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맨 아이스반에  헤딩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
열정만으로 빨리 되지 않는것도 있기 마련입니다...^^
엮인글 :

밤보더

2007.11.01 14:36:55
*.222.179.254

뭐든 기초가 중요한 법이죠....
하지만 시즌되면 기초부터 다시한다는게 쉽지않더라구여....

1

2007.11.01 15:17:25
*.14.160.9

추천감입니다!

벤지

2007.11.01 17:58:59
*.159.36.3

기초부터 충실히는 다 아는거고 결국 강습받으란 얘긴가..

스우스

2007.11.01 18:15:24
*.88.190.253

기초부터해야하는 걸 알지만, 참 안 되더군요. 뛰어 놀기 바빠서...

후니~★

2007.11.01 20:42:38
*.250.56.14

확실히 차이가 있겠죠..기본을 아시는분이랑 전혀 모르시는분이랑 같은 강습을 받는다고 해두요..

클리기

2007.11.01 22:06:11
*.254.200.226

김현식프로의 말씀..
슬라이딩턴, 베이직턴으로 내려가지 못할 경사는 없다..

알폐인박씨、

2007.11.01 23:54:25
*.120.255.22

알파인 김석영프로님께서 직접 누구나칼럼에 글을올려주셨내요.ㅎ

많은이들이 보드를 즐기는때인 만큼 많은이들이 상급자가되려고 상급의기술만을 고집하고 기본기를 무시하는 경향이있죠.

그럴때일수록 김프로님이말씀하신것처럼 카빙이 잘안된다면 비기너턴을 너비스턴이안된다면 갈랜드를 그래도안되면 사이드슬립부터~!

튼튼한기본기를 다지고 상급기술을 추구하도록하여야겠죠.

(저도 올해는 기본기부터 다시시작입니다 ㅡ ㅅㅡ;)

Slash_Guns

2007.11.02 22:36:34
*.182.243.17

알지만 실천이 힘들다는...ㅡ.ㅜ

세비지

2007.11.04 21:06:07
*.32.189.26

기본기 중요 합니다
하프에서 타는 사람들 보면 카빙턴도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타는 사람들 보면 답답할 정도니깐요....
오버립도 되지 않으면서 무작정 들이대기만 하면 되는듯 기본중에 기본 라이딩테크닉이 부족한 태반이니 뭐......
반성 해야 할꺼 같습니다

Mr.Cho

2007.11.06 00:17:34
*.12.192.172

아 나도 기본 공짜로 배우고 싶다는 -_-...

Miss.go

2007.11.08 09:06:35
*.155.102.182

세상엔 꽁짜란 없는법 꽁짜 속엔 음모가 있다는 ㅋㅋㅋㅋ 아주 위험한 생각을 하시는군요

두드르

2007.11.10 15:22:09
*.226.56.57

100% 공감인 글이네요.
특히,(스키딩,트레버스같은 기본자세야 당연하고)스키딩턴이 매우 중요함을 느낍니다.
글에서 언급된 나비스턴,비기너턴!
알파인이 카빙이라고 말하지만...급경사에서 카빙만으로 내려오는 보더는 거의 없습니다.
SIGI GRABNER가 말하길 월드컵 선수들도 기문통과시 스키딩턴+카빙턴으로 라이딩한다고.
완경사,중경사는 카빙만으로 롱,숏턴이 가능하지만 급경사,사람 많은 슬롭선 카빙만으로
라이딩은 거의 불가하므로 적절한 스키딩턴의 활용이 필요하더군요.
사람 많은 슬롭선 알파인 타기 어렵다는 말도 하는데요(실상 좀 버겁기도 하죠.)
스키딩턴을 자유자재로 활용가능하다면 경사도,슬롭만원...이런 것은 별문제가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초 강습 반드시 필요하구요.그 이전에 열정이 있어야합니다.
보딩,자유에대한 갈망도...

Dr.kimcarving

2007.11.12 11:04:19
*.155.102.182

스키딩턴 ,스윙앤글라이드,글라이딩앤카빙 모두 같은 용어입니다 스키나,알파인보드,프리스타일 기타 등등 각 파트별로 쓰이는 용어만 틀린거 같네요 ^^
저런 턴의 기술들의 최종목적은 빠른 속도에서 라인을 원하는대로 그려내기 위한것들이죠 ^^

ㄱㅁㄱㅁ

2007.11.13 05:07:57
*.131.213.13

독학으로 8년째네요. 비록 띄엄띄엄이라 1시즌 상주하시는보다 못타지만..
제생각으로는 많이 타다보면 자신만의 스타일이 생기는거 같아요. 자꾸 한계에 부딪히면서 조금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다보면
결국 마지막은 한길에서 만나는거 같더라구요. 강습도 좋고 독학도 좋지만 제일 중요한건 자신이 조금더 발전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는가인듯.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40
353 초보를 위한 강좌 자연스런 자세의 라이딩 [28] 으악 2008-01-25 43 9355
352 초보를 위한 강좌 상체로테이션의 방법 [14] 쌔끈라이딩 2008-01-29 44 9342
351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사이드슬리핑) [28] 김은석 2009-01-23 76 9335
350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지상훈련) [37] 김은석 2009-01-22 66 9197
349 초보를 위한 강좌 구피인 or 레귤러? 가장 정확한 판별법 [55] Gatsby 2008-11-21 51 9186
348 초보를 위한 강좌 스키장에서 보더찍기 노하우^^ [10] 껀이 2009-02-26 113 9176
347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 보호필름 붙이기 (초보들을 위한 사진... file [36] 제발때리지마요 2012-11-04 10 9067
346 초보를 위한 강좌 시즌 초 카빙 연습시 간단 팁 [10] 페퍼로니피자 2016-11-27 22 8957
345 초보를 위한 강좌 지빙의 이해 -그림편- [29] 초심-初心- 2007-12-16 90 8954
344 초보를 위한 강좌 바인딩 쉽게 푸는 법 (살로몬) [3] 1002134 2011-02-15   8882
343 초보를 위한 강좌 "헝그리"하게 왁싱을 해보자규~ [34] 꼬마해달 2006-01-05 13 8881
342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위한 칼럼2 (부제:여러분은 ... [17] OolOBBA 2011-01-03 1 8864
341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8탄] 고글 - 인터핏과 아시안핏의 구분 [23] 똥싸개아메바 2006-10-18 53 8852
340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입문 경험담과 얇팍한 노하우.. [19] 늦뚱이보더 2009-12-05 50 8787
»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기의 중요성....... [14] Dr.kimcarving 2007-10-31 55 8741
338 초보를 위한 강좌 토턴을 잘하는 방법[여성금, 19금] [30] 없음 2004-01-08 35 8670
337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각을 맘대로 컨트롤 하고 싶다면 [24] orthodox 2017-01-11 17 8668
336 초보를 위한 강좌 전향각 라이딩 연습 한줄 팁 [15] 다크호스s 2018-01-07 12 8645
335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탈출을 위한 제 생각 [18] 뚱땡이초보 2009-02-08 84 8642
334 초보를 위한 강좌 리바운딩에 대한 이해 (엑박 클릭하면 뜸니다) [14] 3˚엣지 2008-02-21 95 8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