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에 상체열림을 고치면서 나름대로 생각해본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지난번 글처럼, 많은 고수님들의 의견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


.체중 이동에 관하여

제가 처음 보드를 배울때, 제가 보드를 배운 동호회에서는 상체를 돌리지 말라고 가르쳤습니다.

오로지 체중이동으로만 보드를 타는것이지요.

덕분에 턴을 할때 상체의 움직임은 많이 보이지 않게 타지요.

그리고 이 방법의 장점은 보드를 탈때 굉장히 편하게, 그리고 부드럽게 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억지로 보드를 돌릴려고 하는게 아니라, 무게 중심 이동에 따라, 보드가 자연스럽게 돌아가는 방식이거든요. (근데, 이게 무릎돌리기와 굉장히 비슷합니다.)

그 방법을 대략 설명해 보자면 이렇습니다.

일단 힐엣지에서 출발을 한다고 가정 합니다.

멈춰 있을때는, 무게중심이 보드의 정 중앙, 그리고 힐엣지쪽에 딱 붙어 있습니다.

그리고 턴을 시작하려고 할때는, 앞쪽발 한 가운데로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면, 보드의 앞쪽이 서서히 산 아래로 미끄러지면서,내려가게 되지요.

보드가 폴라인과 일치가 되었을때는, 보드의 앞쪽발 토엣지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줍니다. 그러면, 데크의 사이드컷을 타고, 보드가 돌아가게 되지요.

그렇게 토엣지로 전환이 되면서부터, 다시 무게중심은 보드의 정 중앙 토엣지쪽에 딱 붙여줍니다. 그러면 턴이 완성이 되지요.

그림과 함께 설명을 하고 싶었지만, 보드그림을 그리기가 너무 어려운 관계로... ---;

머, 이것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에 다시 자세히 할 기회가 있을거라 생각을 합니다.


.체중이동의 연습

위에서 제가 말한 방식대로 턴을 하는 연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방바닥에서 BBP자세를 잡습니다.

처음에는 완전 덕스탠드로 연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쪽발을 적당히 벌리고, 발의 각도를 정확히 똑같이 해줍니다.

그리고, 앞발(구피면 오른발, 레귤러면 왼발)에 체중을 실어 줍니다.

자, 이제 턴을 해보도록 합시다.

지금 보드를 타고 있다고 생각을 하시고, 앞발에 체중을 실은체로, 발가락쪽(토엣지)에 체중을 실어봅시다.

그러면 엄지발가락에 힘이 쏠리게 될겁니다. (발이 벌어져 있으므로... )

상체는 특별히 움직이려고 하지마시고, 그냥 하체가 움직이는대로 그 위에 고정시켜 놓으시길 바랍니다.

이때, 상체의 움직임을 보면, 앞쪽으로 약간 기울어지면서 어께가 완전히 닫히다 못해 약간 오버해서 꺽인 모양이 됩니다.

이제는 체중을 뒤쪽(힐엣지)쪽으로 실어봅시다. 여전히 무게중심은 앞발에 있구요...

그러면, 발의 바깥날 쪽으로 힘이 쏠릴겁니다. (만약에 뒤꿈치에 힘이 쏠리신다면 체중을 앞발에 싣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

이때 상체의 움직임을 보자면, 몸이 약간 열린상태입니다.

상체가 많이는 아니지만, 조금씩 열리고 닫히고를 합니다.


.체중이동과 무릎돌리기의 관계

턴을 할때 상체를 돌리면, 상체를 따라, 골반이 돌아가고, 골반을 따라, 무릎이 돌아가고, 무릎을 따라 발이 돌아가고, 발을 따라 보드가 따라가는 방식이지요.

위의 과정이 꽤나 많으므로, 무릎을 바로 돌려서 빠른 턴을 이끌어 내는 고급기술(이라고들 하더군요...;;) 입니다.

무릎 돌리기는, 토턴을 할때는 오른쪽(구피의 경우 왼쪽), 힐턴을 할때는 왼쪽(구피의 경우 오른쪽)으로 돌려주면 됩니다.

근데 방금 말한 체중이동 연습을 직접 해보시면, 무릎돌리기와 거의 일치한다는것을 느낄 수 있을겁니다.

실제로 BBP자세를 잡은상태에서, 무릎을 왼쪽 오른쪽으로 돌려 보시면, 힘이 받는 부분이 위에서 말한부분과 정확히 일치를 하거든요.

체중이동과 무릎돌리기가 설명방법의 차이이지, 그렇게 큰 차이가 없음을 아실 수 있으실겁니다. (사실 차이가 좀 있긴 합니다만, 이 이야기도 다음에 체중이동에 관한 이야기를 할때 다시 하도록 하겠습니다. )

그리고, 무릎돌리기를 할때, 엣지쪽으로 힘을 더 많이 실어 줄려면, 어께가 아까 체중이동 연습을 할때처럼 함께 움직여 줘야한다는것을 느낄 수 있을겁니다.

상체를 그대로 고정한 채로, 무릎만 돌려서는 힘을 싣기가 힘들지요.

(사실 이 파트는 글 내용과 전혀 무관하지만, '무게중심으로 보드를 탄다는게 말이되?' 혹은 '그게 뭐야? 그렇게 보딩을 제대로 할 수 있어?'를 하시는 분들을 위해 넣습니다. ---;;; )


.체중이동과 몸열림과의 관계

다시 체중이동으로 돌아가서, 이번에는 몸을 열고서 체중이동을 해보도록 합니다.

몸을 열고서 힐엣지쪽으로 체중이동을 할때는 그렇게 큰 차이를 못느끼지만, 토엣지쪽으로 체중이동을 해보시면, 중심잡기가 꽤나 힘들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몸을 연 상태에서 토엣지쪽으로 체중이동을 하시면, 엄지발가락 하나에만 엄청난 압력이 가해지고, 허벅지도 꽤나 무리가 가는것을 느낄 수 있지요.

이번엔 몸을 완전히 닫아서 약간 앞쪽으로 꺽고, 체중이동을 해봅시다.

이번에도 토에선 그다지 문제가 없지만, 힐으로 체중이동을 하실때 발 뒤꿈치쪽으로 압력이 전해지면서, 불안해짐을 느낄 수 있을겁니다.


.덕스탠드가 아닌 상태에 관하여

이번에는 덕스탠드가 아닌상태로 연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뒷발은 각도를 0으로 놓고, 앞발은 적당히 벌려주도록 합니다.

그리고서 BBP 자세를 잡으면, 처음부터 약간 어깨가 열릴것입니다.

그리고, 토와 힐로 체중이동을 해보시면, 토엣지시에는 어깨가 보드선과 일치를 하고(앞발 각도에 따라 다를수도 있습니다.), 힐시에는 몸이 꽤나 많이 열리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몸을 여는것은 몸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는것이 되고, 턴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소가 된다고 생각 합니다.

그렇다고, 너무 딱 닫은채로 고정시켜 놓는것 또한, 문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토턴시에는 몸을 닫고 힐턴시에는 몸이 열리는게 정상이라고 생각 합니다. (물론 스탠스 각도에 따라서 토턴시에도 몸이 열려 있을 수 있습니다.)


[뒷발차기에 관하여...]

뒷발차기는 상체가 돌아가는 방향과 하체가 돌아가는 방향이 서로 틀린것을 말합니다.

아까 체중이동연습으로 다시 돌아가보도록 합시다.

이번에는 뒷발에 체중을 싣고 토와 힐엣지로 체중이동을 시켜보도록 합시다.

그렇게 하면, 어깨의 움직임이 아까와는 반대로 됩니다.

토엣지에 체중을 실으면 몸이 열리고, 힐엣지에 체중을 실으면 몸이 닫히게 되지요.

이게 뒷발차기와 같다고 생각 합니다.

라이딩시에 무게중심을 뒤에 싣고 타는게 아니라면... 뒷발차기가 나오면 안되겠지요? ^^^


이번글 역시 많은 고수분들의 지적을 기다리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되시길... ^^^
엮인글 :

이른새벽별

2006.03.11 18:27:20
*.186.255.160

카빙의 감을 익히는 과정에 있어 체중이동만으로 하는 턴을 하는 과정이 있기는 하지만, 강력한 턴에 있어 상체로테이션은 필수 라고 생각합니다. 제 의견은 상체또한 우연하고 부드럽게 움직여 주는게 좋다는 쪽입니다.

50도 이상의 급사에서 체중이동만으로 하는 턴을 해보시면... 상당한 공포를 경험하시게 될겁니다. 이때 강력한 상체로테이션과 다운언웨이팅등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절로들더군요.

pokjoo

2006.03.11 19:46:40
*.251.197.14

빠르고강력한턴을 위해서 다운언웨이팅은 정말 필수아닐까요..상체로테이션 역시 필요한 기본기중하나라생각하는뎁;;

촌부보더

2006.03.11 22:23:44
*.224.95.69

포워드가 불안한것이 아니고, 원하는 라이딩 스타일이 다른것입니다. 덕으로 곱게 곱게 멋스럽게 사이드컷에 물려돌아가는 카빙을 즐기실수는 있겠지만, 파워풀한 라이딩을 즐기기는 많이 부족하죠. 열고 닫고가 문제가 아니고, 어떤 슬로프에서 즐길것이냐, 또는 어느정도의 스피드를 즐길것이냐, 어느정도의 파워풀한 라이딩을 할것이냐에 따라 라이딩 방법이 달라진다고 본인은 생각합니다. 그의 목적에 따라서 어께가 열리기도하고, 스탠스 각도도 돌아가기도하고, 업다운이 강하게 나오기도 합니다. 표준은 없습니다. 무엇을 즐길것이냐에 따라 분명 많은 변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hiview

2006.03.11 22:25:25
*.216.235.49

저같은 경우는 따로 스승이 없는 관계로 예전부터 강습 비됴같은 것들로 많이 연습했습니다. 특히, 김현식 프로나 CASI 샘플 스타일로 배웠는데 상체로테이션은 거의 기초이자 상급 과정에서도 필수입니다. 단지 상급 과정쯤 되면 급사가 아니고서는 로테이션이 눈에 잘 안 띨 뿐이죠.
경사가 있는 곳에서 파워풀한 카빙(롱카빙)을 하기 위해선 필수 이죠. 새벽별님 말 처럼 어느정도 다운언웨이팅도 필요하고..(아직 CASI에 나오는 정도의 다운언웨이팅을 하는 사람은 본적이 없어서...저도 마찬기지 이고. ^^)

2006.03.11 22:41:44
*.107.9.9

글을 쓰신 분은 이제 카빙 연습을 하시는 분이신거 같네요.
분명 상체의 움직임없는 무게 중심은 카빙 입문에서는 큰 도움이 됩니다.
뒷발차기가 안 생기기때문이죠.
하지만 초보 카빙 연습을 지나는 순간 어깨의 열고 닫힘은 의미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강한 리바운딩과 고속 주행의 돌발 상황 대처를 위해 어깨를 열어야된다고 생각하지만 이 문제는 의견이 서로 분분하니 넘어가고,
이 칼럼은 비기너 턴에서 다음단계로 넘어갈 때 정도 연습에 도움이 되겠네요. 엣지가 어떤건지 감을 잡을 때까지만 필요한 방법이고 그 다음 단계로 갈 때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고 봅니다

ㅊㄹ

2006.03.11 22:52:21
*.226.243.84

음님께서 정리 잘 해주신것 같아요
저도 첨엔 체중이동만으로 타려고 노력했으나 체중이동만으로는 상급으로 갈수록 더더욱
힘들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더군요.
상체로테이션은 상급으로 갈수록 더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여

빠스텅슬랩

2006.03.12 09:37:25
*.209.20.184

음님 말에 동감입니다
여러 슬로프에서 그리고 여러 강설에서의 카빙을 위해선 여러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만약 어깨를 계속 닫은 채로 체중이동과 함께 고개로만 이동을 한다면 최상급 슬롶이나 강설에서 타기 무척 힘들것입니다...슬립도 무지 날터이고...
그때 그때 상황에 맞는 체중이동의 방법과 상체로테이션이 맞다고 생각합니다...무한한 연습만이 살길이라 보여집니다...

3식이

2006.03.12 14:09:20
*.236.165.85

상체로테이션을 하지 말라고 가르치는 분들이 많은데 그분들 정말 잘못 배운겁니다.
혼자 잘못 타는거야 누가 뭐라고 안 하지만 남들에게 까지 그렇게 가르치는 초보적 발상
이젠 좀 졸업해 주셨음 합니다.
시즌방에 있으며 느낀건데 울나라 보더들 너무 보이는 멋에만 치중하는것 같더군요....

제파

2006.03.13 03:52:52
*.227.233.94

확실히 상체보다 무게중심에 중점을 둔 라이딩은 상체의 움직임이 없어보여 편해보이고 부드러워보이지요.
하지만 이러한 무게중심을 이용한 라이딩엔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좀더 상급이라 볼수 있는 짧고 다이나믹한 카빙턴을 하기 위해선 상체 로테이션 없인 안됩니다.

또한 이제 턴을 배우는 초보분들에게 무게중심을 이용한 턴은 위험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아직 속도제어에 익숙치 못한 분들에게 이러한 턴을 가르치면 짧은턴이 힘들고
결과적으로 롱턴이 되버려 폴라인과 수직이 되었을때 많은 속도가 동반된다는겁니다.

본격적인 카빙턴입문엔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불바라기

2006.03.13 10:20:20
*.38.179.183

상체 로테이션 하지 말라고 가르치는 사람 몇명을 봤는데.. 그사람들 자세히 보면.. 대부분 자신도 상체 로테이션을 하고있습니다.. 물론 손붙히고 전혀안하는 사람도있긴하더군요..-0-;; 대신 경사각이 큰 슬롭에서는 카빙절대안하더군요..-0-;;

3~4년차 중에도.. 라이딩좀하다 바로 트릭쪽으로 가버린분들중에서 가르칠때 왕왕 나오는소리가 어깨를 움직이지 말라고 가르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자신은 하면서.. 자신이 하는지도 못느끼면서.. 안한다고 생각들하고 있는데.. 어깨를 고정하고.. 기울기 만으로 최상급에서 롱카빙이나 미들턴 해보시라고 하면.. 한두번하다.. 포기할겁니다..

무릅돌리기 숏턴에서 낮은자세로 엣지체인지할때.. 다리를 접고 폄에 한계를 무릅이 느낄때.. 완전히 접기가 힘들어서.. 병행이로 무릅을 돌립니다..

일반적인 롱카빙 미들턴 숏턴에서는 사용하시게 되면.. 자세가 망가지고.. 고속에서 자칫 역엣지로 날라가는 경험을 하시게 될겁니다.. 무릅을 돌리면서 하는 엣지체인지 자세는 숏턴의 최종단계입니다..

일반적인 연습을 하실 필요는 없고요.. 거친슬롭에서 용평 래드나 실버에서 숏턴으로 끝까질 쏠 강심장이나 경륜이 되었을때.. (참고로 전못합니다..-0-;;) 에어턴으로 커버가 불가능한 상태가 될때.. 무릅돌리기를 하라고 어떤사람이 알려주더군요..

그냥 팁이라고 배울필요는 없고.. 어느 정점에 이르게 되면,.. 그냥 아! 이런게 있었지 하고 알게될거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그 무릅돌리기를 일반적인 카빙 사용시 사용하라는 소리는 이칼럼에서 처음 듣네요^^;;

이런

2006.03.13 18:44:09
*.248.234.15

도대체 얼마나 사람들을 현혹시켜야 직성이 풀릴까?
듣도 보지도 못한 해괴망칙한 이론을 가지고서 이렇게 혹세무민 해서야...
미칠라면 혼자서 미치지 왜 다른사람들까지 미치게 하는지 원~~~

라딩머신

2006.03.13 22:39:41
*.9.19.178

상체로테이션이 없다면 그건 카빙턴이라고 할수없죠..
레일투레일 이라고 볼수밖에 없는거 같습니다
상체로테이션은 상급자로 가면갈수로 안보일수도 있지만 다 하고있는것입니다

양치기

2006.03.14 11:07:00
*.126.119.200

에.. 리플에서 싹 정리가 되었네요.. 상체 로테이션은 필수로 봐야하는데 그걸 하지 말라니요.. ^^;

울리

2006.03.14 11:53:13
*.112.230.142

하지 말라는게 아니라 상체 로테이션 땜에 슬립이 많이 일어나는걸 보고
얘기한게 아닐까라는 ..... 대충생각!! ^^;;;;

후리롸이더

2006.03.14 16:40:58
*.219.183.24

카빙 알수록 헷갈리네요. 무릎을 돌리라르니...근데 덕스텐 으로 탈때 다리를 한껏 벌리면서 다운을 주는 법도 있는줄 아는데 무릎돌리기와는 어떤 관곈지 모르겠네요. 상체 로테이션이 없다는 자체가 왠지 슬립을 만들들어 낼거 같은데...그리고 물론 상체로테이션이 너무 선행해서 많다면 그것도 슬립을 만들고. 골반이 돌아간다는게 상체 로테이션 아닌가요. 골반과 상체는 붙어있으니깐 알수가 없네요 윗글......상체로테이션은 데크가 움직이는 만큼만.....

라딩머신

2006.03.14 17:06:53
*.108.189.26

무릎돌리는것은 하체 로테이션으로 상체로테이션이 완벽히 자기것이 되면 다음하체를 이용해서 턴을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것이라고 본것같습니다^^

그게 기술이름있는데 까먹었네요, 김현식 동영상에서 본듯^^

Lunatrix

2006.03.15 12:14:15
*.46.105.150

김현식 프로님도 일케 말씀하셨습니다
'정확한 하체 로테이션을 익히기 위해선 정확한 상체 로테이션의 마스터가 먼저입니다' 라구요
내가 하체를 얼마만큼 돌려야 하는가를 알기위해선 그전에 상체 로테이션을 통해서 하체가 얼마나 돌아가는가는지를 확실히 알고 넘어가야 한다는거죠.

그리고 이른새벽별님 말씀대로 정말로 강력한 턴을 위해선 허리가 휙돌아가는 듯한 강한 상체로테이션은 필수입니다. 이건 비단 강력한 카빙...(갸냘픈 s자가 아니 뚱뚱한 s자 카빙)에서만이 아니라 급박한 상황에서 강하게 보드의 진행방향을 바꾸기에도 필수입니다.
급박한 상황에서 무릎으로 보드를 돌리다간 스티어링이 충분치 않아서 충돌하거나 뒷발차기를 해서 사이드 슬립으로 정지를 하게되는데, 문제는 상급에선 사이드 슬립의 제동을 급박하게 걸었다간 엣지가 설면에서 떠서 그야말로 오방 나르게 되죠.
안정적인 라이딩을 위해선 상체 로테이션은 필수입니다.

Xenos!

2006.03.15 12:46:29
*.244.209.157

일단 저의 글에 관심을 가져주신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아무래도 리플을 읽으시다가 많이들 헷갈리시는것 같은데, 저의 글은 '카빙'과는 전혀 상관이 없음을 밝힘니다.

저의 글의 요지는... '상체 로테이션을 하지 말자'가 아니라, '상체를 열고 타지 말자'입니다.

토엣지시에도 앞팔이 몸 뒤로 가 있는상태... 그런 상태를 피하자는 거지요.
그리고, 왜 그래야 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 체중이동에 대한 이야기를 한것입니다.

상체 이동을 먼저 배워야 하느냐, 아니냐의 문제는... 아직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래도 프리스타일이라면 나중에 파크에서 놀텐데 그때는 상체로테이션이 필수이므로, 먼저 배운다고 해서 나쁘나거나 그런 생각은 별로 없거든요...
제가 좀더 실력이 늘고, 상체로테이션을 좀더 열씨미 익히면, 그때 그에 관한 칼럼을 다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의도한것과 전혀 다른 내용의 리플이 너무 많이 달렸네요... 아무래도 아직 저의 표현방법이 많이 부족한가 봅니다.
글쓰기가 정말 어렵네요... 칼럼 쓰시는분들께 존경을 표합니다.

다시한번 저의 글에 관심을 가져주신것을 감사 드립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되시길... ^^^

맞짱뽀더 *^^*

2006.03.15 21:51:53
*.111.11.92

글쓰신 분이 말씀하셨듯이 엣지 체인지 시점이 폴라인과 데크가 일치하는 시점이라고 하는것으로 봐서
베이직턴 시 무게 중심이동에 관한 글인것 같으네요...
여기분들은 모두 카빙에만 관심이 있으신듯...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58

기술(테크닉) 뽀드장에서 작업을 하자! [53]

  • 병파리
  • 2003-10-02
  • 추천 수 27
  • 조회 수 5438

기술(테크닉) (한줄팁) 로테이션의 목적 [15]

  • 홍이00
  • 2016-12-28
  • 추천 수 39
  • 조회 수 5468

기술(테크닉) 이미지 트레이닝에 관한 개인적 생각... [9]

  • 마티니
  • 2009-05-05
  • 추천 수 106
  • 조회 수 5487

기술(테크닉) 한줄 팁 - 프레스 타이밍 [3]

  • 홍이00
  • 2016-03-01
  • 추천 수 3
  • 조회 수 5487

기술(테크닉) [RiderCrew] 상급슬롭에서의 라이딩....^^ ... [23]

  • RiderCrew
  • 2001-12-20
  • 추천 수 35
  • 조회 수 5488

기술(테크닉) 체중이동과 몸열림에 관하여 [19]

  • Xenos!
  • 2006-03-11
  • 추천 수 58
  • 조회 수 5499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를 배우며 느낀 몇가지 [48]

  • KOON™
  • 2006-02-14
  • 추천 수 59
  • 조회 수 5512

기술(테크닉) Front Side 180 [2]

  • Kick
  • 2005-10-10
  • 추천 수 41
  • 조회 수 5531

기술(테크닉) 天地人으로 분석해 본 스노우보딩 [11]

  • KOON™
  • 2005-12-20
  • 추천 수 61
  • 조회 수 5549

기술(테크닉) 가압과 감압 [30]

  • 134340
  • 2018-05-21
  • 추천 수 16
  • 조회 수 5565

기술(테크닉) 익스트림 카빙시 도움이 될만한것. [19]

기술(테크닉) 라이딩을 대하는 자세 - 강한 프레스로 가는... [60]

  • 비로거.
  • 2013-10-20
  • 추천 수 46
  • 조회 수 5606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의 하찰 [15]

  • bigk
  • 2010-12-17
  • 추천 수 0
  • 조회 수 5621

기술(테크닉) 힐턴! 강한 그립으로 안털리기~! [14]

  • 슈보드
  • 2020-01-14
  • 추천 수 15
  • 조회 수 5631

기술(테크닉) 라이더로부터 배우는 작은 깨침 (카운터스티... [10]

  • 호9
  • 2017-11-20
  • 추천 수 7
  • 조회 수 5632

기술(테크닉) j트릭이 궁금해요~ [9]

  • 날르장
  • 2002-10-25
  • 추천 수 35
  • 조회 수 5668

기술(테크닉) 실패 사례로 본 베이직 에어공략법 [22]

기술(테크닉) 알리/널리 백사이드 180 [5]

기술(테크닉) 작업하기엔!! 알파인이 쵝오~~ ㅡ.,ㅡ [35]

기술(테크닉) 카빙 숏턴에 대한 고찰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