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알고 있는 것을 토대로...

일반적으로 킥커나 롤, 램프에서 점프를 하게 되면 베이직 에어가 된다...

베이직 에어에서 가장 기초적인 기술이 바로 코스팅이다.. 롤러코스터처럼 내려오는 속력으로 립의 각도와 속력에 따라 높이와 거리가 결정된다...이는 지극히 물리적이고 과학적이므로 보더의 능력에 관계없이 높이와 거리가 결정된다.

코스팅이 자연스러워 지면 팝핑을 하게 되는데 이는 속력을 줄이는 대신 높이를 만들기위한 기술이다. 립에 가까워 질 수록 무릅과 발목을 작게 만들어 데크를 양발로 힘껏 밀어주는 기술이다.

팝핑은 코스팅에 비해 속력과 거리가 줄지만 높이를 향상시켜준다. 속력에 비해 체공시간이 길어지므로 여러가지 스핀 기술을 구사할 수 있게 해준다.

실상 대부분의 보더들은 립에서 알리를 사용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데크에 압력이 반사되어 테일쪽에서 리바운딩을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상 속력이 빠르기 때문에 립에서 팝핑을 줘도 앞발보다는 뒷발에 리바운딩의 여운이 남아았기 때문이다.

알리는 그라운드에서 점프를 만들기 위해 하는 기술이므로 동작이 매우 크다... 큰 킥커에서 알리를 사용하며 큰 동작을 취하면 중심을 잃기 쉽고 스핀계열의 기술을 구사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그라운드 스핀은 어느정도 슬립이 안전을 보장하지만 킥커에서의 스핀기술에서는 슬립이 나면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도록 하자

그라운드는 길다 타이밍이 맞지 않아도 알리가 되지만 립은 짧다 자기 보드의 테일을 립 끝에 걸고 정확한 타이밍에 보드의 탄성을 유도해 내는 보더가 얼마나 될까??

그래서 파이프의 립에서도 캐다나 코치들은 널리를 생각하라고 한다....널리를 생각하면 자연스런 팝이 나오기 때문일 것이다...

말두 되지 않는 내 지식과 경험....악플이 많이 달리고 협박 쪽지가 온다면..........

스노보드 책을 써 볼란다......ㅋㅋㅋ
엮인글 :

우하하™

2006.11.16 15:27:10
*.229.169.225

저도 한때는 키커에서 알리치면 안된다고 알았는데...
이번에 주시가 찍은 비됴보니 베이직 부터 알리치라구 그러구 실제로 알리치는거 보니...
할말 싹~ 사라지더군요...
주시가 7까지는 알리치는것 처럼 안보이던데...
베이직하고 나인 돌릴때는 느리게 보니 알리치는게 보여요...

뭐 저는 원에리도 제대로 못합니다만...
ㅋㅋㅋ

잇힝*^^*

2006.11.16 16:41:48
*.161.3.107

프로들 보니 키커를 알리는 물론 널리로도 뛰던데.. 그만큼 키커에 익숙해져있으니 자유자재로 하는거겠죠.
물론 그 프로들도 처음엔 팝 없이 그냥 베이직 부터 시작했었겠죠.
다 차근차근 키커를 수만번씩 뛰면서 몸에 배길때까지 익숙해진 결과라고 볼수있겠죠.

So be it!

2006.11.16 18:05:50
*.179.133.39

파이프 립에서 널리라.. 아~~

갑자기 어려워 지네요..

00

2006.11.16 19:51:55
*.133.162.239

보드로 밥먹고 사는 사람과, 밥먹으며 보드타는 사람의 차이죠..;;
무게 중심이동이 원할치 않은 저같은 하수들은 사실 꽂힐까봐서리..

volcomsnow

2006.11.16 22:09:29
*.120.95.200

킥커에서 알리를 치지 말라는건 초보들한테 위험하기 떄문입니다..
팝에서 알리로 넘어가면 더 높은 높이로 체공시간을 늘리면서 기술을 할수 있습니다.물론 널리도 가능하구요..
그리고 립이 작다고 말씀하셨는데 큰 킥커에서는 립이 깁니다.. 그래서 작은 램프나 작은 킥커에서는 타이밍 잡기가 어렵구요
스핀기술이 들어갈때도 립끝을 벗어나는 순간의 타이밍을 잡아야하기때문에 타이밍 문제는 어렵지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벗어나는 타이밍이 익숙하지 않으면 스핀이 들어갈때도 매우 위험해지겠죠..

추가루 파이프 립에서 베이직 뛸때 널리는 립아웃이 됩니다.. 스핀이라면 좀 다를수 있겠군요..

선구자주백통

2006.11.17 09:44:17
*.246.178.130

제 말씀은 모든 기술은 순차적으로 발전 해야한는 것이지요...킥커에서 꼭 알리가 아니라 코스팅, 팝핑, 알리등으로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파이프기술 습득도 안전하게 배울 수 있는 커리큘럼이 있다는 것이지요...파이프에서 무조건 에어만 생각하고 연습하는게 아니라 트렌지션에서 슬라이딩턴 그리고 에어턴...등 이렇게

뭐에서는 꼭 뭐다가 아니라...순차적으로....그래야 안전하는 걸 이야기 하고 싶은겁니다. ㅋㅋ

널♡해

2006.11.17 09:55:04
*.252.104.91

정말 공감이 가는글이네요. 요점만 딱잡아 말해준다고할까.

보통 램프나 키커에서 알리를 친다고 생각하는데 정말 심하게 쳤다가

무게중심이 뒤쪽으로 쏠려서 넘어진 기억이 많이나네요.

그 타이밍을 알고 알리를 줄 수 있다면 이미 당신은 챔피언인듯 싶네요

volcomsnow

2006.11.17 19:02:09
*.120.95.200

순차적으로 기술을 습득 해야합니다.. 그러나 순차적인걸 무시하지 말라구 단계를 뛰어넘어서 하지 말라는걸
와전되어서 야예 하면 안된다고 이해하는것은 안된다고 생각이 드네요~

실력MCI

2006.11.17 19:55:17
*.149.73.145

기초튼튼...^^!~

[블랙쏜]

2006.11.17 22:42:38
*.111.15.22

죽진 맙시다. ㅡㅡ;

휴먼fly

2006.11.18 06:07:17
*.240.24.13

초보분들은 그냥안정적인 자세로 스피드만 이용힌시고, 감잡으시면 아실겁니다. 몸으로 느껴바야 알수있는듯 합니다

nomad

2006.11.20 04:11:17
*.167.144.79

이런칼럼 얼마만인지...너무나 고팠습니다. 원츄 >.<)b

어리버리그놈

2006.11.21 21:18:31
*.108.107.61

ㅋ 알리 치면 중심 잘못잡아서 넘어지는게 속도가 안 붙어서 그런줄 알고 몇번 더 뛰다

등짝랜딩으로...다시는 램프에 안 들어갔었는데 이런 이유때문이였군요. ㅠㅠ

너무 좋은 칼럼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958

기술(테크닉) 스위치와 페이키의 차이점을 정감가는(?) 손... file [14]

  • DreamSaver
  • 2012-10-29
  • 추천 수 0
  • 조회 수 5933

기술(테크닉) 카빙 고수가 되는길 [풋아웃] 피하기 [5]

  • 심훈Film
  • 2018-05-31
  • 추천 수 14
  • 조회 수 5919

기술(테크닉) 캡(cab)과 하프캡(half cab) [43]

기술(테크닉) 카빙턴에 대한 생각 [11]

  • 차차
  • 2004-02-19
  • 추천 수 42
  • 조회 수 5902

기술(테크닉) 2년차 보린이가 느낀 힐턴꿀팁(골반오픈방법) [38]

기술(테크닉) 베이직 점프를 배우자! [9]

기술(테크닉) 트릭연습 - 연습순서 [1]

  • 성게군~
  • 2013-03-07
  • 추천 수 6
  • 조회 수 5809

기술(테크닉) 동영상자료 킥커에서의 알리와 그 댓글을 보... [13]

기술(테크닉) 유령 보드 잡는 테크닉~~ㅋㅋㅋ [25]

기술(테크닉) 카빙 숏턴에 대한 고찰 [8]

기술(테크닉) 작업하기엔!! 알파인이 쵝오~~ ㅡ.,ㅡ [35]

기술(테크닉) 알리/널리 백사이드 180 [5]

기술(테크닉) 실패 사례로 본 베이직 에어공략법 [22]

기술(테크닉) j트릭이 궁금해요~ [9]

  • 날르장
  • 2002-10-25
  • 추천 수 35
  • 조회 수 5668

기술(테크닉) 라이더로부터 배우는 작은 깨침 (카운터스티... [10]

  • 호9
  • 2017-11-20
  • 추천 수 7
  • 조회 수 5632

기술(테크닉) 힐턴! 강한 그립으로 안털리기~! [14]

  • 슈보드
  • 2020-01-14
  • 추천 수 15
  • 조회 수 5631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의 하찰 [15]

  • bigk
  • 2010-12-17
  • 추천 수 0
  • 조회 수 5621

기술(테크닉) 라이딩을 대하는 자세 - 강한 프레스로 가는... [60]

  • 비로거.
  • 2013-10-20
  • 추천 수 46
  • 조회 수 5606

기술(테크닉) 익스트림 카빙시 도움이 될만한것. [19]

기술(테크닉) 가압과 감압 [30]

  • 134340
  • 2018-05-21
  • 추천 수 16
  • 조회 수 5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