그라운드 트릭을 하구 싶어? [41] 동관이 2002-11-25 24 9924
354 기술(테크닉) 전향으로 타시는 분들 참고 하시면 좋을 듯 ... [7] 나모나모 2017-01-25 15 9916
353 기술(테크닉) 업다운과 프레셔 컨트롤 2 (부제: 업다운은 ... [42] Lunatrix 2006-09-03 39 9907
352 기술(테크닉) 간단한 '토션'의 원리와 사용법 [22] Jake! 2015-10-26 21 9875
351 기술(테크닉) 누군가를 강습해줘야 한다.. 어떻게 해야할까?! [20] 고타나 2009-01-15 94 9867
350 기술(테크닉) 카빙시 가속방법 [53] 매서운 2006-11-10 22 9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