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초보에서 중급자로 가기위한 걸림돌”이란 제목의 칼럼을 쓰고 좋은 의견 많이 주셔서 이렇게 2탄을 써봅니다.
필자는 올해 6년차 보더로서, 평일은 양지를 베이스로 주말은 오투를 베이스로 열심히 보딩하고 있고, 안산의 “설풍”
동호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건장한 청년입니다.

2009년 2월에 WSF 레벨 1 강사 자격증을 취득하였습니다. 강사 자격증을 따기 전에 강습자를 가르치던 방식과 강사가 된
이후에 가르치는 방법이 많이 달라진 것을 본인도 느끼게 되었습니다. 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들이 중요하게
발견되는 사항이 많았습니다.
이 칼럼은 필자가 초보 및 중급자를 강습하면서 필자의 경험과 강사교본을 참고하였습니다.
강습을 해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길잡이가 되었으면 하는 취지에서 글을 적게되었습니다.
이글의 내용은 필자 개인의 생각과 WSF교본에 나와있는 내용들을 적절하게 인용하였습니다.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은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보더들은 지인들에 의해 보딩(boarding)을 배우는 게 현실입니다. 하지만,
어떻게 강습을 받느냐에 따라 보더의 능률은 현격한 차이가 난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럼 강습을 하기를 원하시는 분들에게 중요한 사항은 무엇일까요?

가장 필요한 조건을 뽑는다면 티칭(teaching)능력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분명히 라이딩(riding)능력과 티칭능력은 엄연히 다릅니다.
내가 아무리 프로보더라고 하더라도 내가 알고 있는 기술을 타인에게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것은 분명히 힘듦니다.
물론 개인적인 차이를 보이겠지만, 몇가지만 명심한다면 자신의 티칭능력을 좀 더 뽐내실 수 있습니다.

그럼 티칭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일까요?

첫째, 가장 중요한 것은 쾌적한 강습을 위한 장소를 선정하는 것입니다.

강습을 하기를 원하는 분들을 강습을 하기 전에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사항은 교육대상자가 바로 보드를 처음 접해보는
초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보드는 경사진 사면을 미끌어져 내려오면서 즐기는 스포츠입니다.
자전거나 인라인처럼 평지에서는 즐길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강습을 위해서는 경사면 위에 서야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초보보더를 경사면으로 유인해서는 안됩니다. 그건 아주 위험한 발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는
심각한 부상을 당할 수도 있고, 보딩에 대한 흥미를 잃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보딩은 양발을 보드(board)위의 바인딩(binding)에
결합해서 즐기는 스포츠로서 양발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눈 위에서 즐기는 어느 스포츠보다 시작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을 극복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처음에 평지에서 강습을 시작하시면 됩니다. 마땅한 평지가 없다면
가장 경사가 약한 슬로프를 이용하세요. 대부분의 초보보더들은 평지에서는 두려움이 덜 느끼게 됩니다. 평지에서 한발로
스케이팅(skating)을 시켜보고 보딩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한 뒤 두발을 다 바인딩과 결합시켜 평지에서 뛰어도 보고,
토우에지(toe edge)도 잡아보고, 힐에지(hill edge)도 잡아보게 시킵니다. 처음이라 서투를 수 있지만 대부분은 어렵지 않게
균형을 잡고, 뛰어도 보고, 움직여도 보고 하게 될 것 입니다. 긴시간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10 ~ 20분 정도면 충분합니다.
평지에서 한발 스케이팅, 바인딩을 채운상태에서 일어서기, 제자리 뛰어보기, 회전하며 뛰기(플라워 만들기) 등등을 시켜본다면
이미 이 초보보더는 보딩에대한 두려움은 사라졌을 겁니다.

그 다음은 강습자에게 가장 집중력있게 설명할 수 있는 장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가장 피해야할 장소는 스피커 주변, 리프트 주변입니다.
스피커주변에 있으면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이나 기타 소리 때문에 강습자는 여러분이 말하는 소리에 집중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강습능률도 떨어지게 됩니다. 리프트 주변은 강습자가 리프트를 타고 올라가는 사람에게 시선을 빼앗기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제일 좋은 장소는 라이더가 별로 없는 한적한 장소가 좋습니다. 되도록이면 조용한 장소가 적당합니다. 주변에
라이더가 많아도 강습자의 시선을 빼앗길 수 있습니다. 강습하는 사람이 설명하는 말을 최대한 능률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강습자의
시선과 집중력을 빼앗기지 않는 최적의 장소를 선택하세요.

두 번째, 초보강습을 위해 중요한 사항은 강사가 강습자에게 정확한 데몬(demonstrator)을 보여야 합니다.

강사가 말로써 “이렇게 이렇게 하면 됩니다”라고 설명한 후에 한번 해보세여라고 강습자에게 말하면 그 강습자는 아주 당황하게 됩니다.
한번도 본적이 없는 자세를 취하라는 것이 나 마찬가지입니다. 강습은 항상 말로 설명한 후에 강사가 정확한 데몬을 보여줘야 합니다.
그럼 강습자는 강사의 자세를 보고 그 자세와 같이 만들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초보분들을 가르치는 사람 중에
자세가 좋지 않은 사람에게 배운 강습자는 그 강사의 자세와 비슷한 자세로 라이딩을 하는 것을 많이 목격할 수 있었습니다.
그만큼 강사의 데몬은 중요한 기본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니 강습을 하고 싶은 분들은 강습하기에 앞서 자신이 얼마나 정확한 데몬을
보여줄 수 있는지를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무턱대고 “그냥 가르치면 돼!”라는 사고방식은 버리시기 바랍니다. 아직도 느끼고 있는
사실이지만 베이직턴(basic turn)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베이직턴의 데몬을 연습하기위해서 부단한 노력을 했었습니다.

세 번째, 잘못된 자세를 반드시 고쳐주어라.

강사가 자세한 설명과 정확한 데몬을 보여주었다고 하더라도 강습자는 그 자세를 한번에 익히기는 힘듦니다. 여기서 강습자의
개개인의 습득능력이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자세를 제대로 익히지도 않았는데 다음 자세를 가르치게 된다면
강습자는 이전에 배운 자세도 그리고 새롭게 설명한 자세도 취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진도는 진도대로 강습은 강습대로
진행되어 효과적인 강습이 될 수 없습니다. 강사가 설명한 자세를 충분히 익힌 뒤에 다음 진도를 나가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한번에 여러 가지 지적을 하시면 안됩니다. 한번에 1~2개 정도의 자세를 지적하셔야 강습자가 쉽게 고칠수 있습니다.
한번에 여러 가지를 지적하게 되면 강습자 자신도 아주 혼란스러워 여러개중 1개도 제대로 고칠수 없게 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면 진도보다는 교정을 우선해서 강습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강습하기를 원하는 분들이 알아야 할 사항에 대해서 필자의 경험에 의한 것과 교본을 참고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위에서 말한 사항들에 대해서 유념하면서 강습을 진행하신다면 좀 더 능률 높은 강습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강습의 순서는 다루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다른 분들의 칼럼에서 강습하는 순서가 나와 있으니 참고 하시면 됩니다.
엮인글 :

곰돌군

2009.12.08 10:46:52
*.136.153.31

티칭능력.. 글좀 한줄씩 띄어쓰기라 좀 해주시지... 너무 붙어 있어서.. 읽기가..

엔터 한번 더 쳐주시면서 쓰셧다면...

좋은글 감사..


┓푸른바다┏

2009.12.08 11:10:30
*.207.214.132

아.. 한글문서로 작업한 파일이라 붙여넣기 하니 긴 장글이 되었네요.. 읽기 쉽게 다시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브아솔

2009.12.08 13:02:55
*.152.139.26

호.. 좋은글 ㄳㄳ

전격S작전

2009.12.08 14:54:53
*.67.73.33

공감가는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질문) 제가 잘타지도 잘 가르치지도 못하지만 가끔 회사 동료나 친구들 데려왔을때
3~5명 정도 많은 친구들을 한꺼번에 가르켜야 할때 좋은 tip 하나 없나요?
1명은 어케 되겠는데 여러명이면 습득 능력이 다 제각각이라 좀 어렵던데요

뽕파이프

2009.12.08 15:11:24
*.183.233.121

좋은 글이네요 ㅎㅎ

┓푸른바다┏

2009.12.08 15:59:23
*.207.214.132

전격s작전// 1명이나 5명이나 강습하는 방법은 똑같습니다.
습득이 느린 강습자를 좀더 신경쓰셔서 좀더 많이 잡아주시고
그중에 제일 나은분의 자세를 지적하면서 다른 강습자에게 설명하시면
데몬을 직접 안보이셔도 될것 같습니다.
일단 틀린부분을 잡아주는것이 중요합니다.

JESUS

2009.12.08 16:56:07
*.57.153.90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다음주 강습 예정 되어 있는데 참고 할게요^^

Ricky

2009.12.08 18:00:41
*.138.53.209

좋은정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경상도짝귀

2009.12.08 22:00:49
*.249.42.176

좋은정보 입니다... 공감 합니다...

Mr.킴

2009.12.08 23:41:43
*.237.216.163

좋은칼럼이네요.^^@@

필뽕♬

2009.12.09 00:30:18
*.234.149.56

좋은글 잘읽고가요~ 마니 느끼고 갑니다 ^^

뚱초

2009.12.09 00:38:23
*.121.128.91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혹씨 와이프 강습하는 비법같은건 없나요?? ㅡㅡ;
당췌 제가 한가지만 지적해도(ex:시선을 좀 멀리줘봐, 풍경 구경하듯이~~~) 난리 납니다.... 그나마 제일 간곡한 표현을 써도 마찬가지...ㅡㅡ;
와이프왈~ 운전과 보드는 남편이 가르치면 쌈난다~!!! 이러던데.. ㅡㅡ; 아... 이제 혼자 타는게 넘 지겨운데...
강사를 믿지 못하는 강습생을 어찌해야 할지요? ㅡㅡ;

플라잉권

2009.12.09 00:46:12
*.224.142.76

정확한 데몬이라.. 역시 어설픈 실력으로 섣불리 초보를 가르치면 안되겠네요..

ㅎㅎ

2009.12.09 01:52:34
*.247.30.67

베이직 턴이 가장 힘들다는 글에서 공감 한 표~~
강습 해줄 때 베이직 턴 시범 보여주는게 어찌나 힘든지..
넘어져서 쪽팔림 당하는건 아닌지..등등..ㅜㅜ
중상급에선 씽씽 잘 내려오는데 초급 슬롭에서 베이직 턴 시범 보여주는게 왜이리 힘든건지..
저의 내공이 아직 부족 한가 봅니다..ㅜㅜ

고타나

2009.12.09 09:18:23
*.123.1.130

실제 WSF 검정때 보면 응시자의 대부분이 베이직턴을 잘 하지 못합니다. 처음 들어와서 어느정도 연습을 해야 비교적 정확한 데몬이 가능하지요.
그만큼 베이직턴은 어렵고 라이딩에 익숙해진 사람에겐 몸이 잃어버리는 턴입니다.
하지만 강습으로 먹고 사는 사람이라면 모를까, 일반인들은 100% 정확한 베이직턴을 보여주지는 않아도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느정도의 자세를 보여주면 되는거니까요.. 여튼......... 베이직턴은 어려운턴중 하나입니다 ^^;

초속 5센티미터

2009.12.09 11:01:32
*.153.20.75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가끔 처음 타는 분들 가르쳐 주는 경우가 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지나다

2009.12.09 19:05:25
*.14.23.163

추천 한 방....

┓푸른바다┏

2009.12.10 10:18:12
*.217.32.194

뚱초// 아마도 강사를 강사로 생각하지 않아서 인거 같네요 ㅋ.
연인이나 부부끼리 강습할때에 가장 좋은건 당근과 채찍이죠..

뭔가 성취할때 타이틀을 걸어보세여...

가령 네가 베이직턴까지 마스터하면 내가 보드복 이쁜거 사줄께!!!

이런거? ㅋ

2009.12.11 14:10:34
*.163.190.90

좋은글 감사합니다^^
전 아직 강습자 입장이지만
강사자(!)입장이 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네요...

micmic

2009.12.11 17:45:40
*.94.174.21

귀에 속속 들어오네요~좋은정보 감사합니당.

바닥보더

2009.12.13 09:23:03
*.60.104.53

좋은 정보 감사 뚱초님 걍 강습 끊어주세요 그래여 돈 아까워서라도 잘 배웁니다
여친이나 마눌님 삐지면 일주일이 힘듭니다 ㅎㅎㅎ

...

2009.12.15 10:25:31
*.143.183.24

좋은 칼럼 잘읽고 갑니다!

貧困[빈곤]

2009.12.19 15:41:05
*.247.144.147

그 어떤 프로그렘과 강사라도..

보드 첫경험+배나온 사람 가르치는건 답이 없다는;;

일어나기가 안되니 진도가 안나가효;;;

채드

2009.12.21 17:07:47
*.94.41.89

저도 한 3~4년 강습위주로 보딩을 하고 있습니다만
하면서 느끼는 것중의 하나가 단계별로 차근차근 학습을 시켜야 한다는 겁니다.

보딩 기술의 습득과정을 스탠스->포지션->밸런스->엣지조작->... 등의 단계로 발전한다고 했을때 어느 단계에서그 이상 상급 기술의 습득이 어려운 이유를 저는 낮은 단계의 기술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라고 판단하고 싶습니다.
즉, 기술의 습득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초보 강습을 할때 이부분에 대해서도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간혹, 낙엽이나 베이직턴이 가능하다고해서 그 중간 과정은 생략한채 상급 기술을 익힐려는 경우를 본적이 있습니다.

랜덤랜딩

2009.12.23 13:58:01
*.173.181.94

베이지건좀 효율적으로 가르쳐주고 싶네요...

그녀석

2009.12.31 08:52:36
*.228.173.40

모든 강사분들이 이걸 알고 있어야 할텐데.....

이지스

2010.01.09 01:09:37
*.87.61.113

머리속에 항상 담아두어야할 좋은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369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그림으로 보는 BS180의 기초... file [25] 가고일~* 2011-10-25 7 10502
368 기술(테크닉) 관성, 구심력, 원심력 그리고 스노보드 file [25] 문박사 2010-02-21 46 10497
367 기술(테크닉) 하프를 잘 타고 싶나? [70] Dr.kimcarving 2007-11-12 38 10434
366 기술(테크닉) 턴 카빙 쉽게 다가 가기 ㅡㅡ [10] 상계동 랩퍼 2006-11-26 98 10404
365 기술(테크닉) 어드밴스트 슬라이딩 턴 [24] 펀보더 2008-01-01 19 10398
364 기술(테크닉) 널리 FS 360... 야스오처럼 뛰자~~ [35] 쎄지~ 2007-02-17 45 10382
363 기술(테크닉) 그랩을쉽게 하는 방법~~~! (부제 정확한 팝) [24] volcomsnow 2009-12-09 63 10312
362 기술(테크닉) 크로스 언더 기술에 관한 글 (동영상 포함) [28] leeho730 2008-05-14 125 10245
361 기술(테크닉) 제대로된 카빙을 하시나요? [64] 카빙 2005-12-06 13 10228
360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잘 타는 법 (좋은 스타일) [23] 사몽 2003-10-19 68 10179
359 기술(테크닉) 초보자를 위한 업다운 무브먼트 [11] 안가르쳐줘 2009-06-02 110 10166
358 기술(테크닉) [jayson]spin 트릭.. 180, 360, 540, 720, 9... [5] 오종선[jayson] 2002-01-15 90 10021
357 기술(테크닉) [한줄팁] 토턴시 자세 [11] 소리조각 2016-01-22 14 9957
» 기술(테크닉) 초보를 강습하기전에 고려해야할 사항 [27] ┓푸른바다┏ 2009-12-08 49 9948
355 기술(테크닉) [동관이]그라운드 트릭을 하구 싶어? [41] 동관이 2002-11-25 24 9924
354 기술(테크닉) 전향으로 타시는 분들 참고 하시면 좋을 듯 ... [7] 나모나모 2017-01-25 15 9916
353 기술(테크닉) 업다운과 프레셔 컨트롤 2 (부제: 업다운은 ... [42] Lunatrix 2006-09-03 39 9907
352 기술(테크닉) 간단한 '토션'의 원리와 사용법 [22] Jake! 2015-10-26 21 9875
351 기술(테크닉) 누군가를 강습해줘야 한다.. 어떻게 해야할까?! [20] 고타나 2009-01-15 94 9867
350 기술(테크닉) 카빙시 가속방법 [53] 매서운 2006-11-10 22 9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