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노우보드 강사 이종욱입니다.



 지난 몇 시즌 동안 중급 이상의 강습을 할 기회가 많았습니다. 강사인 저에게도 보람있는 경험이었고, 저를 찾아주신 분들께서도 그런 시간이었기를 바랍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대부분의 강습에서 첫 단추는 거의 같은 패턴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초중급 슬로프는 넘어지지 않고 내려오실 수 있는 라이더들을 대상으로 했던 중급 강습, 그런데 대부분 가장 기본적인 부분을 놓치고 있었습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한 시즌 내내 1-2명을 제외하곤 다 교정을 해드렸어요.



 여기에 대해 설명드리기 전에, '스노우보드에서 가장 기본적인 턴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드리고 싶어요. 질문을 살짝 바꿔 볼게요. 기본 자세에서, 가장 최소한의 움직임만으로 턴을 만든다면 그건 어떤 턴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요?

  


 먼저, 기본 자세!

기본 자세는, 보드를 신은 채 온 몸을 쭉 편 상태로 곧게 섭니다! 여기서 무릎에 힘을 빼줍니다. 끝.



 알고 있습니다. 고개를 들고, 가는 방향을 주시하고, 어깨는 보드와 방향이 일치, 허리 펴고, 무릎 구부리고, 두 손은 보드 위에 편안히 둔다... 더욱 자세한 설명도 가능하겠지만, 가장 간단하게, 가장 중요한 기본 자세의 핵심을 전달하는 건 위 한마디라고 생각했어요. 이도 더욱 쉽게 바뀔 수 있겠죠?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겠습니다.



다음으로, 기본적인 턴 만들기! 

가장 기본적인 턴은, 기본 자세 상태에서 몸을 살짝 기울이며 양발 앞꿈치로 보드를 누르다가 양발 뒤꿈치로 누르기를 반복합니다. 끝.



 여러가지 부연 설명이 가능합니다. 특히 몸을 비트는 '피봇'에 관한 설명은 많은 분들이 중요하다고 여기실텐데요.. 저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스노우보드의 접설면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이드컷 래디우스'는 괜히 있는 게 아니라고 생각해요. 보드의 토 방향 또는 힐 방향에 무게를 실어 한쪽을 살짝 세워주는 것만으로도 스노우보드가 본래 가진 곡선의 성질만큼 회전한다고 봅니다. 저는 이게 스노우보드 턴의 가장 기본이자 본질이라고 생각해요. 피봇은 바로 이 다음인거죠. 피봇을 주면 스노우보드가 뒤틀리고, 그만큼 노즈의 진입각은 커지고 테일의 진입각은 작아집니다. 이는 보다 효율적인 턴을 유도합니다. 노즈는 회전하려 할테고, 테일은 미끄러질테니까요. 제가 설명한 '가장 기본적인 턴' 위에 피봇을 얹으면 그만큼 더욱 자신이 원하는 턴의 결과를 얻을 수 있겠죠.



 이 기본적인 턴의 방법은, 숙달되면 숙달될수록, 다양한 환경에서 연습할수록 큰 이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와 같은 기본적인 턴의 메카니즘은 다른 모든 턴 아래에 깔린다고 생각하거든요. 안전이 보장된 상태에서 중급 슬로프, 심지어 상급 슬로프에서도 최소한의 움직임만으로 최대한 크거나 작은 턴을 만들어보는 건 상당히 유용한 훈련입니다.



 실제로 중급 강습을 진행하면, 첫째 기본 자세에서부터 잡아 드려야 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보드 위에 수직으로 똑바로 서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 특히 혼자 보드를 즐겨오신 분이라면 더욱 더.. 턴을 진행하면서 이 기본자세를 항상 유지해야 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앞꿈치와 뒤꿈치 누르기'라는 최소한의 미션을 드리면서 기본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훈련을 하는 겁니다. 이것이 충분히 숙달되면 나머지는 어렵지 않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모든 턴이 '기본 위에 하나씩 얹을 뿐'이기 때문이죠. ^-^



ps 노파심에 말씀 드리건대, 초급자는 위의 설명만 보고 턴을 시도하지 않길 바랍니다. 초급 강습 커리큘럼은 제가 위에서 말씀 드린 '기본자세'와 '기본적인 턴' 사이에 수많은 징검다리가 있습니다. 다양한 택틱을 통해 이를 충분히 습득한 후에 턴을 시도하셔야 안전하게 스노우보드를 배울 수 있어요! 안 그러면... 정말 많이 넘어지실 거에요 ㅠㅠ

엮인글 :

작살러버

2015.10.13 08:37:32
*.62.204.58

항상 느끼지만 종욱씨 칼럼은 언제봐도 알아보기 쉽게 잘 정리된것같아요! ^^

Jake!

2015.10.14 01:51:07
*.109.104.102

그런가요? ㅎㅎ 쉽다는 말만큼 좋은 칭찬도 없는 것 같아요! 감사해요 :)

hello072

2015.10.16 18:08:51
*.244.120.153

캐나다에 오시는 20대보더분들

초심자에게 알려줄..

가장 기본적인 턴은...  

 

이 세개 말고 이종욱 강사님의 글을 찾을수가 없네요..ㅠㅠ

 

더 보고싶은데 말이죠...ㅎㅎ;;

Jake!

2015.10.16 20:10:46
*.109.104.102

왜냐하면 그 세 개의 글이 여기에 올린 전부이기 때문이죠 ^^;

네이버에서 저와 관련된 몇 가지 키워드를 검색해보세요!

hello072

2015.10.16 21:24:04
*.36.154.105

넵~ㅎㅎ 키워드는 잘 알고있습니다^^

ktbs17

2015.12.17 18:34:01
*.62.173.59

감사합니다

레몽레인

2017.12.27 21:10:17
*.118.142.108

모든 운동은 끝으로 갈수록 기본기에서 판가름 납니다..누가 더기본기가 튼튼하냐...

그래서  우리나라 데몬들도 가장 기초적인 턴을 심혈을 기울입니다..

님 글 잘 봤습니다..저도 기본기가 부족할지 모르겠네요..

최상급코스에서 오금을 펼수 있고 역엣지 걸리지 않을 정도로 컨트롤할 수 있다면

고수.. 뉴트럴 포지션 스키에 정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858
349 기술(테크닉) 자세 탐구 - 3. 엣지 체인지 上 file [22] Lunatrix 2016-01-11 54 18708
348 기술(테크닉) 카빙의 원리 [104] 바뷁큐파티 2016-01-09 12 16775
347 기술(테크닉) 안녕하세요. [10] 여..여기서... 2015-12-24 15 5045
346 기술(테크닉) 테크니컬 라이딩 심화편(급사카빙) file [19] ┓푸른바다┏ 2015-12-09 12 16352
345 기술(테크닉) 테크니컬라이딩의 이해 file [15] ┓푸른바다┏ 2015-11-15 30 15203
344 기술(테크닉) 자세 탐구 - 2. 로테이션 [54] Lunatrix 2015-11-10 107 23666
343 기술(테크닉) 간단한 '토션'의 원리와 사용법 [22] Jake! 2015-10-26 21 9881
342 기술(테크닉) 자세 탐구 - 1. 중심축 이론 file [42] Lunatrix 2015-10-25 105 33290
341 기술(테크닉) 입보더가 생각하는 업다운의 진실? 그리고 ... [36] 인상펴라 2015-10-19 6 10951
340 기술(테크닉) 15/16시즌 스노보드 포커스 file [5] 문박사 2015-10-13 5 5137
» 기술(테크닉) 가장 기본적인 턴은 무엇일까? [7] Jake! 2015-10-11 10 4435
338 기술(테크닉) How can we teach? [14] 문박사 2015-10-02 14 4081
337 기술(테크닉) 급사 라이딩 팁 [69] 천현민 2015-09-30 87 19968
336 기술(테크닉) F/S 180 쉽게 하는 간단 팁 [5] 소리조각 2015-09-01 6 5028
335 기술(테크닉) 테크니컬라이딩이란? [14] 심훈Film 2015-07-30 45 11503
334 기술(테크닉) 널쓰리 및 360 트릭 간단한 팁... [2] 소리조각 2015-07-17 9 7899
333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G×Union.최윤석 2016-04-26   1108
332 기술(테크닉) 뻙큐멘터리#3-14/15마무리(with에필로그) 재... file [17] 작살러버 2015-03-16 15 5295
331 기술(테크닉) 턴에 대한 이해 - 3. 업 다운 file [27] Lunatrix 2015-02-24 58 16301
330 기술(테크닉) 라이딩에서 도움되었던 말 3개. [12] 테리에파우더 2015-02-17 6 8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