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걸 어디서 펐는지 기억이 안나네욤 -,.-, 혹 헝글에서 픈거라면 ㅋ>
-사이드 슬리핑

사이드 슬립에는 백 사이드, 프런트 사이드를 모두 연습 한다.
보드를 폴 라인에 직각이 되도록 멈춘 상태에서 에지를 서서히 풀면서 시작한다. 시선은 항상 진행방향을 확인 하여야 하고, 발목과 무릎은 편안하게 하고 뻣뻣하게 선 자세가 되지 않도록 기본자세를 유지 하도록 해야 한다.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양 다리에 하중을 균등하게 주는 것과 엣징의 강도가 안정되게 주의를 한다. 익숙해지면 엣징의 강약을 천천히 바꾸어 스피드를 컨트롤한다. 엣징을 서서히 강하게 하면서 다운을 하여 설면을 슬립 하여 정지한다. 백 사이드의 사이드 슬립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무릎을 펴고 뻣뻣하게 서있는 자세는 밸런스가 깨지기 쉽고 설면의 모글 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니 기본자세를 취하여 무릎을 편안히 하고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팬쥴럼(낙엽 떨구기)

사이드 슬립에서 양다리에 균등하게 하중을 둔 상태에서 앞 쪽 다리나 뒤쪽 다리로 중심을 이동 시킴으로써 사면을 지그재그로 활강하는 활주법이다.
사이드 슬립으로 활주하다가 양 다리에 균등히 두었던 하중의 중심을 천천히 앞 쪽(노즈방향) 다리로 이동 시켜 본다. 그러면 바로 아래를 향하여 슬라이드 하고 있던 보드가 노즈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슬라이드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때 다시 수평을 유지하려면 보드의 중심으로 체중을 원위치 시킨다. 그러면 바로 아래쪽으로 향하는 사이드 슬립으로 돌아온다. 이것이 가능해지면 같은 요령으로 뒤쪽 다리로 중심을 이동 시키고 보드를 테일 방향으로 비스듬히 슬라이드 시켜 원래의 사이드 슬립으로 돌아오는 연습을 한다. 하중을 앞쪽다리 뒤쪽다리로 이동시키는 감각을 익히면 이 주동작을 한 번의 활주에서 연속하여 실시해 본다.
이 때 시선은 반드시 자신이 나아가려는 진행방향을 향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쪽다리에서 뒤쪽다리 뒤쪽다리에서 앞쪽다리로 하중을 이동 할 때에는 반드시 양쪽 다리에 균등히 하중을 실은 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래야 방향전환이 쉽게 이루어 진다.


-갈런드

먼저 기본자세에서 노즈 방향으로 down을 하면서 천천히 사활강을 시작한다.
한쪽 방향으로 중심을 주어 내려가다가 up을 하면서 완전히 턴을 하지 않고 폴 라인과 직각이 되게끔만 하프(절반) 턴을 한다. .
다시 down을 하면서 같은 방향으로 사활강을 한다.
계단모양으로 반쪽 턴을 연습한다.
반복하여 슬로프를 건너가면 다시 반대로 연습을 하면 된다.
주의 : 폴 라인으로 떨어질 때 몸을 턴의 안쪽으로 떨어지지않게 한다.


-트레버스

사활강은 사면을 비스듬히 미끄러져 가는 방법으로서 펜쥴럼의 연습과 그 느낌은 비슷하지만 좀더 거리가 길고 속도가 빠른 편이다. 자세 자체도 펜쥴럼의 시선이 계곡쪽인데 반하여 사활강의 시선은 진행 방향이라는 데 조금 차이가 있다. 실제 이 사활강의 연습 부 터 라이딩시의 기본자세가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에 자세(발목,허리 무릎 등)의 연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본자세에서 시선은 될 수 있으면 멀리 바라보며 앞발의 프레스를 조금 더 줌으로 해서 보드는 천천히 미끄러지기 시작합니다. 슬로프를 가로 지르며 진행하는 동안 보드가 슬립이 생기지 않도록 충분하게 엣지를 올려주면서 발목과 발끝 그리고 기본자세에 대한 느낌을 익혀나갑니다. 뒤꿈치 혹은 발끝으로만 버티는 것이 아니고 발목을 긴장시켜 정강이에 어느 정도 프레스를 유지하게 하고 전체적인 체중이 양 발에 고루 전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체를 지나치게 숙이거나 무릎을 너무 많이 펴지 말고 자연스럽게 연습한다. 정지 시에는 유지하고 있던 엣지의 앵글을 풀면서 뒷발에 약간 체중을 더 준다는 느낌으로 보드가 산쪽을 향하게 하면서 지긋이 정지한다. 힐사이드도 같은 방법으로 연습하는데, 힐사이드에서 특히 유의해야 할 점은 엉덩이의 위치가 보드의 중심 밖으로 빠져있지 않도록 하고 상체가 안쪽으로 숙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쪽턴

연속적인 턴의 수행에 앞서 턴을 힐 사이드와 토우사이드로 하나씩 나누어 연습합니다. 배우는 사람에 따라 상대적으로 쉬운 쪽이 있게 마련이므로 그 배우는 재미와 자신감등을 고려해서 수월한 쪽을 먼저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선 적당한 슬로프( 완만하고 넓은 )에서 천천히 사활강하는 동안 몸의 중심을 서서히 앞발로 옮깁니다. 몸의 중심을 앞쪽으로 옮기는 것은 보드의 테일(뒷부분)이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하기 위함이다. 몸의 중심을 앞쪽으로 이동 시킴으로 해서 보드는 회전할 수 있는 준비의 상태가 되며, 시선을 먼저 가고자 하는 방향에 고정시키고 팔이나 어깨 등을 이용하여 역시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리드함으로 해서 상체가 자연스럽게 보드의 진행보다 먼저 열리고 보드가 회전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처럼 상체를 보드의 회전을 돕기 위해 미리 열어주는 것을 스노우 보드에서는 상체의 로테이션이라고 합니다. 보드가 회전을 시작하여 폴 라인에 접어들게 되면 앞발쪽에 치우쳐 있던 몸의 중심을 뒤로 약간 이동 시키는 느낌으로 양 발에 균등한 프레스를 주기 시작 합니다. 양 발에 균등한 프레스가 가해 지면서 보드는 눈에 슬립하며 정지하게 됩니다. 정지한 후의 보드는 폴 라인에 수직인 상태로된다... 보드가 폴 라인에 접어들면서 (폴 라인을 지날 때) 사용하는 엣지가 바뀌게 되는데, 토우 사이드의 사활강에서 시작한 턴은 힐사이드의 엣지로, 힐사이드의 사활강에서 시작한 턴은 토우사이드의 엣지로 바뀌게 됩니다.
전자의 경우를 스노우보드에서는 힐사이드 턴이라고 하고 후자의 경우를 토우사이드 턴이라고 합니다.
턴이 시작하고 정지 할 때까지 중심의 이동과 상체의 로테이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걸 유념하시고 천천히 여러 번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비기너턴

비기너턴이 가지는 한쪽 턴과의 차이점은 정지가 없는 한쪽 턴의 연속적인 수행이라는 것입니다. 한쪽 턴의 연습에서 보드가 회전하는 느낌을 충분히 숙지 하셨다면 이제부터는 초보자의 슬로프를 정지 없이 내려올 수 있는 "진정한 턴"을 연습하게 됩니다. 한쪽 턴에서와 마찬가지로 턴의 시작부분에 팔이나 어깨 시선 등을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미리 열어주어(로테이션)보드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턴의 마지막 부분, 즉 한쪽 턴에서 보드를 정지시키려 하는 순간쯤에 반대쪽의 엣지로 정지 없이 전환합니다. 반대쪽 엣지로의 전환시에는 넘어지지 않도록 몸의 균형을 유지하시고 한쪽 턴에서 정지할 때처럼 슬?이 많이 생기지 않도록 유념하시는 것 또한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상체의 움직임 역시 엣지의 전환과 마찬가지로 다음 턴, 즉 반대방향으로 팔이나 시선 어깨를 미리 유도 합니다.
처음에는 토우사이드에서 힐사이드, 힐사이드에서 토우사이드로 한번 정도씩 만 연습하시고, 안정이 되고 난 후 연속적인 턴의 횟수를 늘려 갑니다.
턴의 시작에서 지나치게 몸이 많이 열리고, 턴의 후반부에서 양 발에 균등한 프레스가 주어지지 않을 때(앞발에 치우쳐있을 경우), 프레스의 타이밍이 늦을 때 등에는 보드의 테일 이 슬로프에 수직인 상태를 지나쳐 산 위로 돌아가 버리는 모양이 생기기 때문에 그 다음 턴에 보드의 회전반경이 크고 길어져 자연스러운 턴의 수행을 방해하게 됩니다.
또한 몸의 위치에 따라 몸이 뒤로 쏠리는 경우에는 보드의 회전이 잘 되지않고 턴의 모양이 직선에 가깝게 되고, 지나치게 앞으로 쏠려있는 경우에는 역엣지의 원인이 되어 부상의 위험이 따르기도 합니다.
한쪽 턴의 완성 후에 너무 자만하지 마시고 천천히 여유 있게 연습합니다.


-노비스턴

노비스턴과 비기너 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노비스 턴을 수행하면서 보드의 회전을 위해 "업" "다운" 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즉 보드를 상체의 로테이션 만이 아닌 프레스에 의해 컨트롤 하게 되는 것이지요. 기본자세로 사활강을 시작하여 턴을 하고자 할 때
무릎을 펴면서 보드에 전달되어 있던 프레스를 풀어줍니다. ("업")
이처럼 몸의 상태가 "업" 상태가 되면 보드는 서서히 회전 하게 됩니다. 상체의 자세는 비기너 턴에서와 마찬가지로 미리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약간 로테이션 합니다. 처음 이 연습을 하면서는 보드의 테일이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전진 업"을 하는 것이 보다 수월 하겠습니다. 보드가 서서히 회전하여 폴 라인에 접어들게 되면 가볍게 앉는 자세로 무릎을 천천히 굽혀가며 보드에 다시 프레스를 주게 됩니다. ("다운")
다운을 주기 시작하면 양쪽 발에 동시에 프레스를 주는 것이 중요하며 균형 잡힌 기본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운시에 뒷발에 지나치게 힘이 들어가게 되면 보드는 산쪽 방향으로 올라가버리는 원인이 되고, 엣지 앵글이 부족하면 턴이 예쁘게 만들어 진가기 보다는 불필요한 슬립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초보자의 경우에는 힐사이드나 토우사이드, 본인 스스로가 편안한 쪽의 연습을 먼저 하는 것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한 방법이겠지요.
"업" "다운" 그리고 양쪽방향 모두 같은 리듬으로 연습합니다.

예) "업" 1,2,3,4, "다운" 1,2,3,4. 등등..


-각 턴의 리듬변화

이전의 기초 턴 연습에서 기본자세를 연습할 수 있도록 턴의 폭을 충분히 크게 만들고 이번에는 조금 더 좁은 슬로프나, 라이딩의 즐거움을 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턴의 연습을 합니다. 롱 턴에서와 마찬가지로 보드가 완전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본 개념에는 변함이 없으나 업다운 의 리듬을 짧게 하여 (업123 다운123) 전체적인 턴의 폭을 줄이게 되는 것입니다. 화면에서처럼 어깨의 라인이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유지 될 수 있도록 유념하시고 턴의 시작과 끝의 업 다운 프레스의 변화를 정확히 할 수 있도록 연습 합니다. 롱 턴, 미들 턴, 숏턴은 위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보드의 회전에는 전혀 차이점이 없으며 오직 그 리듬에 의해서 턴의 폭을 조절하는 라이딩의 종류 입니다.
일반적으로 보드를 처음 배우는 분이 한 시즌 정도 훈련하신다면 익힐 수 있는 보드의 중급 기술입니다.
다음은 프리라이딩의 최고의 즐거움, 카빙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그라운드 트릭은 카빙턴을 자유롭게 활용할수 있으며 물론 스위치카빙까지 마스터했다면
가능하며 슬로프 에서 라이딩을 하며 기술을 하는 것이다.


알리 (Ollie)

- 점프를 하기위해서는 알리를 필수적으로 몸에 익혀야만 한다.
일단 알리의 동작은 두가지 동작으로 나눌수 있으며 첫째는 보드의 테일의 탄력을 이용한 점프를 하는것이며 둘째는 몸을 공중으로 띄어 앞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이두가지는 알리를 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적절히 구사 하여야만 알리를 성공적으로 할수 있다.
보드의 탄력 이용이란 두다리를 동시에 똑같이 띄우는것이 아니다. 이것은 먼저 노즈부분을 들면서 시작하여 자연적으로 보드가 휘어지면서 테일부분에 반발력을 받게되어서 뛰게 되는 것이다.

다시한번 순서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앞무릅을 끌어올리며 뒷다리를 뻗어주며 노즈를 들어 테일의 반발력을이용한 점프를하여 두무릎을 가슴쪽으로 끌어올려준다. 물론 토엣지와 힐엣지는 주지않으며 베이스 만으로 점프를 해준다. 랜딩또한 두발이 동시에 하며 무릎을 구부리며 몸을숙여 충격을 완화 시켜 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자리에서 충분히 반복한후 본격적으로 슬로프에서 익히기로하자.

또한 라이딩을 하면서의 알리는 제자리에서 없었던 속력이 있기 때문에 몸을 폴라인방향(보드가 나가는방향) 으로 띄워야하며 랜딩을 한후 속력이 더욱 빨라지기 때문에 주의하기바란다. 알리를 연습하는 좋은 방법은 포인트를 두고 뛰어넘는 연습을 하는것이 좋다.


널리 (Nollie)

- 널리는 알리와는 반대로 테일을 먼저들어 노즈의 반발력을 이용한 점프이다. 알리와 하는방법은 같으나 앞발과 뒷발의 역할이 바뀌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널리는 알리보다는 좀더 어렵지만 스위치점프를 하기위해서는 필수라고 생각된다. 또한 알리와 마찬가지로 제자리에서 충분한 연습을 거친후 슬로프에서 연습하기로 하자. 널리로 어떠한 포인트를 넘는것은 알리하는것의 2배이상의 힘이 들것이다.


프론트사이드 180 (Front Side 180)

- 알리와 스위치라이딩을 언제든지 구사할수 있다면 프론트사이드 180을 연습하자. 그라운드 트릭에서 180를 하는방법은 알리를 하며 시선, 어깨, 보드순으로 돌아가야 한다. 또한 오른쪽팔을 이용하여 돌아가는방향으로 스핀을 용이 하게 할수있다.
180이 돌아간후 스위치가 되기때문에 몸의 중심이 뒤로빠지는 경우가 많은데 중심은 항상 보드의 중앙에 머물수 있도록 연습하기 바란다. 스핀은 상체가 하체에비해 먼저 진행되고 보드가 따라오면서 무릎을 접어 가슴으로 끌어올려 스위치로 랜딩해야한다.
이것또한 기본적인 알리가 몸에 익숙해져 있다면 쉽게할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백사이드 180 (Back Side 180)

- 백사이드 180는 프론트사이드 180와는 조금 틀린점이 있다면 진행방향을 볼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처음 시도할때 다소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문제는 시선을 무릎 밑쪽으로 향하며 보드가 돌아가는 것을 보면서 컨트롤 해야한다. 여기서 고개를 너무 숙이면 엎드리는 자세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주의 바란다. 프론트 사이드 180와 같이 기본적인 알리와 함께 이루어지며 시선, 상체, 하체 순의 근소한 차이로 이루어진다.
랜딩은 물론 두다리가 동시에하며 자주 실패하는 요인은 보드가 너무많이 돌아가거나 덜돌아가서 역엣지를 당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하기바란다. 이것은 자기자신이 충분한 연습을통하여 극복하기 바란다.


스위치 프론트사이드 180 (Switch Front Side 180)

- 스위치 프론트사이드 180은 자신의 뒷발이 앞으로 향하여 시작하기때문에 스위치라이딩을 충분히 연습한후 시도하는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스핀은 위에설명과 마찬가지로 시선, 상체, 하체 순의 근소한차이로 연결되며 자신의 반대편발로(널리로 알리를)해야하기때문에 스핀을 좀더 강하게 돌려야할필요가 있다. 위에 설명은 널리를 많이 연습하여야 할수있다.



스위치 백사이드 180 (Switch Back Side 180)
- 스위치 백사이드 180을 처음 할때에는 굉장히 어색한느낌이 들수있다. 하지만 자기스탠스에서의 백사이드180와 마찬가지로 스위치알리(널리)를 하면서 머리, 상체, 하체 순의 근소한차이로 연결된다. 스위치의 기술은 충분한 스위치의 알리 라이딩이 이루어져야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너무 무리한 스핀과 알리는 삼가하며 안정적인 자신의 포지션을 유지하면서 하는것이 중요한 포인트이다.


노즈 프레스 (Nose Press)

- 노즈프레스는 보드가 앞으로 진행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앞무릅을 굽히며 골반과 상체를 노즈쪽으로 기울이며 진행하는것이다. 이때
상체의 전반적이 포지션은 노즈쪽이며 뒷다리는 뻗어 테일을 들어준다. 양팔은 자연스럽게 벌려 중심을잡으며 노즈프레스를 시작할때
알리를 살짝 해주는것이 수월하다. 또한 노즈프레스를 마무리할때 프레스를한 상태에서 노즈의 탄력을 이용한 널리를 하여 마무리하며 자신이
원하는 방향의 스핀도 할수있다.


테일 프레스 (Tail Press)
- 테일프레스는 고급기술로 자신의스탠스의 반대발로 시작하는것이며 노즈프레스와 마찬가지로 몸의 중심을 테일쪽에 두고 노즈를 들어주며 진행하는 것이다. 이것또한 노즈프레스와 마찬가지로 시작할때 알리를쳐서 시작할수있으며 마무리동작 또한 널리와 스핀을 겯들일수있다.

자료출처 : 치킨샐러드
Written By Hwan Suk Cho
엮인글 :

우리성우

2005.09.19 11:50:48
*.201.66.55

좋은 내용이네요 ^^ 연습하시기 전에 꼭 한번 숙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뽀옥

2005.10.07 09:13:05
*.107.42.10

오우 진짜 좋은 내용~ 퍼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25

기술(테크닉) 최정상 슬로프 정복하기(초보보더님들을 위... [28]

기술(테크닉) 익스트림 카빙 [10]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2. 행동 file [9]

  • Lunatrix
  • 2014-01-22
  • 추천 수 18
  • 조회 수 9228

기술(테크닉) 스위치(페이키)라이딩 연습 팁!! [33]

기술(테크닉) 트릭시에 프레스를 주는 방법 (데크를 휘... [30]

  • volcomsnow
  • 2010-10-01
  • 추천 수 19
  • 조회 수 12319

기술(테크닉) MFM의 180 to 180 out [36]

기술(테크닉) 어드밴스트 슬라이딩 턴 [24]

  • 펀보더
  • 2008-01-01
  • 추천 수 19
  • 조회 수 10398

기술(테크닉) 눈물의 뒷발차기 [58]

  • 육보드
  • 2006-02-20
  • 추천 수 19
  • 조회 수 7915

기술(테크닉)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 [9]

기술(테크닉) 어깨를 닫고 타고자 하는분에게 간단한 시선... [18]

  • 홍서방
  • 2004-02-11
  • 추천 수 19
  • 조회 수 6714

기술(테크닉) [키커초급2탄] Ollie? Pumping? (2)-'론리보... [10]

  • peaceB
  • 2005-09-20
  • 추천 수 19
  • 조회 수 4250

기술(테크닉) 비기너 턴과 로테이션 - 2.로테이션 file [16]

  • Lunatrix
  • 2014-11-19
  • 추천 수 19
  • 조회 수 13965

기술(테크닉) 테크니컬 라이딩을 배우면서 끄적여 본 글 [29]

기술(테크닉) - TEAMEDGE STYLE - [3]

기술(테크닉) 정자세를 고집하는 보더들에게 딴지를 걸어... [94]

  • 용안
  • 2003-12-23
  • 추천 수 20
  • 조회 수 6100

기술(테크닉) 그라운드 트릭 [2]

  • 셀라
  • 2005-09-16
  • 추천 수 20
  • 조회 수 7790

기술(테크닉) '힐턴시 주저 앉아버리는 현상' 없애기 [28]

기술(테크닉) 알리, 널리 등 보드 탄성에 관계한 에어에 ... [11]

기술(테크닉) 당신은 절벽에서 뛰어내릴수 있는가? [23]

  • 홍감독
  • 2003-08-12
  • 추천 수 21
  • 조회 수 4064

기술(테크닉) 아래 있는 작업 칼럼을 보다가 생각나서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