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정도 턴이 되고 하면 우리 남자 보더님들은 끓는 피를 참지 못하고 바로 그 보드장의 최정상 코스로 향하게된다. 물론 필자도 무작정 곤도라를 타고 에코씨리즈의 슬로프로 올라가곤 했다. 그때 그 말할 수 없는 두려움...난 최정상에서 내려왔다...난 두번밖에 넘어지지 않았다... 정말 친구드한테 서로 자랑스럽게 말하던 기억이 난다.

지금 돌아보면 정말 그 깡이면 파이프에서 900도 돌렸을텐데...지금 생각해도 섬찟하다. 물론 헝글에서 초보보더님들이 많지 않겠지만 슬롭정복하기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잘 보시기 바란다.

야~~~ 여기 슬로프는 너무 경사가 급해 보더들보다는 스키어들에게 적합한 슬로프야하시는 분들도 잘 봐주시라. 겁이 나서 최정상 슬로프에 올라가시는 것을 두려워하시는 분들도 잘 봐주시라.

지금부터 쫌 씨잘때기 없는 글을 써보렵니다. 많은 보더들이 카빙을 라이딩 기술중의 꽃이라 이야기한다. 하지만 슬라이딩턴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며 힘든 기술이라는 사실... 카빙을 못하면 자연히 슬라이딩이 생긴다...그것이 슬라이딩 턴이다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

실제 슬라이딩턴은 보드선진국에서 중요시 가르치며 오히려 슬라이딩턴을 보고 보더의 라이딩기술을 가늠한다는 사실!! 그루밍된 슬로프보다는 파우더와 트리런에서의 라이딩이 많고 몹시 긴슬로프를 카빙으로만 내려온다는 것 허벅지터져나갈 일이죠..

실제 슬라이딩턴은 카빙보다 힘이 덜 들며, 급한 경사도 쉽게 내려 오게 해준답니다. 이제 그런 중급의 슬라이딩턴의 기술과 배우는 방법에 대하여 글을 좀 써보까요??

1. 발란스가 맞는 자세(제일 중요한거죠!)로 릴렉스한 만세 영화주인공이 손들고 있는자세로 라이딩을 시작한다.

2. 턴의 준비단계에서 턴할 위치와 타이밍이 되었다면 만세한 손을 발목에 대며 턴을 한다. 손을 발목에 댄다면 무릅도 굽혀져야 한다는 뜻이다. 턴이 끝나는 시점에서 다시 만세를 부르며 일어난다.
다시 말해 업으로 라이딩을 하다 다운으로 턴을 하고 바로 업으로 돌아와 라이딩을 한다는 이야기다 좀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 해보면 쉽다.

3. 만세와 발목잡기가 익숙해 졌다면 다운턴시 어깨와 무릅으로 스팅어링을 반복연습한다.

턴의시작에서 다운, 끝에서 업을 하며 보드로 눈을 슬로프 양쪽옆으로 밀어주는 것이다. 쉽게 이해하시라고 업과 다운을 썼지만 업은 그냥 일어나 뻣뻣하게 서라는 것이 아니라 라이딩자세로 돌아온다는 것임을 명심하시라. 너비스턴의 업은 완전 일어서는 것이라 이업과 그업은 틀린것이다.

이것들이 된다면 압력조절이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경사도가 좀 있는 슬로프에서 처음에는 턴을 크게 만들며 라이딩- 다운턴-라이딩을 반복해보시라. 그리고 좀더 턴을 좀더 작게 만들어 마치 깔대기를 그리듯이 슬라이딩턴을 해보시라... 그것이 완성되었다면 당신은 타이밍을 잘 잡을 뿐만 아니라 당신이 스스로 창조적인 턴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눈이 예쁘게 옆으로 잘 쓸렸는지 다운업이 자연스러운지를 피드백하며 연습한다면 최정상 슬로프에서 팀복입은 스키어 아저씨부대들 속에 있어도 당신은 아름다워 보일 것이다.

ps. 혹 제글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익힌다면 g랄턴으로 불릴 수 있으니 주의바람! g랄턴이 되신 분들께는 A/S해드립니다. 직접 찾아가진 못하고 성우로 오세요~!!!!!!!!!!!
엮인글 :

불바라기

2006.11.17 13:55:36
*.32.70.49

사실 최상급 길이나 코스상 용평 실버이상을 아직 못봐서요.. 전 용평 실버를 최상급이라 여깁니다..-0-;;

휘팍디지처럼 짧은거 말구요..-0-;;

아무튼 그정도에서 풀카빙때리는사람.. 스키어말고 본적이 없습니다..-0-;; 올해 4시즌째입니다..

슬라이딩턴 카빙에서 턴의 호가 카빙보다 좀더 그려지면서 턴마지막에 슬립나면서 속도 죽는걸 전 슬라이딩턴이라고 알고있습니다..

아무튼 그 턴으로도 대명 테크노정도에서만 봤습니다.. 단지 하단부에서 속도때문에 베이스 중단까지 밀려가더군요..

그것도 몇분 못봤습니다.. 카빙과 슬라이딩턴 적절히 석으신분요..

아마도 최상급에서의 카빙이란.. 우리나라 슬롭을 경부라기보다 영동고속도로 정도의 고속도로라 칭할때..

그 길을 250~300Km로 쏠수있는 용기가 있는사람 아니면.. 불가하다는 저의 생각이 틀렸을까요..^^;;

가끔 도전해볼까? 하다가도 그러다 혹 오방 날르면.. 몇 미터를 날라서 몇바퀴를 굴러야.. 슬롭끝에가지??

그러면..어느정도 죽을까?? 하는 두려움에.. 시도조차 못하고있습니다..ㅋㅋㅋ

어쭈구리

2006.11.17 14:19:41
*.221.246.3

용평 렌보1이 최상급아닌가요??
딴지 걸어서 죄송...ㅡ.ㅡ

구도사

2006.11.17 14:24:18
*.247.145.7

실버 그 각에 그 거리..최상급이라 할만하죠...

불바라기

2006.11.17 14:25:03
*.32.70.49

렌보 1.2.3는 못가봤습니다.. 쿨럭..-0-;; 무주또한 못가봤구요..

렌보가면.. 이상하게 차도만 들어가능 이상한 버릇이 있어서요..-0-;; 올시즌에 꼭 1.2.3 느껴보겠습니다..

선구자주백통

2006.11.17 14:35:30
*.246.178.130

제가 이야기하는 슬라이딩턴은 경사가 어떠하든 자기가 원하는 속력으로 내려오는 기술을 말하는 겁니다. 자기 통제력에서 벗어나서 슬라이딩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슬라이딩을 조화롭게 만들어 자유자재로 속력을 조절하는 턴이 바로 슬라이딩턴입니다. 무모하게 올카빙으로 슬로프를 내려오는 것은 목숨에 지장있지 않을까요?? 글루밍이 예쁘게 된 왠간한 슬로프에서는 그렇게 카빙하셔도 즐겁습니다. 하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올카빙 참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선구자주백통

2006.11.17 14:40:25
*.246.178.130

올카빙이어도 폴라인에 크로스가 되고 되도록 많은 턴을 만든다면 자신이 감당할 속력을 만들 수 있겠죠? 언제나 명심하시길... 자신이 감당할 속력을 만들어야합니다. 점점 그 속력을 높여나가야 하구요..폴라인 요걸 잘 이용해보세요.

불바라기

2006.11.17 14:56:58
*.32.70.49

작년시즌 알파이너들과 카빙때문에 한참을 수다떤적이 있습니다.. 친구중 프리로 프리바인딩 셋팅으로 알파인자세로 타는 친구가 있어서 그 문제로 이야기를 하다보니 길어지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때의 그 몇몇의 저를 포함한 무리의 결론은 이거였습니다..

프리데크로 프리자세로 궁극의 카빙은 불가다(여기서 불가는 못한다가 아니라.. 하는것 자체가 무리라는 이야기입니다..-0-;;)

왜? 프리로 대회전이나 회전 경기를 안하기때문이다.. 머 이런 말도 안돼는 소리로 그쳤네요..ㅋㅋㅋ

기대하신분 죄송합니다..쿨럭..

카시레벨 동영상 보시면.. 3부턴가? 프리를 알파인각으로 틀고 타네요.. 속도와 슬롭의 각때문인지 모르겠습니다만..

4는 아예 알파인으로 카빙하는거 나옵니다..

어쩌면.. 우리가 프리로 궁극의 카빙이 머니 카빙을 위한 프리만의 자세가 머니 하는것도 어쩌면.. 아주아주 어쩌면..

프로(프리스타일 프로분들말구요..)들이 보면..머라할지 참으로 궁금할뿐입니다..

암턴 말이 새었네요.. 주백통님 글은 잘보았구 올시즌 저도함따라해볼랍니다..

그런데 만세.. 하구 발잡구 만세하구 발잡구.. 지나가는 립이나 옆사람들이 절 어찌볼지..-0-;;ㅋㅋ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선구자주백통

2006.11.17 15:06:47
*.246.178.130

만세 방법은 캐나다 카시강사들이 슬라이딩턴을 만들어줄때 쓰는 티칭기술입니다. 저도 레벨4자격을 갖고 있는 제이슨, 3 아담과 같이 라이딩을 하면서 슬라이딩턴에 대해 다시 공부 했지요...

불바라기

2006.11.17 15:26:02
*.32.70.49

선구자님 죄송하지만.. 제가 지금 집에서 이미지로 함 해봤는데요.. 발목까지 잡으면.. 제 체형상 완전히 주저앉게 되는데

힐턴시는 가슴이 거의 무릅에 닿을려구하구요.. 토때는 허벅지와 종아리의 크로스네요..-0-;;

쪽지로 남기려다 저처럼 먼가 잘못된 자세로 의구심을 품는 분이 있을까해서 리플남깁니다.. 조금만 자세에 대한 부연 설명 부탁드립니다..

동영상이나 사진 자료라도 참고할만한게 있으면.. 더욱 좋겠구요..

더이상 최상급에서 낙옆질하고 십지않은 보더였습니다..( 시즌중 연습해보구 쪽지로 간간히 질문드릴게요.. ^^;; )

선구자주백통

2006.11.17 15:54:15
*.246.178.130

발목을 꽉 잡는 것이 아니라 앞,뒤발의 발목 바깥부분을 살짝 건드리고 다시 만세입니다. 왜 건드리느냐 그건 엣지 체인지가 그만큼 빠르게 일어나기때문입니다. 손을 대는 순간 엣지 체인지~~ 집에서 맨발로 연습하실때도 발가락 뒤꿈치 체인지하시면서 연습해보세요. 발이 자연스럽게 다운과 동시에 돌아가시는 것을 느끼신다면 이미지 트레이닝 성공입니다.

양치기

2006.11.17 16:16:14
*.6.114.26

만세턴..연습해봐야겠군요..

밀애소년 코난

2006.11.17 17:37:43
*.229.124.73

슬라이딩턴..요거 실제로 해보면 카빙보다 더 재미있는거 같습니다..^^

설질에 크게 영향받지않고 상급자코스도 쉽고 재밌게 내려올 수 있지요~~

근데 꼭 만세를 해야하는건가요??

제가 잘못배운건지..

매콤한팥빙수

2006.11.17 19:21:36
*.188.193.168

올시즌.. 낙엽으로 상급자 슬로프를 정복하겠습니다-_-;

울라라

2006.11.17 20:03:01
*.173.9.18

다이나믹 슬라이딩턴 생각보다 아주 재미있습니다...
눈을 밀어내면서 마지막의 반발력을 이용해 다음턴슬라이딩의 각도를 만듭니다...
힘도 덜들고 아주 재미있습니다..

선구자주백통

2006.11.17 20:46:32
*.80.247.215

밀애소년코난님 처음 만세를 하는 이유는 그 감각을 익히기 위한 단지 훈련!! 나중에는 어깨와 무릅으로만 하고 적어 놨는디...중간 빼고 읽으셨죠~!!?? -_-;

maverick_cool

2006.11.17 21:27:21
*.27.21.185

우리나라는 현실적으로 사람이 많아서 가파른 곳에선 카빙하면 정말 위험합니다.
무모한 사람들은 턴 2번하고 바로 힐 사이드로 눈을 확뿌리면 속도를 줄이죠. 이거 조낸 위험.
카시 비됴 보면 멘트중 카빙은 항상 옵션이 아니란 대사가 나옵니다.
슬롭과 눈의 상태에 맞춰어서 턴을 다양하게 가져가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서 가파른곳은 턴이 커지면 속력이 빠르게 증가되므로 숏턴처럼 짧은 턴을 해야겠죠.
무릎과 발목의 스티어링을 최대한 이용해서 빠른 턴을 만들어야 겠고,
이것보다 더 가파르면 업 다운의 반대개념인 down un-weighted 턴을 구사할수 있습니다.
카빙으로 다운 언웨이트드턴은 하기 나름대루 쉬우나 슬라이딩 다운 언웨이트드 턴은 많이 어렵습니다.
그것을 할줄 알고 거기에 대한 강습볍을 아는 강사한테 배워야 겠죠?
casi level 3 과정부터 거기에 대한턴과 강습법을 평가합니다.
레벨 2는 카빙과 숏턴까지...

세이지

2006.11.17 21:39:27
*.18.146.91

슬라이딩 턴의 매력은 부채살처럼 뿌려주는 눈~~ㅋㅋ
그 재미~~

이런

2006.11.17 23:13:31
*.248.234.29

용평에서 왠 황당하게 만세하면서 발목잡고 다니면서 라이딩 하고있나..했더니..그게 이 만세턴이였군...
그런데...이런 만세턴은 어디서 나온 내용인지?

문앤..6.팬스

2006.11.18 04:15:12
*.187.8.14

속도는 무기죠. 다시 말씀드리면 그 끝엔 ....

선구자주백통

2006.11.18 09:01:53
*.246.178.130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만세턴은 슬라이딩턴을 만들어주기위 카시강사들이 쓰는 훈련도구입니다.

ⓚⓐⓩⓤ

2006.11.18 11:31:40
*.131.235.52

저도 이해가 안되요.. 너비스턴과 차이점이 먼지 모르겠어요..
동영상 어디 없나요? ㅜㅜ

선구자주백통

2006.11.18 11:37:21
*.246.178.130

제가 시간이되면 동영상으로 찍어 올려보도록 하지요.... 너비스는 업을 하며 언웨이스팅(압력풀기)과 동시에 턴이 이루어지지만 슬라이딩턴은 다운하며 언웨이스팅과 동시에 턴이 이러나는 것입니다.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때 발로 보드를 밀어 눈을 옆으로 쓸어주는 것이지요... 보드장에서 직접 함 해보시면 쉬운데....

유끼마쯔리

2006.11.18 13:42:28
*.57.127.9

동영상 올라오길 기대해봅니다.....사실 머리가 좀 나빠서 말로 설명하는건 이해를 못해요 ㅠㅠ

같이 타는 사람들도 그나물에 그밥들이라 ㅋ 제가 어떻게 타는지 말도 못해주고 ㅡㅡ;

무주 설천 최상단 (폴카 미뉴에트 안단테) 대충 긁고는 내려오는 정돕니다.....

불바라기

2006.11.18 19:01:29
*.32.70.43

카빙과 슬라이딩턴의 거의 흡사합니다.. 제가아는 부분까지 이야기하자면..

카빙은 엣지로 가는거야 다 아실거고요.. 단지 턴을하고 호를 그를때 원주율의 한계점.. 곧 슬립이 일어나기

전에 엣지 체인지를 해야합니다.. 그래서 호가 아주 크거나 아니면.. 이쁘게 나온다고 할정도로 깔끔한

엣지 선이 그려져야 합니다..

슬라이딩턴은 그럼 엣지를 안사용하느냐? 그건 아니죠.. 카빙과 거의 똑같습니다.. 단지..

호를 그리다 호의 끝부분에서 압력을 일찍 푸는게 아니라.. 좀 늦게 풀고요.. 다운을 좀더하거나..

반대로 업을해야한다면..( 압력을 푸는게 아니라.. 발로 푸쉬를 한다는 느낌으로..) 하체를

슬롭으로 밀어내듯이 해서.. 데크가 호의 끝부분에 슬립이 나게 해주는 방식을..

슬라이딩 턴으로 알고있습니다..

슬립이 날때 속도가 크게( 사실 상급에서는 너무 작게 느껴져요..T,.T) 줄어들어서..

안정적인 속도를 유지하기에 좋습니다..

아직 저도 슬립을 제대로 못내서.. 얼음돌맹이나 모글에서 슬립시.. 데크가 툭툭 튀는바람에..

아주 많이 미숙한 슬라이딩턴을 하고있습니다..

전 상급의 슬라이딩턴이 카빙보다 어떻게 더 어려운지.. 주백통님 혹 베이스가 휘팍이시면..

밥쏠테니 원포인트좀 해주세요..ㅆ,.ㅆ

Lunatrix

2006.11.19 23:51:29
*.252.71.151

불바라기님 말씀이 비록 미천한 실력이지만 쪼금 와닿네요;;;ㅎ
확실히 자기가 감당을 못해서 보드가 미끄러지는거랑 보드가 미끄러지게 놔두는거랑은 차이가 큰듯해요.
오히려 '얼마나 드리프트 시킬것인가'를 정하고 콘트롤 하는게 꽤 어려운듯 합니다.
글타고 제가 상급에서 카빙을 한다는건 절대 아니구요 -ㅅ-

gg

2006.11.21 20:46:23
*.155.200.26

슬라이딩턴 ... 저도 관심이 많은 부분입니다 ... 업다운의 계념인 만세&발목 이미지트레이닝 은 잘모르겠고 전 처음 배울때 스티어링을 먼저 배웠습니다 ... 어깨 골반 무릅 순으로 말이죠 ... 이 스티어링이 몸에 완전 들어오면 자연스럽게 업다운 뿐만 아니고 다운업웨이팅? 이 되는것이 아닌가여??
결과적으로 스티어링을 몸에 완벽하게 익혀야 구사할수있는턴이 다이나믹 슬라이딩턴 으로 알고있습니다
제가 잘못 알고있다면 지적해주세요 ...

선구자주백통

2006.11.22 12:37:57
*.246.178.130

네 맞습니다. 하지만 어깨 골반 무릅 스티어링은 다른 어떤 턴에서도 중요합니다. 즉 그 스티어링을 한다고 슬라이딩턴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안되구요. 사실 다이나믹 카브드턴에서도 그 어깨무릅스티어링은 중요합니다. 다운업웨이팅이 아니고 다운언웨이스팅이 맞는표현이구요. 다운하며 보드의 압력을 풀어준다는 거지요..보드에 압력이 풀리때 엣지를 바꿔주는거고요. 거기에 보드를 발로 밀어 리바운딩을 만드는 것이 슬라이딩턴의 핵심이지요..

다운언웨이팅은 슬라이딩턴에서만 이루지는 것이 아니고 카브트턴에서도 사용됩니다. 좀 복잡해졌네요.

ROXY

2008.01.17 21:57:46
*.61.97.96

슬라이딩턴 배워보고싶어 검색해봤는데 글로는 이해하기가 좀 힘드네여;
누가 가르쳐줬음 좋겠당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349 기술(테크닉) 보드 용어들.. [21] 달팽 2009-03-02 117 9689
348 기술(테크닉) 어깨가 열고 닫힘이란 무엇인가~~~?? [17] volcomsnow 2010-01-24 28 9671
347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5.그리는 턴 file [23] Lunatrix 2017-02-11 55 9594
346 기술(테크닉) 뻙큐멘터리2 - 힐턴편(당신의 상체는 안녕하... file [13] 작살러버 2015-02-11 10 9576
345 기술(테크닉) 카빙시 체중이동 1석2조 Tip [3] 심훈Film 2017-06-08 21 9571
344 기술(테크닉) fs 180 을 하고 싶으시다면 이렇게 연습해보... [29] BusTa!! 2007-03-05 108 9495
343 기술(테크닉) 2% 부족한 카빙어(?)에게 보내는 제언 [31] A.J.Kuhn 2008-12-09 51 9452
342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2. 행동 file [9] Lunatrix 2014-01-22 18 9227
341 기술(테크닉) 안정적인 카빙턴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 [51] Only_Riding 2007-02-17 28 9222
» 기술(테크닉) 최정상 슬로프 정복하기(초보보더님들을 위... [28] 선구자주백통 2006-11-17 17 9221
339 기술(테크닉) 카빙턴에대한 생각 file [63] AKaSH 2006-12-19 16 9206
338 기술(테크닉) 좋은 자세가 필요한 이유 [27] grindays 2008-12-24 64 9193
337 기술(테크닉) 가압(엣징)을 잘하기 위한 두가지 팁 [37] 한자아이디 ... 2007-12-26 23 9132
336 기술(테크닉) 테크니컬 라이딩을 배우면서 끄적여 본 글 [29] 알꺼업서 2017-12-31 19 9119
335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3 "스위치는 이렇게 연습해 보... [13] grindays 2014-10-29 16 9078
334 기술(테크닉) 웨이팅(weighting)과 언웨이팅(unweighting) [45] 문박사 2010-01-13 29 9049
333 기술(테크닉) 덕풋에서 벗어나서 레벨업 합시다. [42] Gatsby 2008-01-29 48 8993
332 기술(테크닉) 턴의 계기... [19] 날아라가스~!! 2008-03-05 105 8961
331 기술(테크닉) 어드밴스트 슬라이딩턴을 위한 주말보더의 ... [12] 젠틀보더 2009-02-02 54 8935
330 기술(테크닉) 서서 바인딩 채우는 노하우 [31] 포엑스 2008-01-03 37 8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