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데 퍼온거없이 손수 워드 다친겁니다 손가락마비 될거같음..

1.자기소개(간략하게3분정도)
반갑습니다 오늘 여러분들 강습을맡은 스노우보드강사 000입니다

2.준비운동
부상을 방지하기위해서 머리부터 발목까지 또는 발목에서 머리까지 몸을 풀어준다

3.장비설명
보드를 들고 집어가면서 설명한다 먼저 크게3개로 나뉘는데 데크는 설면에 닿는 이판데기를 데크라고한다 바인딩은 데크와 부츠를 연결시켜주는 역활을한다 부츠 가있다 먼저 데크에는 앞부분을 코랑 가까이있다해서 노즈 뒷부분을 꼬리부분이라해서 테일 이라하며 설면에 닿는 바닥부분을 베이스라한다 베이스 양쪽옆에 쇠가 붙어있는데 이것을 엣지라고한다 엣지는 발뒤꿈치쪽에 있는 엣지를 힐엣지 발가락쪽에 있는 엣지를 토우엣지라한다
바인딩은 뒷쭉에 발뒤꿈치를 받혀주는 하이벡이 있고 발목을잡아주는 엥클스트랩 발가락을 잡아주는 토우스트랩이 있다 부츠는 발목이 움직이지않도록 꽉묵어서 정검해준다

4.넘어지기(시범)
넘어지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뒤로 넘어지기와 앞으로 넘어지기가있는데
먼저 뒤로 넘어질때는 엉덩이 등 순서로 넘어지면서 머리가 닿지않게 머리를들어 시선을 자기 배꼽쪽으로 둔다 다리역시 지면에 닿지않도록 들어준다앞으로 넘어질때는 손끝부터 슬라이딩하듯이 쭉넘어지고 고개를 들고 다리역시 들어준다

5.(BBP(basic body position)-균형있는 몸의자세
bbp는 보드를 타기위해 가장기본적이고 안정적인 자세이다
자신의 스탠스 넓이로 벌리고 발목과 무릎 엉덩이 부분을 약간구부린다
이때 허리가 숙여지면 않되며 시선은 진행방향쪽으로 봐주며 시선을 아래로 떨어트리면않된다 강습시 자세를 보여주고 강습생의 자세를 바로 잡아준다

6.워킹.스케이팅(시범.보드착용법설명)
워킹과 스케이팅은 보드를 진행발만 채우고 리프트로 이동시 사용되는 기술이다 워킹은 천천히이동시사용 스케이팅은 워킹보다 쫌더 빠른속도로 이동할때 사용된다 이때 진행발은 레귤러와 구피 두가지로 나눠지는데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는 왼발이 진행발인 레귤러  왼손잡이는 오른발이 진행발인 구피로 나눠진다 먼저 워킹은 진행발만 바인딩을 채운다 이때 바인딩 채우는 법도 설명한다 바인딩은 먼저 하이백을 끝까지 펼치고 발을 바인딩에 넣는다
뒤꿈치를 하이백에 완전 밀착시키고 먼저 발목을 잡아주는 앵클스트랩을 채우고 다음으로 발가락을 잡아주는 토우스트랩을 채워준다
바인딩을 다착용하였으면 BBP 자세를 취하고 먼저 워킹은 엣지를 세워주고 진행발과 반대발을 한발씩한발씩 이동한다 이때 강습생의 bbp 자세가 유지되도록한다
다음으로 스케이팅은 마찬가지로 날을 세우고우고 보드를 설명에 붙인상태에서 오른발을 진행발과 뒷바인딩 사이로 쭉쭉 밀어줘서 앞으로 이동한다
이때 마찬가지로 bbp자세가 유지되어야한다


7.climbing
climbing은 비니나 고글등 개인물품이 경사면 윗쪽에 떨어지고 몸은 아래쪽에 있는 상태에서 진행발만 착용하고 한발씩 디디며 올라가는 기술이다
climbing은 먼저 bbp자세를 잡고 진행발을아레쪽 반대발을 위쪽에두고 토우엣지와 폴라인이 수직이되게 엣지를 새워준다 (*폴라인:경사면에서 공을굴렸을때 굴러내려가는 방향을 말한다) 그리고 한발씩 한발씩 디디며 경사면을 올라간다

8.스트레이트 러닝
스트레이트 러닝은 리프트하차시 쓰는기술이다 진행발만 바인딩을 착용하고 완경사에서 반대발을 한번 밀어주고 반대발을 덱페드나 뒷바인딩 앞쪽에 밀착시키고 내려온다 이때 BBP자세를 유지하고 시선은 내려가는 방향쪽으로 향한다  


9.토우&힐 드레그
드레그라는 기술은 앞에서 배운 스트레이트 러닝 실행후 멈출때 쓰는기술이며 토우 힐두가지고 있다 먼저 힐드레그는 스트레이트 러닝 사이에서 BBP를 유지하고 데크위에 올려저있는 발을 반쯤 힐엣지쪽으로 뒤로 빼서 브레이크를 잡듯이 설면을 지그시 눌러준다 이때 데크는 힐엣지를 축으로 돌아간다 토우드레그도 마찬가지로 토우쪽으로 앞으로 반쯤뺴서 지긋이눌러주고 이때 데크는 토우엣지를 축으로 돌게된다
드레그를 할때 주의 사항은 항상 BBP자세가유지되어있어야한다 발을빼면서 BBP자세가 흩으러지거나 시선을 자기발쪽으로 봐선 않된다

10.사이드슬립.일어서기
사이드슬립은 엣지감각을 익히고 멈추는 방법을 배우기위한기술이다
사이드슬립은 힐엣지를 사용하는 힐사이드슬립과 토우엣지를 사용하는
토우사이드슬립두가지가있다 사이드슬립을 가르칠때는 약간 경사가 있는
곳으로 이동해서 가르친다 여기서 사이드슬립을 가르치기전에 먼저 양발을
모두 바인딩을 체운상태에서 일어서는 방법부터 가르쳐야한다 일어설때는 엉덩이가 설면에 닿은 상태에서 한손을 토우엣지를 잡고 한손을 엉덩이 보다 뒤쪽에 한손을 바친상태에서 엣지를 당기고 나머지 손은 위로 밀어서 무릎을 펴며  서서히일어선다 일어서서는 BBP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 두다리에 힘은 50:50을유지해야하며 발목을 움직이거나 팔을 움직이게 되면 초보자들은 몸의 균형이깨저 넘어지게된다
이제 먼저 힐사이드슬립부터 설명한다 힐사이드슬립은 먼저 일어선상태에서 BBP자세를 유지하고 시선은 전방15도를 향하게한다 그리고 발목을 움직이지말고 발목의 적당한 각도를 유지하여 뒤꿈치로 보드에 프레셔(압력)를 준다 이때 일정한 힘을줘서 일정한속도로 내려가야한다 그리고 멈출때는 자세를 낮추면서 천천히 앉으면된다 그리고 다음으로 토우사이드슬립을
넘어가기전에 *롤오버라는 기술을 가르쳐준다 이기술은 힐엣지에서 토우엣지로 전환을 해줄때 쓰는기술이다 롤오버는 앉은상태에서 보드에서 짧은 부분인  테일을 경사면 아래쪽으로 내려주고 상체를 먼저 노즈가있는 방향으로 돌리고  다음으로 하체를 같은 방향으로 따라서 오게 돌려준다 실행후 시선은 경사면 위쪽으로 향하게된다  롤오버를 실행시키고 토우사이드슬립을 가르치는데 토우사이드슬립은 발가락쪽에 프레셔를 주어 토우엣지를 사용하여 설면을 내려오는 기술이다 토우사이드슬립도 마찮가지로 일어서서
BBP자세를 유지하고 두다리에 힘을5:5로주며 시선을 15도 각도로 향하게하며 토우엣지를 사용해야하므로 발가락쪽에 프레셔를  주며 내려오는데 이때BBP자세를위해 무릎을 굽히는 방법은 정강이로 부츠 앞부분을 꾹 눌러준다

11.펜듈럼
펜듈럼은 사이드슬립상태에서 시선이동과 체중이동을 통해 좌우로 이동하는기술이다~ 펜듈럼도 사이드슬립과 마찮가지로 힐사이드펜듈럼과 토우사이드펜듈럼 두가지가있다 먼저 힐사이드 펜듈럼을 실행할때 사이드슬립으로 시작을한다 그리고 서서히 가고자하는 방향으로 시선을 옴겨주고 체중을이동시켜준다 이때 시선을 최대한 멀리 볼수잇도록하며 설면을 보지않도록한다 체중은 5:5 상태에서 6:4또는 7:3으로 이동해준다 이동후 다시 사이드슬립으로 멈추고 약간내려와서 같은방법으로 반대쪽으로 실행한다
토우사이들 펜듈럼도 위의방법과 같은방법으로 실행한다

12.트레버싱(사활강)
트레버싱은 자기가 있는쪽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자신의진행방향"으로만 펜듈럼보다 쫌더 빠르게 멀리 이동하기위한기술이다
트레버싱은 진행방향으로만 빠르고 멀리이동하는거외에는 펜듈럼과 거의흡사하다고 보면 된다 먼저 속도를 붙이기위해 데크의 노즈를 폴라인아래로 떨어뜨려준다 그리고 약간의 속도가 붙으면 폴라인과 평행을 유지하여
진행방향쪽으로 최중을 이동한다 이때 속도를 죽이지않기 위해 엣지의 각도를 펜듄럼때보다 좀더 세워준다 한쪽방향으로 실행후 롤오버를 하여 반대쪽으로 실행한다~

13.갈렌드
갈렌드는 턴을 위한 연습동작이라고 보면된다 먼저 힐사이드부터 실행하는 먼저 BBP자세를 잡고 2~3M정도 직활강 하며 내려가
다가 시선--> 팔-->허리-->골반 순으로 힐사이드방향으로 돌려준다 그럼 보드가 옆으로회전을하게되는데  이때 절데 하체가압을줘서는않된다 상체만이용해서 하체는따라오게  해야하며 BBP자세가흩으러지지않도록한다. 옆으로보드가 흘러가면 다시 보드를 돌려직활강하다가 같은방법으로 실행해야 내려가는 모양이 계단모양이되어야한다
힐사이드 실행후 토우사이드 갈렌드를 실행한다 토우사이드도 힐사이드와 같은 방법으로 실행한다

14.비기너턴(독립턴.연속턴)
비기느턴 상체 회전을 하여 하체가 따라오게하는 가장 기본적인 턴이다
비기너턴을 하기위해서는 독립턴을 여러번 연습후 익숙해지면 연속턴으로 넘어간다
먼저 독립턴을하는데 다수의 초보자들이 실행하기 쉬운 힐사이드 부터 턴을 실행해보도록 한다 먼저 BBP자세를 잡은상태에서 토우사이드펜듈럼을 실행을 하다 힐사이드방향으로 시선--> 팔-->허리-->골반 순으로 돌려준다 이때 절데 하체는 움직이지 않는다
회전을 하면 설면에 다이는 엣지가 토우엣지에서 힐엣지로 바뀌게 된다 이런방법으로 힐사이드와 토우사이드 독립턴을 연습한후 숙달이 되면 연결턴으로 넘어간다 연결턴은 독립턴가 같은방법으로  실행하는데 펜듈럼으로 실행하여 희전후 다시 펜듈럼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토우사이드와 힐사이드 회전반경을 똑같이하며 시선을 옴겨줄때는 절데 아래쪽을 보지말고 최대한 먼쪽으로 본다


15.너비스턴
너비스턴은 턴을 비기너턴보다 쫌더 원할하게 하기위해서 비기너턴에서 굽히기와 펴기동작(업*다운)을 추가시킨턴이다
너비스턴은 비기너턴과 같이 실행하는데 턴의 준비단계에서 몸을 업동작을 취해줘서 보드에 가압을 풀어주고 회전을
위한 상체를 이동 해준다 그리고 데크가 폴라인으로 떨어지기 시작하면 무릎을 굽히는 동작으로 몸을 다운을 주면서 보드에 가압을 준다  이떄 엉덩이가 보드밖으로 빠지지 않는 범위에서 가압을준다
엮인글 :

xden

2006.10.12 02:04:30
*.176.237.67

제가 배운 순서 그대로 네요.ㅋ

몬스터야옹이

2006.10.12 02:43:44
*.62.99.73

그대로 배운것같은데~ 스케이팅만 안배웠어요~ ㅡㅡ;;

드러머주

2006.10.12 07:45:32
*.142.128.253

잘봤습니다 ^^ 저도 사람들 강습할때 쫌더 자세하 보여줄수 있겠군요 ^^

시빌놈

2006.10.12 07:53:38
*.183.105.229

정말 잘 정리하셨네요~~ 수고하셨습니다. 이번시즌 시작할때 차례대로 해봐야죠~

Palmer Rider

2006.10.12 08:47:28
*.134.126.1

갈렌드에서 비기너턴 넘어갈때가 젤 힘들었던거 같군여...지금 생각해보면~~~
이후 너비스턴 완성했을때 그 쾌감이 아직도 생생하네여..ㅎㅎㅎ

타쿠미군

2006.10.12 09:39:49
*.254.224.140

기초부터 다시 시작을...

쩝..독학으로 배우다보니.ㅠㅠ

밥보다 보드

2006.10.12 10:20:15
*.221.195.110

저 동호회게시판에 좀 퍼가겠습니다..
내용 너무 좋아요

epro

2006.10.12 10:23:51
*.94.210.16

잘 정리 되었네요~.^^;;
뭐든지...준비 운동은 기본이구요~.
저도 저런 커리큘럼으로 강습을 하고는 있지만..
가끔씩 샾에서 해주는 강습 보면..ㅡ.ㅡ......제가 대신 해주고 싶은 경우가 있더라구요..
대충대충~...
항상~ 그단계를 80% 정도 마스터 한담에 넘어가야 한다는 점이 중요할듯 싶습니다~.
가르쳤다고..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구요~.^^

BBP 는 지상(경사가 있는곳)에서 부츠 신고 충분히~ 익힌담에...강습 시작하면 훨~ 씬 강습이 수월 하더라구요~.^^

epro

2006.10.12 10:26:33
*.94.210.16

그리고~..추가적으로~..^^..BBP 들어가기전....

안전 수칙을 설명하는 것도 추가하면 좋습니다~.^^;;

대충~..슬롭내에서는 앉아 있지 말아야 하며, 장비를 놓는 법,
담배 피지 말것이며, 넘어졌을때에는 후방을 주의 해야 한다는 것등등~..^^;;
지금 회사라~..길게는 못쓰겠네요~.^^;;
하튼 안전 수칙도~ 중요 합니다~.
그리고~..그런 안전수칙을 어겼을때는...확실하게~ 주의를 주는 것등~.^^;;

불타는감자

2006.10.12 11:18:03
*.60.34.10

이렇게 여러 단계 였나요?
전 독학으로 배운지라...
드레그 힐 → 펜듈럼 → 뒷발차기 → 갈렌드 → 너비스턴 → 카빙턴 이었던거 같은데..
솔직히 제대로 배워도 다들 중간의 뒷발차기는 저절로 습득하지 않으셧나요?
초보때 뒷발차기 턴을 하고 나서 턴이 된다고 좋아했던 그떄를 생각하면..ㅎㅎ

핑핑

2006.10.12 11:42:05
*.178.170.70

준비운동이나 장비설명을 하면서 보더가 지녀야할 덕목에 관해서도 얘기해주면 좋습니다.
특히 유령데크를 만들면 안된다는 점과 내장비를 아끼듯 상대방의 장비도 아껴야한다는점과
곤도라나 리프트를 탈때의 주의점과 매너등등 기본적으려 지녀야할 덕목도 중요하죠

쎈세이

2006.10.12 11:43:17
*.89.197.199

BBP Body Balanced Position 이라고 배웠습니다~
딴지는 아니고 제가 맞는거 같기도 해서요 ^^;

개돌이

2006.10.12 11:52:09
*.153.87.203

다른 것보다도 1번이 제일 맘에 드는군요.

fefefe

2006.10.12 11:54:04
*.240.242.32

보드를 배워 본적 없이 혼자 그냥 야매로 타놔서... 모가 몬지 모르겠다는 ㅡㅡ;

1234

2006.10.12 12:14:56
*.252.158.56

Balanced in Body Position

우이씨~

2006.10.12 12:51:17
*.120.200.152

좋은 칼럼입니다~ 제 여친 갈챠줄때 참고할께요^^

떡집아들™

2006.10.12 12:56:02
*.202.16.56

bbp.. 바디 밸런스나.. 밸런스드 바디나..(영어쓰기 귀찮아욤.. ㅡㅡ)
그냥 우리 말루 바꿀만한게 없을까나욤?

보더-天雪飛龍

2006.10.12 13:20:19
*.253.17.194

ㅋㅋ 안전수칙이나 매너도 넣으면 더 좋을듯

【 purple™】

2006.10.12 13:30:16
*.244.221.2

감사합니다. 어설프지만 친구들 알려줄때 도움이 많이 되겠네요.

세가지색블루

2006.10.12 15:01:51
*.140.155.82

추천합니다..^^

싸이어少年

2006.10.12 15:20:16
*.45.125.209

좋은글이네요 스크랩 해가겠습니다^^

퓨마

2006.10.12 16:17:42
*.110.135.16

글 감사합니다...올해도 강습 많이할거 같은데 이순서데로 하면 좀 쉬워지겠네여..^^

0000

2006.10.12 16:39:28
*.27.21.228

전형적인 CASI 교본이네요...
대체루 울나라에선 장비는 돈을 잘쓰나, 강습에는 정말로 인색하다는.
꽁자루 먹으려고 하는사람들이 거의 대부분.

0000

2006.10.12 16:41:09
*.27.21.228

울나라 강습에선 생략하는것으로
대체루 스케이팅과 드래깅은, 한발로 클라이밍, 내려가기, 넘어지기 거의 다 생략하고,
죄다 리프트에 보드 들고 타다가 보드 놓쳐서 큰 사고가 종종 일어나죠...
초보자 코스에서 리프트 타고 올라가서 바로 낙엽 부탁 강훈을 스킨다는...

블랙쏜

2006.10.12 17:15:52
*.111.15.22

이야.. FM. 순서대로 알기쉽게 잘 쓰셨네요.
처음타거나 입문한지 얼마안되는 누군가를 지도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흠...

2006.10.12 17:28:41
*.248.234.29

교과서같은 내용만 있네요..
그러나,
트레버스부터는 핵심에 대해서는 왠지 빠져있다는 느낌이 드네요..

Lunatrix

2006.10.12 17:52:24
*.252.68.44

스케이팅 주로 생략하더군요 ^^
초심자들 입장에서도 기껏 보드타러 왔는데 스케이팅 시키고 있으면 환장할 노릇이죠 ;;;
거기다가 스케이팅이 겉으론 쉬워보이는데 해보면 정말 이상하게 어렵죠. 10초에 한번씩 넘어집니다 ㅎㅎ 힘은 또 오죽 드나요?
열라 힘들고, 열라 잘 넘어지고, 넘어지면 세상에서 젤 추하고(진짜루--;;;)

저같아도 보드 시즌권 끊고 좀 정식으로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스케이팅은 안가르칠겁니다. 서로 피곤하거든요.
하지만 스케이팅만큼 중요한 기초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 특히나 스트레이트 러닝까지 할줄 알게된다면... 보드 다탄거죠 ^^


그리고 9번에 드래깅은 이론을 가르치는건 모르겠지만 실습을 시키는건 별로 안좋다고 봅니다.
일단 초보들은 스캐이팅도 버거운데 드래깅을 할정도의 밸런싱은 힘들다고 보구요...(엣지를 밟게되니 엣지 들어가서 휙돌던가 그전에 균형잃고 넘어지죠) 결정적으로 드래깅 자세가 후경을 유도하기 때문이죠.
물론 실제 후경자세로 드래깅을 할수는 없지만, 자세 자체가 뒷발에 힘을 주는듯한 모양새라 그렇단거죠 흠...

노브레끼

2006.10.12 18:44:01
*.29.135.143

강습할때 이것저것 생략하는 데에두 이유가 있습니다..강사는 보다 많은것을 가르켜야하구 배우는 분 입장에서두 빨리 턴을 하고 싶어합니다. 일단 보드 첨 접하는분들 평지에서 양 발 묶인상태에서 넘어지면 일어서는거조차 버거워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강습시간이 반나절로 따지자면 2시간 기준인데 가르키는 입장에서두 2시간이면 너무 짧은시간이라 2시간 반정도 강습합니다. 반나절 강습비두 꽤하기때문에 한나절 배우는 사람은 거의 드물죠.. 그렇게 때문에 너무 많은걸 가르키기두 힘이들죠..오전오후해서 주간 강습이라면 모를까?!

epro

2006.10.12 22:24:43
*.40.210.22

강습할때..
경험상..중급에서 턴까지 될려면....최소..이틀정도 시간적 여유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어떤~ 강습이건..
기초가 중요한거죠~.^^..그걸 잘 설명을 하여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저 같은경우에는 강습을 하게 되면..사전에 BBP 나 안전교육등은 시간 날때마다..
평일에 하죠~.^^;;..
진짜~.그날 가서 다~ 하려면..절대~ 힘들다고 생각되구요~.
그래서..남자들은 더~ 가르치기 싫은걸지도..ㅡ.ㅡ;;
남자분들은 오기가 있어서..
턴 부터 할려고 하죠..ㅡ.ㅡ;;
그래서..나중에 보면...여자분들이 자세는 더~ 이쁘게 나오더라구요~.^^;;

매점우유

2006.10.12 23:33:08
*.5.236.150

아는 형이 갈켜줬는데..
역시 난 야매로 배웠다는..ㅎㅎ

훈~!~

2006.10.13 00:14:11
*.100.224.58

헉,,,첨부터 다시 배워야겠네요 ㅜ.ㅜ
아~~ 언제나 초보딱지를 때보려나 ㅜ.ㅠ

아무도

2006.10.13 09:16:30
*.126.41.64

배울사람이 없어서 비기너부터 했는데... 턴한번에 두다리 공중에 뜨는 역엣지... 캬오... 그 고통이란 ㅠ_-

요샌 보고 따라 해볼 소스도 많고 이런 칼럼도 있으니... 독학도 가능하지만...

스키복 원피스 입고 보드를 시작 했던 나는... ㅠ_- 카빙까지 4시즌이 걸렸다는...

그때 보호대도 모르던 시절... 젊었으니 망정이지...

끔찍하기도 해라...

류~~천

2006.10.13 11:27:42
*.241.151.50

넘 좋은 자료네요...^^ 퍼가도 되겠죠~~^^

말똥

2006.10.13 11:33:41
*.221.232.82

말이 너무 어려워요 ㅠ_ㅠ 머리가 나빠서;;

boarder™

2006.10.13 20:07:13
*.141.245.140

오! 좋은글 감사합니다~~

브아앙 づ@_@づ

2006.10.13 22:40:12
*.254.192.63

제 개인 싸이 비밀 게시판으로퍼가도 될까요?

싼타크루즈

2006.10.14 01:32:39
*.251.189.234

잘 읽었습니다~ ^^

T제이

2006.10.14 02:01:48
*.216.157.41

윗 분들께서 BBP를 잘못표기해서... 헷갈리는 것을 막기위에..
CASI 가이드북에는 BBP를 Balanced Body Position 라고 써있네요.

나뭐사죠

2006.10.14 09:37:24
*.174.132.16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공2

2006.10.14 10:58:09
*.184.19.121

굿 칼럼~^^

았사!

2006.10.14 14:08:30
*.230.97.3

ㅎ 좋은 내용이군용.. 이렇게 여친 가르치는데 3일 걸렸습니당..근데 아직 팬듈럼이라는...ㅡ,ㅜ 올시즌 발벗고 함 가르쳐 볼랍니다.ㅋㅋㅋ

고무신껌[춘천]

2006.10.14 20:44:17
*.38.190.168

요거 좋아요. 실제로 지인들에게 강습 해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막상 내일 가르친다고 생각하면 뭐부터 해야할지 기억이 안나죠. 그래서 기껏 넘어지는법 장비설명 스케이팅 평지에서 해놓고 경사 올라가서 bbp 하곤하죠 ;;

아가룽~

2006.10.23 01:20:05
*.180.236.121

감사합니다~ 잘보구 배워야겠어여^^
제 블로그에 내용입력했습니다~^0^

11

2006.10.23 21:08:18
*.14.196.94

좋은글 감사합니다~~
저도 퍼갈께요~

알이

2006.12.23 13:26:18
*.201.232.30

좋은글 감사합니다. 저두 퍼갈께요~

햐디

2006.12.26 17:08:27
*.85.37.143

퍼 갑니다. 고맙습니다.

주말뽀딩

2007.01.28 06:47:59
*.176.213.64

흠,. 졸업하기 전에 학교에서 강습을 받아 너비스 턴까지는 체계적인 강습을 받아 초보친구들을 가르쳐 줄 때 유용하게 쓰고 있습니다. 이후로 온갓 시행착오를 거쳐 카빙시 힐사이드가 약간 불안한 단계에 와있습니다. 저 또한 너비스 턴 이후로는 체계적으로 배우질 않아서 카빙을 가르쳐달라는 친구의 부탁이 부담스럽기만 하네요. 카빙으로 가기위한 강습 단계는 어떤 것들이 있을 까요?

뽀좍【sic`ⓢ】

2007.11.28 21:01:53
*.98.106.55

오~ 아주 좋은 글입니다.

브아앙

2007.12.31 00:17:26
*.109.155.189

잘봤습니다 ^^ 개인 미니홈피에 퍼가요 출처는 밝힙니당
좋은글 감사해요~

땡구르르

2008.02.22 04:29:56
*.154.122.132

좋은내용...출처 밝히고 퍼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373 초보를 위한 강좌 강사자격증 있으세요? [53] 오래된보더 2009-01-12 55 10536
372 초보를 위한 강좌 그라운드트릭 입문. #2 [19] 소리조각 2014-11-20 20 10525
371 초보를 위한 강좌 뒷발축이 후경일까요?? file [39] 카빙하는올라프 2014-03-01 17 10519
»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강습을 위한 강습순서및강습법 [51] FLY......... 2006-10-12 12 10364
369 초보를 위한 강좌 슬라이딩턴 어렵게 연습하지 말자~ [11] 재퐈니 2014-02-01 8 10319
368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프레스)의 변화에 따른 카빙턴의 크... file [26] 드래곤라이더1 2014-03-05 6 10290
367 초보를 위한 강좌 "다운이란" 쉽게 짧게 이것만 이해하면 99% ... [13] 심장이통통 2015-01-24 4 10228
366 초보를 위한 강좌 올해는 데크를 눈 위에서 띄워 봅시다 [1] 레인보우시스타 2021-01-02 3 10056
365 초보를 위한 강좌 아재의 '카빙턴 쉽게 하는 팁~~' [38] 호9 2016-12-11 21 10015
364 초보를 위한 강좌 시선처리 1편 - 나는 왜 무릅이 안구부려 질... [17] Kick 2007-12-21 35 9933
363 초보를 위한 강좌 당신의 센터링은 안녕하십니까? [9] 3˚엣지 2008-02-17 97 9926
362 초보를 위한 강좌 누군가에게 강습을 해줘야 한다. 어떻게 할까? [17] 고타나 2009-12-07 68 9857
361 초보를 위한 강좌 스탠스를 최대한 줄여야 하는 이유 [8] 보더미카엘 2017-04-05 3 9786
360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리네이션(inclination-기술기). 그 달콤... [32] ce5 2011-01-26 7 9781
359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4) 데크와 ... RiderCrew~* 2001-10-29 126 9778
358 초보를 위한 강좌 가장 빠르게 베이직 카빙을 배우는 방법 [12] -Double.J- 2017-11-09 20 9713
357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 이라는 말은 없어져야 한다?! [19] 홍이00 2011-03-06 1 9687
356 초보를 위한 강좌 키커 배우기 [22] 우당탕 2009-05-01 111 9614
355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팬듈럼) [20] 김은석 2009-01-24 64 9414
354 초보를 위한 강좌 킥커를 처음 연습할 땐 킥커를 뛰지 마세요. file [34] SBdaero 2010-10-01 23 9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