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분들을 가르치는 초보 강사분들을 많이 뵈었습니다.

아는 것은 많은데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고민을 많이 하실 것입니다.

무조건~ 리프트 타고 초보 코스로 올라가서 구르다 보면~ 자연스레 익힐 거야~

라는 생각으로 가르치신 분들도 많을 것이구요.

그렇지만, 이건 참 잘못 된 생각이라 생각됩니다.

사이드슬리핑도 안되는 초보분들 완만한~~~ 초급자 코스도 엄청난 공포로 다가옵니다.

무조건 리프트를 태울 경우,

다른 무엇보다~ 안전이 제일~ 위협 받죠. (다른사람에게 피해 주는 일..등등..)

저 같은 경우에는 반나절에서 하루동안은 절대~! 리프트 안태웁니다.

리프트권 아예 끊지 않게 하죠.

그다음 안전 교육을 철저히~ 해주고,

제일 중요한 자세 강습 해주고요.

그리고 배우는 장소 섭외인데요.

저같은 경우에는 30도 정도의 급경사의 짧은( 대략7~8미터) 정설 잘된 언덕을 강추합니다.

그런곳을 선택하는 중요한 이유는 초보분들이 짧은 코스로 인한 심리적 안정을 고려하고,

각도가 높기때문에 나중에 슬롭에 가서도 배우던 곳보다는 낮은 각도인 슬롭의 각도를 우습게 생각하죠. (턴배우기 시작하면 금방 늡니다.)


경사가 급한곳에서 시작할때 중요한 것은 처음에는 일어서는 것도 힘들 것입니다. 그렇지만,

끈기있게 자세를 잡아주시면, 충분히~ 할수 있습니다.
대략 아무리 겁많은 여성분이라도 1~2시간 정도 하시면 일어설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특히 여성분들에게는 넘어지는 법을 가르치십시요~!
맨첨 강습하기전에 스트레칭하는건 기본이구요.
넘어지는 법을 안가르치시는 분들이 많은데, 필수 사항이라 생각합니다.


그동안 강습하면서 제 옆에서 강습하시는 많은 분들을 뵈어 왔는데요.

건성건성 가르치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다른 레포츠도 그렇지만, 스노우보드 정말 위험한 스포츠입니다.
자신이 강습을 맡게 되었다면 책임감을 가지고, 더욱 많은 공부를 해 둬야 할 것입니다.
무조건 강습생이 못탄다고 구박하지 마시고, 자신이 강습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부터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사람은 다~ 똑같습니다.
기본기가 충실하면 턴이상은 자연스럽게 따라 가게 되고, 더욱 빠른 실력 향상이 될 것입니다.
엮인글 :

결눈이쁜보더

2005.11.22 10:12:31
*.253.171.43

좋은 정보네요...근데 강사신 2%님은 보험 들으셨어욥? ㅡㅡ; 보험이 되나싶어서~

백마탄환자 28호

2005.11.22 10:42:43
*.8.210.183

보험 필수입니다 ,,,
나만 조심해서 탄다고 안전한건 아니니까요 ,,
뒤에서 와서 들이받아 크게 다치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Mars

2005.11.22 10:42:52
*.212.249.82

예전 칼럼에 보면, 초보자분들 가르치실때의 강습순서에 대해 적은 것이 있죠.
익명의 어느분이 casi내용도 덧글달아주셨는데...본문보단 덧글이 더 괜찮을지도..^^;;;

예전칼럼들 보시면 주옥같은 것들 많으니 참고들 많이 하세요~

One_Ball_Jay

2005.11.22 11:11:15
*.99.241.38

저 처음 배울때 선배들이 휘닉스 꼭데기로 데려 올라갔던 기억이..
파노라마 내려올때 한시간 걸린 기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ㅡㅡ;;

epro(2%)

2005.11.22 11:20:00
*.244.221.3

전 강사라고 하기는 뭐합니다~.^^..그냥 아는분들 다치지 않게~ 가르쳐주는 수준이죠~..

피해뿌지

2005.11.22 11:23:17
*.74.141.213

근데 저도 넘어지는걸 안배워서요...어케 넘어저야해요??
그리고 그럴 얼케 갈켜야하는가요??
항상 넘어지는걸 먼저 갈켜라고 하는데 넘어지는방법을 갈켜죠요~~~~^^;

Joker

2005.11.22 11:34:20
*.235.208.2

넘어질때...관절 부분이 있는 곳에 충격을 주는 것은 최대한 줄여주세요~
손이나 무릎쪽으로 충격을 흡수하려고 하지 마세요..큰 액션으로 등이나 엉덩이로 넘어지세요~
겁이 나는거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슬로프에서 넘어지시는 분들 볼때마다 제가 다 겁나더군요..
손으로 잘못 떨어지면, 약하게는 손목뼈, 강하게는 어깨뼈, 더 강하게는 쇄골 뼈 부러집니다.
엉덩이 부분이 순간적으로나, 다음날이나 얼얼하게 아프기는 하지만, 덜 다치게 되는것 같습니다..^^

난보더최

2005.11.22 11:47:01
*.128.191.20

정말 넘어지는게 중요한듯싶습니다. 보드 첨 배울때 아무도 안알려주더라구요..난 왕따엿나바..

쿠레나이

2005.11.22 14:59:54
*.108.61.42

저는 정지하는 법을 못배우고 시작했습니다.
서야 할 때가 오면 그냥 굴렀다는...덜덜덜...

epro(2%)

2005.11.22 22:50:14
*.209.80.15

조커님이 ^^; 잘 설명 해주셨네요~..^^..추가로 앞으로 넘어질때는 고개를 들어주시고,
뒤로 넘어줄때는 턱을 땡겨서 머리를 최대한 부딪치지 않도록 연습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냥 넘어질때는 몸을 쭉~~~~펴서~..길게~ 넘어지는 느낌으로 넘어져야죠~..닿는부위를 최대한 크게~.
가르칠때는 제가 몸을 날려서 직접 보여드리는뎅..^^;;;...대충~..낙법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yumini80

2005.11.22 22:57:40
*.106.21.11

아..세상엔 다정한 이웃들이 많구나..-_-;
나를 스키장으로이끌어 리프트권만 사달라해서 같이 끌구 최상급으루 올라가서~
남자란 일케 배우는거야~하던 그녀석들이 남자가 아니구나..그저 날 이용해 먹었던 거였어..
아..세상은 아직 따듯하구나..

njboarder

2005.11.23 02:47:25
*.136.110.95

유민님 넘 우끼셔..ㅎㅎㅎ
이참에 친구들을 확 물갈이 해보심이??

용카빙

2005.11.23 08:44:09
*.76.3.149

보드3년차이지만, 처음 보드복사러갈때 매장직원과 이런말이 오갔습니다. 하얀색바지를 추천해주길래 그거때타잖아요...했더니 그럼 보드 위험한데 왜 타세요......생각할수록 와 닿더라구요...그만큼 기본이 탄탄해야할꺼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389 기술(테크닉) 무빙엣지라고 생각하지만 아닐수도 있어요..... file [28] 레몽레인 2019-02-06 23 3487
388 기술(테크닉) 비로거님이 이야기하신 부분에서 아쉬운 점 [26] temptation 2014-01-14 13 3493
387 기술(테크닉) 집에서 라벨 만들기~ [2] 콜라 2007-01-26 61 3522
386 기술(테크닉) 고글 꾸미기,,,ㅎㅎ [11] ciro 2005-09-22 9 3603
385 기술(테크닉) 잘 넘어지는 것 역시 엄청 중요합니다.!!! [27] BIGGIL 2003-12-27 26 3618
384 기술(테크닉) 데크 spec, 보더 weight, 그 이후엔 물리학/... [5] 카릴 2016-02-29 2 3626
» 기술(테크닉) 초보자 강사분들을 위한 제안. [13] epro(2%) 2005-11-22 16 3662
382 기술(테크닉) 기를 쓰면 카빙되기.. vs.. 카빙 유지위해 ... [6] guycool 2016-10-10 14 3666
381 기술(테크닉) 스케이팅에 관한 짧은 글.. [21] 비트[BEAT] 2003-07-21 30 3688
380 기술(테크닉) 트릭연습 - 트릭마스터 노하우 [7] 성게군~ 2013-03-07 7 3699
379 기술(테크닉) Boardslide on the BOX [16] 스크래치 2009-08-19 80 3701
378 기술(테크닉) 스키어로부터 배우는 작은 깨침 [4] 자유게시판 2017-11-17 10 3710
377 기술(테크닉) 모글라이딩의 즐거움 [12] 홍감독 2002-08-19 66 3713
376 기술(테크닉) 트릭연습-이미지 트레이닝 [1] 성게군~ 2013-03-07 8 3722
375 기술(테크닉) 턴 한줄 팁 [2] 보덕홍 2017-02-10 3 3732
374 기술(테크닉) 스켑 알리와 스노보드 알리의 공통점과 차이점. [8] RockQ 2012-11-14 2 3735
373 기술(테크닉) [jayson]메뉴얼, 프레스 whatever you know.... [3] 오종선 2001-12-31 56 3761
372 기술(테크닉) 파크에 입문하기 전에 익혀야 할 것들 2편 (... [13] Jx10 2017-01-31 49 3797
371 기술(테크닉) 급사에서 급사하지 않는 방법 [26] 문박사 2013-02-11 15 3815
370 기술(테크닉) tree run하는 요령 [8] ***흰눈사이... 2006-02-11 37 3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