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 down은 질량불변의 법칙과 중력에 작용하는 운동에너지를 이해하면 간단하지만

움직이는 보드에 적용하면 조금 헷갈릴수 있다.



보딩시 걸리는 힘을 나누어 보자

아크를 그리며 라이딩의 진행에 따른 압력이 다름을 이해해야 한다.

레귤러기준으로 12시에  toe edge change를 한다면 1~2시까지 중력은 -g,작은 원심력발생되며  3시에서는 중력은 0    강해지는 원심력,  4시에서 5시로 가면서 원심력과 중력이 점점 더 증가한다. -이러한 작용은 보더가 압력을 가감하는 행동을 하지 않았을때 의 deck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라이더 기준으로 외적인 압력이라 표현해보자-.



대부분 착각하는것이

무릅을 구부리면서-down 진행중 원심력과 중력의 압력을 느끼는것을 포지티브 프레싱(설명하려니 적당한 단어가 생각나지 않네 -내가 움직여서 가압하는상태-)으로 착각하는것이다.



다운은

다운의 속도에 따라 원심력과 중력을 버티며 감압하느냐 혹은 빠른 속도로  외적인 힘(원심력과 경사에의한 중력) 보다 더 빨리 감압 하느냐의 차이 일 뿐 다운이 진행되는 동안은 감압현상이 발생된다.

다운을 진행시키지 않으면 진행하는 동안 보다는 더 많은 프레싱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또한 덱의 관점에서 보느냐  라이더의 능동적인 움직임에서 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므로 오해의 소지가 발생하는 것이다.



외부적인 힘(원심력,중력,위치 따른 마이너스중력)과 내가 역동성을 가짐으로 인한  압력의 가감을  정확히 이해해야한다.

아크에 걸리는 외적인-라이더의 의지와 상관없이 -힘들을 이해해야 여기에 본인의 움직임으로 인한 압력을 운용함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drifte를 최소화 시키거나 의도적으로 증가시킬수 있으며 설질에 따라 라이딩을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슬롭에서 프레싱을  설질에 따라 운용하는 한 예로

오랜 영하권이였다가 영상 2~3도 정도로 눈이 약간 습기를 머금은 상태였을 때는  멀티프레싱으로 다운의 종결을 4시에 집중시켜 원심력+중력+포지티브압력으로 보드를 최대치로 휘게하여 높은 air to curve를 즐긴다. 이런 설질에서는 압력이 arc하단(4~5시)에 가해져도 edge가 밀리거나 터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30도 내외 경사에서 설질이 조금만 강설이 되어도 이런 압력운영을 하면 엣지가 밀리면서 감속이 일어나 깔끔한 카빙이 어려워진다.

역으로 해석하면 스키나 알파인처럼 에펙엣지가 크면 정교하지 않아도 엣지가 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알파인보다 길이가 짧아 bending이 어렵고 effect edge가 작은 프리스타일은

보다 더 역동적이고 강한힘으로 보드를 운영해야 한다.

알파인이나 스키는 버티는 힘 만으로 카빙을 유지할 수 있으나 프리로 그 정도 카빙을 하려면 훨씬 더 많은 체력이 소모 된다. .

장비의 열악함을 체력과 정교함으로 넘어야 한다.



또한 체력이 강해야 트릭의  스케일이 커진다.

가볍게 뛰는것 같지만

높이와 긴 체공시간을 갖는 라이더들의 몸매를 보라  얼마나 탄탄한 지를...



벗은 몸매가 멋진 만큼      

멋있는 라이딩과  트릭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글은 navi님의 리플에서 힌트를 얻어 정리했습니다.

엮인글 :

에이치(~H~)

2007.04.10 22:27:09
*.9.58.61

좋은글 잘 읽고 가여~~몸매가 멋진 만큼 멋있는 라이딩이라~~헬수장으로 고고해야겠군여~

상훈

2007.04.10 22:59:51
*.155.37.18

몸짱만들기 프로젝트 Gogo
몸살나는거아니야? ㅋㅋ

미연아빠

2007.04.10 23:19:34
*.155.118.83

동역학 책 보다 어려운.....칼럼이군요....

웅이™

2007.04.11 01:07:52
*.235.54.60

장님의 지난번 칼럼에 이은 글이시군요...
읽을때마다 생각하지만 정말 연구를 많이 하시는것같아요.
멋지십니다. ^^b

ㅡ_ㅡ;;

2007.04.11 08:38:11
*.96.167.254

윗 글중.....
----------------
역으로 해석하면 스키나 알파인처럼 에펙엣지가 크면 정교하지 않아도 엣지가 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알파인보다 길이가 짧아 bending이 어렵고 effect edge가 작은 프리스타일은 보다 더 역동적이고 강한힘으로 보드를 운영해야 한다.
알파인이나 스키는 버티는 힘 만으로 카빙을 유지할 수 있으나 프리로 그 정도 카빙을 하려면 훨씬 더 많은 체력이 소모 된다. .
장비의 열악함을 체력과 정교함으로 넘어야 한다.
--------
요부분은 좀 아닌거 같은데.....
저는 엣지가 터지지 않기 위해 무게중심 발란스와 프레스에 엄청난 신경과 수많은 노력을 쏟아붓습니다.
매일 비디오 찍으며 연습하고....
엣지가 밀리는것을 장비때문이라고 하는건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벤딩이 프리스타일이 어렵다는것도 좀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저같은 경우 알파인 데크를 휘게 하기 위해서 온몸으로 체중이동을 하며 엄청난 체력소모로 쉽게 지칩니다.
프리스타일은 쉽게쉽게 휘게 할수 있었습니다만...

제가 조금 더 실력이 나아지면 생각이 바뀔수도 있는데....아직 어설픈 실력임에도 어리버리 글로 딴지 걸어서 죄송합니다.

론리보더 ~ ♪

2007.04.11 09:25:13
*.127.218.162

다운에 대해서 저랑 의견이 다르시네요
다운시에 가압은 충분히 발생합니다. 목욕탕 저울이나 기타등등을 거론할 필요도 없이
실제로 라이딩 해보면 다운시에 가압이 발생하는게 느껴집니다.

12시 엣지 체인지 1-2시에 -g(?) 와 원심력
이 상태에서 특히 다운에 의한 가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업 상태를 점프한 상태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듯합니다.
점프후 착지시에 우리몸은 지면으로 부터 힘을 받고
반대로 지면은 우리 몸으로부터 위치에너지에 의한 힘을 받습니다.

지면을 데크로 바꿔서 생각하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업-> 점프 (감압)
다운의 완료 -> 착지 (가압) -> 데크를 눌러줌

2시경에 다운자세를 완성한 후 엣지를 눌러 박아줍니다
그리고 그 자세에서 턴을 이어나감으로써 턴의 초반부 부터 강한 프레싱으로
데크를 말아줄 수고 있습니다.


위의 예는 본문 글의 반대 의견으로 든 일례에 지나지 않습니다.
강한 다운으로 저렇게 턴의 도입부에 엣지를 박아 넣는 경우도 있고
천천히 다운해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천천히 다운해 주는 경우는 턴의 중/후반부에 강한 엣지를 밀어 넣기에 좀 더 유용합니다)

물론 다운으로 가압이냐 감압이냐를 머리로 이해하기 보다는
몸으로 이해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몸 가벼운 사람이 보드도 잘 탄다는 말씀엔 120% 공감합니다!!!

스노보더

2007.04.11 09:46:02
*.113.5.45

음... 다운은 원운동에서 무게중심을 좀 더 밖에 두어 원심력을 크게 만들어서 엣지에 가해지는 압력을 높이는 것 아닌가요? 물론 다운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턴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업을 해줌으로써 더 압력을 줄 수는 있겠지만, 대체로 다운의 이유가 무게중심의 회전 반경을 더 크게 하기 위해서...로 알고있었는데..

스노보더

2007.04.11 09:52:02
*.113.5.45

여튼, 가압이 이루어지는 시점은 "다운이 완료된 상태"와 이후 "업을 해주는 과정"이라고 생각됩니다.

2007.04.11 12:19:16
*.159.199.171

-_-님 같은 굵기와 강도를 가진 철근을 휠때 긴 것보다는 짧은것이 더 휘기 힘들다는 얘기입니다.
모멘트 거리 이런얘기하면 골치 아프니까 ㅎㅎ
보드의 재질에 따라 휨의 정도가 다르니 사용해본 덱의 재질에따라 느낌이 틀리겠지요.

론리보더님 은 저하고 프레싱하는 타이밍도 같고 생각이 비슷한데 뭔가 어원에 대한 핀트가 않맞는 느낌이네요ㅎㅎ
스노보더님 여튼.. 제 생각과 같네요^^

제생각이 정답이다라고 얘기하는것은 아닙니다.
이런 토론을 읽으며 많은 보더들이 타종목에 비해 열악한 이론에 대해 점점 정립해 나가겠지 하는 바램입니다.

ㅡ_ㅡ;;

2007.04.11 12:33:20
*.96.167.254

공학도신갑네요. ^^
모멘트거리 아주 잘압니다. 탄성계수가 틀리지 않습니까^^
탄성계수가 크니 변위가 작고 크게 휘게할려면 많은 하중을 재하해야하고......
데크길이는 158과 168을 타보았습니다. 10센치니까 양끝단 5센치로 모멘트거리가 크게 늘어났다고 하시면 안되지요^^
알파인데크와 프리스타일 데크는 같은 강도가 아닙니다^^ 같은 변위로 데크를 휘게 할려면 5센치 모멘트거리보다 탄성계수차이가 더 커서 알파인쪽이 하중을 더 가해야 한다고 판단됩니다^^

보헤

2007.04.11 14:43:53
*.187.74.30

공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한 예로 시즌 후반에 설질이 아주 습설이라 흘러 내릴경우에 스로프 설질에 적응 하다보면
자세나 몸이 반응하여 다른 컨디션이나 모션을 보여주죠
그러다 갑자기 강추위로 그대로 얼어버리거나하면 주체를 못하는 상황이 되어버릴때가 있죠
그러다 바로 녹아서 또 적응못하고 또얼고 상당히 위험한 상태가 되더군요
오히려 전 강설을 좋아하는 스타일이며 에지사용이 훨씬 용이한 스타일을 구사하구요
시즌중반에는 거의 날아다니는 느낌인데 후반부로가면 빌빌 ㅡㅡ;
여기서 중요한건 감가압 에 따르는 호의 크기가 상당한 영향이 있다고 봅니다.
강도에 있어서는 너무 많은 모델이 있기는 하지만 동일한 조건에서 봤을때의 길이는 이점이 많기는하죠
하지만 둔해질수 있고 중심이동에있어서 약점이 생길수가있구요
알파인에대해서는 잘은 모르지만 분명 바인딩의 또는 부츠등의 구조에서 데크의 중심면에 비해 몸의 중심이
올라가는 형태의 구조라 생각됩니다 이것또한 중요한거구요
전 프리스타일이긴하지만 긴데크를 좋아 합니다. 거기다 중심도 조금 높이고 싶은마음도 줄곧 있었구요
어쨌든 짧은 데크로의 정확한 엣징이 이루어지려면 엥글 이전에 호의 크기나 모양을 만드는게 가장
중요하지 않나싶구요
짧은 데크로 긴데크의 호를 만든다면 결국 흐르듯 미끄러질수 밖에없구요
여기서 호라함은 데크가 휘었을때 데크의 호를 말하는것이구요 움직임의 자취의 호만을 말하는건 아니구요
결국 짧은 데크로서의 후벼파는 느낌의 라이딩 포지션을 취하게 되더군요
물론 나름의 재미는 있지만 상당한 지구력을 요하게 되구요
말씀하신것 과 같이 역동적인 운동이 없이는 컨트럴은 할수가 없게 되지요
활강하는 느낌이라면 또 다른 얘기가 될수는 있다 하더라두요
긴데크로의 운용은 단연 상대적으로 둔하다는 느낌이 들수 있지요
한자세로 좀더 오랜 시간을 유지해야 하는 점도 들수 있구요
그래서 짧고 긴것을 바꾸어 운용했을때 어색함 그이상의 버벅되는 증상이 나타 나더군요
하지만 결국 몸이 알아서 해결하는것이고
머리는 그것을 인지하게 되는거죠 그것이 머리 한켠에 기억이되고
어떤 데크의 길이던 반응을 하게되죠
륜외경이 작은 바이크와 큰 바이크 또는 자전거 역시 몸이 인지하고 머리가 기억하고
꾸준한 연습에 따르는 결과죠
거기에 기술이 합쳐질때 큰 효과가 나는것이구요
참 그리고 똑같은 재질이 아니더라도 긴데크를 변형시키기다 더쉽죠
그얘기 물체의 형태나 물질 자체의 변화에서는 역시 강도에 따른 결과겠지만
전체적인 외부에서의 힘의 운용에따른 형태 변화의 변형은 아무래도 긴쪽이 더 큽니다.

ㅡ_ㅡ;

2007.04.11 15:02:03
*.96.167.254

예^^ 말씀 잘 들었습니다.
비슷한 강성이라면 당연히 긴 데크가 변형시키기 쉽지요.
제가 하려던 말은.
첫째로 데크길이가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다. (제가 타던 158과 168의 경우)
둘째로 강성의 차이가 5센치의 길이보다 영향을 크게 미칠 정도로 강성이 크다.
이 두가지 입니다^^

펀보더

2007.04.11 18:59:08
*.232.28.7

장님과 론리보더님 사이의 이견은 혹시 중급턴과 상급턴의 가압 타이밍의 차이가 아닌가요?
제가 받아들이기에는 장님은 중경사에서의 중급턴을 말씀하신 것이고, 론리보더님은 급사에서의 상급턴을 언급한것으로 여깁니다.
아무튼, 플렉션과 익스텐션 과정의 역학적인 측면을 잘 분석해주셨네요.

헝글박코치

2007.04.12 02:07:27
*.143.8.109

카메라 가방들면 업다운은 절로~

감기중

2007.05.15 09:18:17
*.47.199.2

틀렸습니다...보드를 배우는 사람들에게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12시니 1시니 2시니 이런 표현을

쓰는것인데...정확하게 말하면 12시는 보드가 설면에 닿아있는 시간입니다.

엣지 체인징은 1시를 지나야 이루어집니다. 초보든 상급자든...

다운이란것은 간단하게 말해서 턴을 하는데 있어서 턴을 좀 더 용이하게 하기위해 원심력을 줄이기 위해

하는것입니다.

글구 상급자의 턴과 중급자의 턴은 엄연히 다릅니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의 이해를 높이기위해

좀더 쉽게 설명하면 턴이란것은 산(슬로프)를 안전하게 내려오기 위해 하는것입니다.

그럼 왜 턴의 종류가 나눠지느냐...슬로프의 경사도 눈의 설질에 따라 턴의 종류가 나눠집니다.

강설에서...파우더에서...슬러쉬에서의 턴의 종류와 방법은 나눠집니다.

그리고 턴의 크기도 달라집니다. 이렇게 다양한 눈위에서...경사도에서 산(슬로프)을 좀더 안정적으로

안전하게 내려오기 위해 턴을 합니다.

위에 분들...너무나 말들을 어렵게 하십니다...초보자들은 알아 듣질 못합니다...

많은 분들이 초보자슬로프에서...카빙이라구 생각하는 턴을 그리며 내려옵니다...

무리하게 몸의 기울기를 기울이면서....그러면서 말합니다..."내 엉덩이가 땅에 닿을것 같아...

나 죽이지??",,, 이런 행동들과 말은 턴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오는 것입니다.

라이딩시 엉덩이가 땅에 닿을것같이 몸의 기울기가 생기는 것은 그만큼 경사도가 가파르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것이지...완만한 경사에서 그렇게 타는것은 옳지 않습니다.

근데 우리들은 그렇게 타면 잘타는줄 압니다...

우리들은 다운이니 업이니...턴의 타이밍을 생각하기전에 왜 턴을 해야하며...턴은 이런것이구...

하는 것부터 알아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ㅋㅋㅋ 먼말인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기술(테크닉) 킥커진입시 바른 진입과 잘못된 진입 [30]

  • volcomsnow
  • 2007-06-26
  • 추천 수 -59
  • 조회 수 7843

기술(테크닉) 비시즌에 할수 있는 이미지 트레이닝 팁~~!!... [7]

  • volcomsnow
  • 2007-06-11
  • 추천 수 111
  • 조회 수 6232

기술(테크닉) 무릎 스티어링. [16]

기술(테크닉) 때늦은 칼럼 bs180 (알리널리) [27]

  • BusTa!!
  • 2007-05-01
  • 추천 수 59
  • 조회 수 8346

기술(테크닉) 업 다운 에 대한 생각들 [15]

  • 2007-04-10
  • 추천 수 69
  • 조회 수 5325

기술(테크닉) 그동안 느꼈던 점들... [52]

  • 2007-03-22
  • 추천 수 55
  • 조회 수 8293

기술(테크닉) 라이딩 스타일에 관한 이야기 [12]

기술(테크닉) fs 180 을 하고 싶으시다면 이렇게 연습해보... [29]

  • BusTa!!
  • 2007-03-05
  • 추천 수 108
  • 조회 수 9495

기술(테크닉) 페이키 을 하고 싶으시다면 이렇게 연습하자!! [37]

  • BusTa!!
  • 2007-02-27
  • 추천 수 73
  • 조회 수 11019

기술(테크닉) 널리 FS 360... 야스오처럼 뛰자~~ [35]

  • 쎄지~
  • 2007-02-17
  • 추천 수 45
  • 조회 수 10382

기술(테크닉) 안정적인 카빙턴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 [51]

기술(테크닉) FS 알리 540을 하고 싶으시다면 이것부터!!! [29]

  • BusTa!!
  • 2007-02-09
  • 추천 수 59
  • 조회 수 8650

기술(테크닉) 나의 숏턴 연습기와 노하우 [27]

  • 하이뷰
  • 2007-02-07
  • 추천 수 37
  • 조회 수 15660

기술(테크닉) 캡(cab)과 하프캡(half cab) [43]

기술(테크닉) 보드용어정리 [18]

  • 달팽
  • 2007-01-29
  • 추천 수 67
  • 조회 수 7286

기술(테크닉) 키커 들이대기..~(기초) [33]

  • 달팽
  • 2007-01-29
  • 추천 수 82
  • 조회 수 7412

기술(테크닉) 무릅을 접자 팍팍.~ [19]

  • 달팽
  • 2007-01-26
  • 추천 수 78
  • 조회 수 8142

기술(테크닉) 집에서 라벨 만들기~ [2]

  • 콜라
  • 2007-01-26
  • 추천 수 61
  • 조회 수 3522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에대한 고찰~~~(하프파이프 버티... [8]

  • volcomsnow
  • 2007-01-22
  • 추천 수 99
  • 조회 수 4416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잘타는 법 (좋은 스타일) [18]

  • 파우더~!
  • 2007-01-22
  • 추천 수 123
  • 조회 수 16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