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나 자주보던 이야기지만 또 뻔한 제생각한번 해보려합니다

 

먼저 인클입니다 인클을 왜 줄까요 외력에 대항하기위해서입니다  줄다리기를 생각해봅시다 상대방이 당기는 힘에 끌려가지않기위해 뒤로 무게중심을 넘깁니다 넘어지지만 않는다면 뒤로 많이기울일수록 더 강한힘에 버틸수있습니다

보트가 끄는 웨이크보드를 생각해봅시다 마찬가지로 보트가 빨리 끌수록  무게중심을 뒤로 더 넘겨야 버틸수 있습니다

 

낙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보드를 본격적으로 생각해봅시다  낙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순간 외력은 원심력으로 표현됩니다

원심력은 mv*2/r 로 표현됩니다  즉 보더의 무게에 비례하고 속도의 자승에 비례하고 회전반경에 반비례한다는 말입니다 즉 외력=원심력은 속도에 가장 많이 좌우되고 보더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회전반경이 작을수록 더 커진다는 뜻입니다 줄다리기나 웨이크보드를 생각해보면 원심력이 커질수록 인클을 더 많이 줘야 회전이 터지지않고 버틸수잇겟구나 금방 상상이 갑니다    힘나누기를 해보면 뒤로 기대면 똑바로 서있을때보다 낮아진위치에너지가 수평력으로 바뀌어 원심력에 대항하는 구심력으로 작용함을 알수있습니다.  그런데   빠른속도의 카빙으로 외력이 강해질경우  순수 인클로만  회전을 버티려면 더 많이 누어야하고 그럼 몸의 무게중심은 보드에서 너무 멀어지게 됩니다 인클만으로 하는 익스트림카빙을 생각해보면 마치 서커스처럼 보입니다 노면의 작은변화나 외력의 변화에 쉽게 대응하기가 많이 누우면 누울수록 어려워질것입니다

 

그래서 순수인클만으로 자세를 낮추기보다는  자세는 낮추되 무게중심은 보드위에서가능한한 멀리 벗어나지않도록 앵귤을 이용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빠른속도의 카빙일수록  즉 외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어떤방식이건   가압시 무게중심은   더 낮아져야합니다 인클이건 앵귤(외경)이건 역앵귤(내경)이건  어떤방식을 쓰던지 그건 라이더의 취향이지만 무게중심 즉 자세는  낮아질수밖에 없습니다 안그럼 터집니다 물리법칙은 생각보다 단순하다고 생각합니다. 거꾸로 속도가 그리빠르지않은데 인클을 과하게주어도 너무 많이 앉아버려도 턴은 터집니다   줄다리기에서 상대방이 당기던줄을 갑자기 놓아버리면 뒤로 기대고있던 우리는 넘어질수밖에 없습니다.즉 자세는 외력의 변화에 대응하기 좋은 자세일수록 안정적인자세일것이라 생각하며 그방식은 라이더의 키나 유연성등등에따라 조금씩 달라질것이라 생각합니다

 

  주말보더가 너무 입으로 보드타는거 같아서 죄송합니다만........   맞습니다 입보더입니다

   이런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하고 너그러운마음으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엮인글 :

나경아빠

2013.01.10 16:26:25
*.237.250.72

아무도 댓글안달아주셔서 혼자 놀겠습니다

인클이 먼저일까요..?회전이 먼저일까요..?닭이 먼저일까요 달걀이 먼저일까요..?

 

슬라이딩턴과 달리 카빙턴은  실시하려면 최소한의 속도가 필요합니다 즉  기울기를 주기위한 최소한의 속력(원심력이 생기기위한최소한의 속력)이 필요합니다 인클을 줘서 회전이시작되고 속도가 빨라지면 필요한 기울기는 더 커집니다 그러면 더 자세가 낮아져야합니다

 

보드도 가족과 같이가지않으면 혼자타는데 댓글도 혼자달고 노네요 즐보안보합시다.ㅡ,.ㅜ

해피보더꾸미

2013.01.15 00:22:29
*.214.104.101

베이스가 어디신지요?

전 주말 용평 , 가끔 주중 마실로 하이원,베어스다닙니다..^^  시간 맞으면 보드 같이타요..^^*

나경아빠

2013.01.15 11:29:17
*.20.64.117

눈 썪으실텐데  ^^저도 용평갑니다 덕으로  어깨항상열어서   요상한  폼으로 타는사람보면 접니다 한수갈켜주세요..ㅡ,.ㅜ

나경아빠

2013.01.10 18:58:39
*.237.250.72

   급사에서 숏카빙이 롱카빙보다 어려운이유는 두가지정도로 생각해볼수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카빙턴이란것이 슬라이딩턴과 달리 마찰로 인한 에너지감소가 거의 없어서 속도를 조절하려면 제이턴처럼 원호를 길게길게 가져가서 속도를 줄이는수밖에 없는데 숏턴은 원호의 일부분만 사용하게되므로 감속을할수가 없는점이 첫째이유라고 생각하고 두번째  회전반지름이 작아지면   원심력이더 커지게되는요인도 잇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외력은 훨씬커지는데 무게중심이동은 더빨리 해야하니 어려워질수밖에 없겟지요.

일천SSS

2013.01.11 19:37:10
*.50.85.135

저...급사라면 어느정도의 경사를 이야기 하는건가요?? 용평기준으로 레드정도 보면 되는건가요??

나경아빠

2013.01.12 00:08:54
*.237.250.72

레몽레인님 댓글이였나 제프챈들러가 레드정도에서는 숏카빙 위험해서 잘 안한다고 했다는 댓글 최근에봣습니다  레드를 풀로 숏카빙하시는분 저는 아직 못봣습니다.

FirstSnow

2013.01.12 17:08:21
*.1.68.153

쪽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피보더꾸미

2013.01.15 00:26:42
*.214.104.101

게으른 보더는 정설이 안돼서 겁이나서 숏카빙 안하는 거지요..^^*

기회되면 보시게 될것입니다..^^v

멍구930

2013.01.15 02:17:21
*.224.36.143

카빙은 롱이든 숏이든 급사에 적합한 턴이 아닙니다

해피보더꾸미

2013.01.15 02:26:23
*.120.235.237

실력 차이 겠지요!!

슬라이딩 뿌린.......................... ㅋ

국제대회를 보시면 이해가............................ㅋ

나경아빠

2013.01.15 11:32:49
*.20.64.117

그냥 급사에서 롱보다 숏이 어려운 이유 를  생각해본것이고 잘타시는분들이야 물론 하시겟지요 언제 눈호강 한번 시켜주세요..^^

해피보더꾸미

2013.01.15 12:23:55
*.120.235.237

이런이런 댓글이 안지워지네요^^;;   몇년전 밴딩열풍불때 영상주인공들이 밴딩못한다고 했다가 마치 늑대같은 동호회때들로 부터   키보더로 몰려서 헝글 실망스러 안들어왔다가 올해 다시 보는대   괜한 댓글써서 돌출행동 한것 같네요..^^;; 

이제는  불혹을 넘긴 나이라 폼을 고치면서 자기만족형으로 보드를 타고 있습니다.. 나경아빠란 닉네임에 댓글 없고 혼자탄다는 푸념에 댓글 달았다가 밑에 글 있는거보고 급사 숏턴 이야기에......괜한 호승심이....쩝!!

올해들어 제가 자기만족형으로 추구하던거 하는중이라 술김에 글썻네요...^^

아직도 많이 부족하지만 와이프랑 레드몇번 레인보우몇번 관광보딩합니다..... 솔로보딩 하신다길래........  ^^;;

惡夢

2013.01.11 11:42:06
*.50.21.20

너무나 자주보던 얘기지만

매년 새롭고 어렵습니다.


글 잘봤습니다 :)

아누키

2013.01.21 09:34:24
*.67.189.2

내용과 별 상관 없지만 공식이 틀려서 수정해드립니다. 원심력은 mv*2/r 이 아니라 mv^2/r 입니다.

나경아빠

2013.01.22 00:20:37
*.237.250.72

본문에 속도의 자승에 비례..라고 적어놨는데요.....

아누키

2013.01.23 18:44:18
*.67.189.2

태클에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하구요.. 저도 댓글에 공식이 틀렸다고 적었지 말이 틀렸다고 적진 않았습니다......

jun79797979

2015.02.22 04:27:50
*.133.85.252

나이가 몇이신지는 몰겠는데..일일이 하나하나 따지고 고치려고 하시지말고 글쓴이분이 입보더라고 본인을 낮추고 너그러운맘으로 봐달라고 하셨는데 하나하나 고치려고하고 틀렸다고 하면서 글쓰시지 마시고 그냥 보고 넘기세요. 상당히 없어보입니다.
그냥 글로만보면 중딩같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273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강습을 받으러 오신 여성분들께 (강사... [23] 레베카186 2013-12-24 17 4658
272 초보를 위한 강좌 리프트 탑승 시 들고 타기 VS 바인딩 결착하... [19] DreamSaver 2013-12-18 5 3843
271 초보를 위한 강좌 하수를 위한 보딩강좌 / 부제 : 다운이 안되요~ [2] 호9 2013-12-12 3 3207
270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중하급분들 평상시 힐 토턴 연습하기 ... [12] 트릭하고픈 2013-12-09 6 4757
269 초보를 위한 강좌 봉민호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4] 쟈칼G 2013-10-16 5 3908
268 초보를 위한 강좌 윤동혁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2] 쟈칼G 2013-10-16 3 3005
26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용어집 [3] Gatsby 2013-03-18 9 3121
266 초보를 위한 강좌 왁싱의 이해 [9] 알리알리짱 2013-03-13 5 4039
265 초보를 위한 강좌 린아웃을 통한 골반을 이용한 라이딩 file [11] 민스™ 2013-02-11   6409
264 초보를 위한 강좌 두번째 요령-업다운만 잘해도 자세가 살아요! file [11] YanGil 2013-02-06   3709
263 초보를 위한 강좌 강좌라기보단 화이팅있게 첫번째 요령! [7] YanGil 2013-02-04 4 1797
»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과 앵귤 [17] 나경아빠 2013-01-09 6 4059
261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에 대해... [7] 바람켄타 2013-01-06 6 6519
26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 그라운드트릭 입문 가이드 file [48] 이맥주 2013-01-04 25 7731
259 초보를 위한 강좌 영상기타에 영상 올리는법좀 알려주세요 ㅠㅠ [3] 리브라 2012-12-28   1240
258 초보를 위한 강좌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판단하는 방법 file [38] Gatsby 2012-12-07 4 8233
257 초보를 위한 강좌 기술은 어느날 갑자기 오더이다. [18] 문박사 2012-12-04 5 19997
256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와 힘의 방향 [4] 문박사 2012-12-01   3568
255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2] 문박사 2012-11-28 1 2824
254 초보를 위한 강좌 리쉬코드의 필요성과 사용법에 대해 얘기해 ... file [14] DreamSaver 2012-11-21 2 4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