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annypark.tistory.com/44http://dannypark.tistory.com/게시판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보드는 프리스타일이기  때문에 자세는 상관없다고 하시는 분들이 계시고 또 어떤 분들은 그래도 이왕 타는거 폼이 이뻐야 된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기본적인 자세가 좋지 않다면 정말 뛰어난 운동신경을 갖고 있지 않는 한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한계가 있고 스타일을 끌어내기도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 역시 제 블로그에 있는 글을 그대로 옮겨 온 것이므로 편의상 낮춤말로 되어 있음에 여러분들의 양해를 구합니다.
또한 블랙 바탕화면을 배경으로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보시는 데 불편할 수도 있음을 미리 알려 드립니다.
원문을 보시려면 링크의 제 블로그를 확인해 주세요.

다른 곳으로 퍼 가실만한 글은 아니지만 그래도 최근에 제가 올린 글을 무단으로 다른 곳에 실은 분이 계시다는 얘기를 지인으로 부터 들었습니다.
본문의 글과 본문에 사용한 사진은 모두 글쓴이가 직접 촬영한 것으로 비영리 용도로 사용하실 경우에만 가능하며 꼭 원 출처http://dannypark.tistory.com/ 를 꼭 밝혀 주시고, 쪽지로 올리실 사이트나 동호회 주소를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igo, f/s 720, blackcomb]

우리가 어떤 스포츠를 배울 때 강사들은 항상 좋은 자세에 대해 많이 언급을 한다.

물론 이것은 스노우보드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어깨를 닫아라, 뒷 손을 흔들지 마라, 무릎을 더 벌려라 등의 피드백을 강사 혹은 친구들로부터 종종 받게 되는데, 어느 순간 이런 말들이 짜증스럽게 들릴 때가 있다.


 


자세를 고치지 않아도 난 지금 재미있게 타고 있는데 왜 고치라 말라 참견일까?

행여 얘기해주는 사람마다 얘기가 다 다르기까지 한다면 그때부터는 그냥 귀를 막고 싶어진다.


 




[shu 로부터 자세 교정을 받고 있는 yusuke]

반대로 이런 경우도 있다.


줄기차게 자신의 자세에 대해서 피드백을 구하는 사람들이다. 제 폼 어때요? 자세 지적 부탁 드립니다. 등등근데 자세를 왜 고치려고 하냐고 물으면 단순히 자세가 예뻐야 멋있잖아요^^ 라고 말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냥 예쁜 자세 자체가 목적이 되면 뭔가 스포츠 보다는 패션에 가까워지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hitomi]


결론부터 말하면,



좋은 자세가 필요한 이유는


첫번째, 적은 노력으로 보다 나은 퍼포먼스를 끌어 내기 위해


두번째, 보다 나은 스타일을 만들기 위해



서이다.

물론 그 외에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오늘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 두 가지이다.


 




[inclination 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shu]

물론 좋은 자세=좋은 퍼포먼스 공식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좋은 자세에도 불구하고 파워나 밸런스, 리듬감이 떨어지면 결코 좋은 라이딩을 할 수 없고, 반대로 자세는 좋지 않음에도 타고난 운동신경으로 모든 것을 극복하고 퍼포먼스를 끌어 낼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타고난 운동신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극히 극소수이고 대부분은 좋은 자세가 기본이 되어야 더 나은 퍼포먼스를 발휘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좋은 자세라고 말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자세로,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끌어 낼 수 있는 자세를 말한다.


 



[eigo, f/s 360, blackcomb]

하지만 이에 대해 이런 의문을 제시할 수도 있다.


 


북미, 일본, 유럽 등 지역마다 기준으로 제시하는 자세가 다 다른데 그럼 어떤 게 맞는 건가요?


 


솔직히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다. 서로 다른 자세를 가지고 있음에도 다들 제대로 된 퍼포먼스를 끌어내는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디테일이 좀 다를 뿐 서로 중요하게 여기는 포인트는 일맥 상통한다. 예를 들어 빠르고 깊은 엣지가 날카로운 턴을 만들고 프레스를 얼마나 강하게 주느냐에 따라 턴의 사이즈가 달라진다는 등의 내용은 서로 차이가 없다.


 


다만 각 지역별 슬로프의 특징이라던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방향, 신체적인 차이 등 여러가지 다른 요소들이 결합하여 조금씩 서로 다르게 보이는 자세를 만들어 낸 게 아닌가 싶다. 그나마 최근에는 각 지역간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고 정보를 공유하면서 예전보다는 훨씬 비슷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듯하다.


 




[CASI level 2 시험을 보고 있는 수험생과 감독관, grouse Mt.]


본인이 보드를 타면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CASI 에서는 어깨를 닫고, 무릎을 벌리며 허리를 펴는 자세를 상당히 강조한다. 캐나다에는 경사가 가파르고 정설되지 않은 슬로프가 많고, 모글이나 파우더 등 험난한 지형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곳에서 안정된 라이딩을 하기 위해서는 stance & balance pressure control 이 굉장히 중요하다. 어깨를 닫고 무릎을 오므리게 되면 모글이 많은 코스에서 양 다리를 독립적이고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앞서 말한 표준 자세를 제시한 것이다.


 




[jin, grouse Mt.]


하지만 우리의 스키장처럼 경사가 완만하고 정설이 된 슬로프가 대부분이며 강설이 많은 경우 pressure control 보다는 오히려 edging 에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사실 경사가 완만하고 정설이 잘 된 슬로프에서는 어느 정도 어깨를 열고 무릎을 오므려도 다른 스킬들(특히 엣징)만 뒷받침 된다면 여전히 좋은 라이딩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unknown rider, blackcomb]



이번엔 스타일에 관해서 생각해 보자.

육상이나, 골프, 농구 같은 스포츠는 기록이 모든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종목에서도 자세는 항상 중요하게 다뤄지지만, 폼이 좋지 않은 어떤 선수가 만약 육상에서 100미터를 9초 5에 뛰고, 골프에서 매번 최저 타수를 기록하며, 농구에서 경기당 40 점씩 넣는다면 아무도 그의 폼에 대해서 고치란 말을 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그의 폼을 연구하는 게 더 나을 것이다.


 




[unknown rider, whistler showdown]


하지만 스노우보드는 약간 성격이 다르다. 기록을 재는 알파인 경기에서는 퍼포먼스에 더 중점을 둔다면 프리스타일에서는 퍼포먼스 뿐만 아니라 스타일도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왜 좋은 자세가 더 스타일 있게 보이는 걸까? 답은 간단하다 앞서 말했듯이 좋은 자세란 균형잡힌 자세이기 때문이다. 벽에 걸린 액자가 똑바로 걸려 있으면 보는 이의 눈도 편하다. 하지만 액자가 조금이라도 삐뚤어져 있으면 액자가 떨어지지 않는 다는 것을 알면서도 우리의 눈은 곧 불편함을 느낀다.


 


스노우보드에서 말하는 좋은 자세도 마찬가지이다. 똑같은 360를 한다 해도 군더더기 없이 간결한 동작으로 돌리는 것과, 팔을 휘저으며 돌리는 것을 비교해보면 전자가 더 스타일 있게 느껴진다. 기본적으로 손가락 하나하나까지 모두 콘트롤할 수 있을 때 더 나아가 정석 이상의 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wvsc kids, blackcomb]


물론 정답은 없다.


 


자신이 원하는 라이딩 스타일을 이미 찾았다면, 혹은 지금 타고 있는 슬로프에서 전혀 문제 없이 안정된 라이딩을 하고 있고, 굳이 더 급경사나 험한 코스를 가고 싶지 않다면 굳이 자신의 자세나 스타일에 대해서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보드는 결국 프리스타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뭔가 더 잘 타고 싶고, 좀 더 다양한 슬로프를 타기를 원하고, 쫌 더해 스타일리쉬하게 라이딩을 하고 싶다면 먼저 좋은 자세를 갖는 데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엮인글 :

모리와화요일

2008.12.24 11:29:25
*.124.124.12

아~ 같은생각을 가지신분을 보니~ 반갑네요~ 너무 자세에 집착하는건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좋은글 읽고 같니다~ 안전보딩이요~

CoolRin

2008.12.24 11:41:04
*.200.12.67

항상 좋은글 잘 보고 갑니다~^^

니이케

2008.12.24 11:43:11
*.121.88.91

^^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제 주변의 경우를 봤을때에도, 좋은 자세를 가진 사람이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또한 뛰어난 것 같습니다.

™판때기보더

2008.12.24 12:04:34
*.36.88.61

너무 많은 것을 자주 도움만 받고 있네요..

좋은 글 항상 감사드리고 담에 기회가 된다면 원포인트 하나 가르쳐 주세요..ㅎㅎ

지나가다

2008.12.24 12:41:05
*.248.234.25

결론은 평생 초급슬로프에서만 탈꺼라면 자세 신경쓸 필요없다.
사고나지 말고 가늘고 길게 타라~!
상급으로 갈려면 자세에 대해서 신경을 써라
확대해석하면
헝글 동영상에서 초급 중급슬로프에서는 "자세 좀 봐주세요"란 의미없다.
중상급 이상 슬로프에서 "자세 좀 봐주세요" 해도 된다..?
뭐 이런 뜻인가요?

Nikki

2008.12.24 14:05:45
*.253.57.37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모든 자세에는 스탠다드가 있고.. 그것을 먼저 익힌뒤 자신만의 자세를 찾아 나가는게 가장 빠르고 쉬운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비단 스포츠 뿐 아니라 악기연주 같은 것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따라올수있겠네

2008.12.24 14:05:48
*.183.134.127

'') 너무 확대 하신듯 ^^
다른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자신만의 라이딩을 같기 전에
기초를 탄탄히 해야된다고 말씀하신거 같은데요 ^^
가슴속 답답한 부분 풀고가네요 ^^

Nikki

2008.12.24 15:14:38
*.253.57.37

") 악기연주에도 좋은 자세라는게 있지요.. 스탠다드라 여겨지는.. 이전에 많은 사람들의 연구에 의해서 하나의 폼으로 정해진..

물론 그렇지 않은 자세로도 잘 연주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소수일 뿐이죠...

개인적으로 옳지 않은 폼 내지는 샛길로 빠졌다가 다시 스탠다드로 돌아온 뼈아픈 경험이 있기 때문에.. 님이 생각하는 확대해석을 한듯도 합니다 ^^

제 요지는 그저 좋은 자세가 더욱 빠른 실력향상을 가져올수 있다는 얘기였습니다.

히로강군

2008.12.24 15:27:36
*.238.47.117

'') 따라올수있겠네 님은 그 위의 지나가다 님에게 남긴 글 같네요 ^^

똘레랑스

2008.12.24 15:43:25
*.221.238.213

기본 자세...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요소입니다.
하지만.
나름 타게되면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가는겁니다.물론 항상 더 나은 곳을 향해서 개선해야함은 당연한 것이구요.
지나친 자세 타령은 재미를 줄일 수 있구요. 획일화 뭐 이런 느낌도 옵니다.

스키에선 전형적인 어떤 자세가 있어요...그 것에서 좀만 벗어나도 참 보기 흉하죠.
하지만 제가 보딩을 더 좋아하는 것은 자유로움 때문입니다.
주위에서 봅니다...자세에 집착한 보더와 자신의 멋을 찾아서 재밌게 타는 보더...나중엔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은 넘이 더 낫습니다.제 주위에선 그렇습니다.

또 지나가다

2008.12.24 18:29:41
*.248.234.25

누구나 자유롭게 타고싶죠
그래서 자세를 연구합니다. 저도 그런쪽에 속하지만..
가끔씩 준프로급 이상의 보더들이 어쩌다가 동영상 게시판에 올라오죠..
저도 그렇게 타볼라고 합니다.
하지만 상급슬로프.가령 용평 레인보우,실버같이 모글이 바글바글데는곳에서 왜 성우 브라보처럼 타지 못하는걸까..
늘 고심하죠..보드는 재미있게 타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상급에서도 재미있게 탈려면 우선 편안하게 타야죠..
그래야 재미가 느껴지지 않겄습니까?
슬라이딩턴, 롱턴, 숏턴, 리바운드 이용한 턴, 다운언웨이팅턴..모두 골고구 구사하면 참 좋을텐데..
뭐 선수로 나갈것도 아니고..그래도 필살기 한두개정도는 있어야 모든 슬로프에서 자유롭게 탈텐데요..ㅋㅋ
위에 리플단건 약간 비틀어서 리플을 단거니..이해하실거라 생각하고..
그 정석의 소중함을 아는 보더들이 몇명이나 될까..
리프트위에서 몇턴하다가 속도감당하지 못해서..급정거하는 보더들..모글많다고 투덜데는 보더들..아이스 많다고 투덜데는
보더들..그리고 아직도 엣징이 박히지 않는다고 투덜데는 보더들을 보면서 분득 생각해 봤습니다.
정석을 배운다는건 그런거 같아요..
데크에 끌려다니다가 데크를 지배하다가..슬로프에 끌려다니다가..슬로프를 지배하다가 그리고 슬로프와 한몸에 되는 과정인거 같습니다.
수고하세요..

구피앤레귤

2008.12.24 20:04:44
*.110.33.203

공감가는 멋진 칼럼... 이번에도 잘 읽고 갑니다..^^

따라올수있겠네

2008.12.24 21:58:13
*.240.146.184

nikki 님 시간을 보셔요 ㅎㅎ 3초차이네요 ^^

수프라킴

2008.12.24 23:26:31
*.183.62.181

잘읽고 갑니다~~ ^0^

Nikki

2008.12.24 23:41:55
*.166.192.27

따라올수있겠네님 제가 오해를 한 듯 하네요;; 안전보딩하세요 ^^;;

Bashu

2008.12.25 01:47:32
*.168.29.107

정말 잘 타고 싶어서 자세 따지는데 힘들어요..ㅠ.ㅠ

봐줄 사람도 없고..ㅠ.ㅠ

관광보더™

2008.12.25 20:24:21
*.153.34.185

7번째 사진은 어떻게 찍는 건가요?

아테

2008.12.26 20:51:34
*.235.74.88

기본이 되면 초급,중급, 상급도 다 탈수 있다고 들었어요.
아직 초급이지만 기본을 중시하면 열심히 연습합니다.
그러면 언제가 두려움도 없어지고 중급, 상급도 똑같은 기본턴이되겠죠. ㅋㅋ

가루

2008.12.26 22:19:28
*.29.101.57

정석을 배운다는건 그런거 같아요..
데크에 끌려다니다가 데크를 지배하다가..슬로프에 끌려다니다가..슬로프를 지배하다가 그리고 슬로프와 한몸에 되는 과정인거 같습니다.
수고하세요..
ㅡ>리플중에 요고 완전 공감되네요 ㅎㅎ

근데 사진중에 라이딩 사진을 저런 느낌으로 어찌 찍을수 있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

오리보트참새

2008.12.27 02:09:48
*.135.157.177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글 좀 퍼가겠습니다! 출처는 밝히겠습니다!^^:

토이독

2008.12.27 05:36:57
*.232.214.247

걷는 것도 사람마다 다르지만 기본은 있기마련. 기본을 해야 축구도 농구도 즐길 수 있겠죠.

열혈보더♨

2008.12.27 20:41:49
*.64.163.195

칼럼 잘 보고 갑니다

Lunatrix

2008.12.29 00:18:57
*.166.208.203

본문중에 이대목...참 공감 네요.ㅋㅋ

'행여 얘기해주는 사람마다 얘기가 다 다르기까지 한다면 그때부터는 그냥 귀를 막고 싶어진다.'

레메

2008.12.29 03:04:02
*.172.25.189

grindays님 지난 주말 휘닉스에서의 라이딩 즐거웠습니다.
칼럼도 잘 봤습니다~^-^

바람돌이

2008.12.31 18:16:34
*.255.230.153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대명깔짝이

2009.01.03 13:27:17
*.141.104.83

좋은내용 담아갈께요~^ ^

찌질이

2009.01.09 02:02:13
*.234.99.98

ㅋㅋ 쩜퍼가여...지산보스그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349 기술(테크닉) 보드 용어들.. [21] 달팽 2009-03-02 117 9689
348 기술(테크닉) 어깨가 열고 닫힘이란 무엇인가~~~?? [17] volcomsnow 2010-01-24 28 9671
347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5.그리는 턴 file [23] Lunatrix 2017-02-11 55 9594
346 기술(테크닉) 뻙큐멘터리2 - 힐턴편(당신의 상체는 안녕하... file [13] 작살러버 2015-02-11 10 9576
345 기술(테크닉) 카빙시 체중이동 1석2조 Tip [3] 심훈Film 2017-06-08 21 9571
344 기술(테크닉) fs 180 을 하고 싶으시다면 이렇게 연습해보... [29] BusTa!! 2007-03-05 108 9495
343 기술(테크닉) 2% 부족한 카빙어(?)에게 보내는 제언 [31] A.J.Kuhn 2008-12-09 51 9452
342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2. 행동 file [9] Lunatrix 2014-01-22 18 9227
341 기술(테크닉) 안정적인 카빙턴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 [51] Only_Riding 2007-02-17 28 9222
340 기술(테크닉) 최정상 슬로프 정복하기(초보보더님들을 위... [28] 선구자주백통 2006-11-17 17 9221
339 기술(테크닉) 카빙턴에대한 생각 file [63] AKaSH 2006-12-19 16 9206
» 기술(테크닉) 좋은 자세가 필요한 이유 [27] grindays 2008-12-24 64 9193
337 기술(테크닉) 가압(엣징)을 잘하기 위한 두가지 팁 [37] 한자아이디 ... 2007-12-26 23 9132
336 기술(테크닉) 테크니컬 라이딩을 배우면서 끄적여 본 글 [29] 알꺼업서 2017-12-31 19 9119
335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3 "스위치는 이렇게 연습해 보... [13] grindays 2014-10-29 16 9078
334 기술(테크닉) 웨이팅(weighting)과 언웨이팅(unweighting) [45] 문박사 2010-01-13 29 9049
333 기술(테크닉) 덕풋에서 벗어나서 레벨업 합시다. [42] Gatsby 2008-01-29 48 8993
332 기술(테크닉) 턴의 계기... [19] 날아라가스~!! 2008-03-05 105 8961
331 기술(테크닉) 어드밴스트 슬라이딩턴을 위한 주말보더의 ... [12] 젠틀보더 2009-02-02 54 8935
330 기술(테크닉) 서서 바인딩 채우는 노하우 [31] 포엑스 2008-01-03 37 8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