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시간에는 턴이 이루어지는 상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드렸습니다.

오늘은 힘의 방향에 의해서 스노보드가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구심력과 편심력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심력(concentric force) - 작용선이 물체나 인체의 중심을 지나는 힘.  

편심력(eccentric force) - 작용선이 물체나 인체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 힘. 

 

스노보드로 쉽게 설명드리면 

사이드슬리핑이라는 동작은 폴라인을 따라 스노보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에지 전체에 지속적으로 가압이 주기 때문에 스노보드 자체에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직선의 움직임을 보이고, 비기너턴의 경우에서는 스노보드 중심의 기점으로 전(앞발), 중, 후(뒷발)의 움직임으로 가압이 주어지기 때문에 스노보드 자체가 회전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스노보드가 어떠한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힘의 동기를 토크(torque)라고 하는데, heavy front foot, center pivot, rear foot 이라는 용어는 축의 위치와 회전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따른 스노보드의 움직임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림에서 사이드슬리핑이 이루어진다면 설면에 닿아있는 스노보드 에지 전체에 압력이 가해지고 폴라인을 따라 그대로 움직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노보드 자체에는 회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앞에서 말한 구심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축(삐약이축과 야옹이축)이 생기고 바인딩에 묶어있는 앞발과 뒷발에서 힘이 발생하면 스노보드는 축을 기점으로 토크가 발생하여 회전을 시작합니다. 만약 스노보드 가운데 삐약이 형님이 센터피봇이라고 가정하고 그 축을 기점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 위에 무지개가 그려지게 됩니다. 하지만 야옹이가 축이 된다면 다른 형태의 무지개가 발생하겠죠! 어떤 무지개인지는 잘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축과 힘의 발생지점은 상황에 맞게 또 자신이 하고자 하는 기술에 대비하여 이루어지는것이 좋으며, 스노보드의 센터에 축을 만들어주면 회전이 빠르고, 축을 기점으로 비교적 비슷한 반원 움직임이 나오게 되어 다음턴을 시작할 때 유리하기 때문에 라이딩의 기반을 센터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으며, 고속에서 급하게 멈춘다던지, 혹은 경사가 있는 슬로프에서는 상황에 맞게 축의 위치를 변화시켜 라이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여기에 스노보드가 들어가는 각도와 나가는 각도가 일정하다면 더 좋은 라이딩이 나오리라고 확신합니다.

 

영상에서 자신의 축과 힘이 어디에서 시작되는지, 그 결과 스노보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살펴보신다면 자신의 실력을 보다 더 향상시키고, 자신의 스노보드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키가 될 것입니다.

 

 

<참고문헌>

CASI Reference guide 

배영상 외(2008). 바이오메카닉스. E_PUBLIC.

Gerry carr et al.,(1997). Mechanics of sport. Human kinetics publishers. 

엮인글 :

A.S.K.Y.

2012.12.02 01:50:48
*.35.210.85

엑박이요~

NACHO

2012.12.02 22:58:21
*.177.52.3

질문드려요 ... 좌우턴 사이즈가 같게 하라는 말들을 하는데

막상 발의 위치를 보면 토우는 발을 벌리고 힐은 발을 오므린 형태라서 힘이 가해지는 위치도 틀린데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ex . 어짜피 힘은 발바닥이 중심으로 가해짐? 토우에서 힐에비해 좀더 기울기를 더 높이기?  ....등등

문박사

2012.12.04 14:49:26
*.131.200.52

좌우턴 사이즈가 같으려면 우선 중요한게 스노보드가 들어가는 각도와 나가는 각도인데, 대부분 스노보드들이 이 부분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덕스텐스 기준 토 사이드가 힐사이드보다 라디우스가 더 크게 나타나는데 이부분까지 세세하게 생각하며 라이딩이 실제로는 어렵습니다, 우선 간단한 물리적 법칙부터 고려를 하고 인체의 내력을 생각하심이^^

그리고 토턴시 발을 벌리고 힐턴시 말을 오므린 형태를 취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는 듯 합니다. 최신 트랜드의 보딩이 하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특히 무릎 스티어링을 하는데 이 부분은 라이딩하는데 방해될 확률이 높습니다. 잘 생각해보시고 수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NACHO

2012.12.06 22:33:03
*.177.52.3

발의 위치가 덕이라서 그렇게 말한것이지 오므리거나 벌리다는 말은 아니였어요 ^^ ... 라이딩에서 힐과 토에서의 라디우스 차이는 신경안써도 되는거란말이죠? ^^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273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강습을 받으러 오신 여성분들께 (강사... [23] 레베카186 2013-12-24 17 4658
272 초보를 위한 강좌 리프트 탑승 시 들고 타기 VS 바인딩 결착하... [19] DreamSaver 2013-12-18 5 3843
271 초보를 위한 강좌 하수를 위한 보딩강좌 / 부제 : 다운이 안되요~ [2] 호9 2013-12-12 3 3207
270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중하급분들 평상시 힐 토턴 연습하기 ... [12] 트릭하고픈 2013-12-09 6 4757
269 초보를 위한 강좌 봉민호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4] 쟈칼G 2013-10-16 5 3908
268 초보를 위한 강좌 윤동혁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2] 쟈칼G 2013-10-16 3 3005
26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용어집 [3] Gatsby 2013-03-18 9 3121
266 초보를 위한 강좌 왁싱의 이해 [9] 알리알리짱 2013-03-13 5 4039
265 초보를 위한 강좌 린아웃을 통한 골반을 이용한 라이딩 file [11] 민스™ 2013-02-11   6409
264 초보를 위한 강좌 두번째 요령-업다운만 잘해도 자세가 살아요! file [11] YanGil 2013-02-06   3709
263 초보를 위한 강좌 강좌라기보단 화이팅있게 첫번째 요령! [7] YanGil 2013-02-04 4 1797
262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과 앵귤 [17] 나경아빠 2013-01-09 6 4059
261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에 대해... [7] 바람켄타 2013-01-06 6 6519
26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 그라운드트릭 입문 가이드 file [48] 이맥주 2013-01-04 25 7731
259 초보를 위한 강좌 영상기타에 영상 올리는법좀 알려주세요 ㅠㅠ [3] 리브라 2012-12-28   1240
258 초보를 위한 강좌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판단하는 방법 file [38] Gatsby 2012-12-07 4 8233
257 초보를 위한 강좌 기술은 어느날 갑자기 오더이다. [18] 문박사 2012-12-04 5 19997
»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와 힘의 방향 [4] 문박사 2012-12-01   3568
255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2] 문박사 2012-11-28 1 2824
254 초보를 위한 강좌 리쉬코드의 필요성과 사용법에 대해 얘기해 ... file [14] DreamSaver 2012-11-21 2 4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