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션(position)



항상 가장 좋은 위치를 찾는다. 

일반적인 알파인 스노우보더들은 발란스보다는 엣징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나도 그랬었다.
하지만 알파인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발란스다.
발란스를 잘 맞추기 위해서는 스노우보드의 가장 좋은 위치(포지션)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알파인의 기본이자 스노우보드의 기본이다.
이것이 된다면 스노우보드의 70%는 완성한 것이다.
특히 실수를 하게 되면 의식적이든 반사적이든 급하게 그 실수에 대응하는 동작을 하게된다.
이것은 스노우보드 위에서 빠져나간 몸을 반대되는 동작으로 인해 되돌리겠다는 의지를 말하는 것인데

이 또한 계산되어진 움직임이 아니면 더 커다란 실수를 하게 된다. 
예를 들자면 아웃엣지(역엣지)와 같은.... 생각만해도 아파오네요.
스노우보드의 가장 좋은 위치는 당연히 스노우보드를 상대로 수직방향이다.
하지만 라이딩 중에 이것을 지키기란 정말로 힘든 일이다. 이유는 라이딩 중에 스노우보드는 항상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계속 움직이는 스노우보드를 대상으로 항상 수직방향에 자신의 몸을 맞춘다는 것은 정말로 어렵다. 하지만 방법은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급하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좋은 포지션을 찾기 위해 항상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무브먼트(movement)

끊어짐 없이 움직이려고 노력한다.
최정상의 레이서들을 보면 마치 상체는 고정시켜 놓고 다리만 프론트, 백으로 움직이는 것같은 느낌이 든다.
그래서 그런지 스키장에 가보면 많은 알파인 라이더들이 움직임 없이 좌우로 엣지만 바꾸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재로도과연 그럴까? 대답은 Oh! No다.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것과는 달리 최정상의 레이서들은 우리들이 움직이는 것의 20배 정도는 더 움직이지 않을까 싶다.
많이 움직임으로써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우리가 타고 있는 스노우보드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불규칙한 설면위를 계속 달리고 있다.
더군다나 좌우로 엣지를 봐꿔 세워가며... 그 위에 우리들이 서 있는 것이다.

그러다면 아무런 움직임 없이 마냥 스노우보드 위에 서있기만 한다면

스노우보드가 지나가는 모든 설면으로 부터 전해지는 충격들을 온 몸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얘기가 된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는 그리 오래가지 못해 넘어지거나, 완주를 한다고 해도

기분 좋은 라이딩을 했다는 생각이 들지는 않을 것이다.
정상의 라이더들은 최대한으로 많이 움직임으로 해서 갑작스러운 환경의 변화에도

언제든지 대처할 수 있는 여유를 우리들보다 20배로 가지고 있는 셈이다.
여러분, 자세만 잡지 말고 움직입시다.
스노우보딩은 포즈를 잡는 것이 아니라 운동을 하는 것입니다.


  

타이밍(timing)

엣지를 전환해야 할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다.

스노우보드를 타고 내려오는 슬로프는 당연히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활하는 지면과는 다르다.
경사가 있는 것이다.
물론 그 경사도 그리 일정하지 못하다.
그렇다면 스노우보딩을 할 때도 지면과 슬로프는 다르다는 생각을 기본으로 하고 라이딩을 해야 한다.
바로 중력의 얘기다.
슬로프를 지면과 똑같이 생각하면 턴의 전반부와 후반부는 너무나도 똑같다.
똑같은 중력의 힘을 받고 자세 또한 똑같고 움직여야 할 양도 같다.
그러나 그 것을 기울여 놓는다면 얘기가 틀려진다.
턴의 전반부는 중력의 힘과 반대되는 방향(산쪽 방향)으로 하중을 주고 후반부는

중력의 힘이 가해지는 방향(계곡 방향)으로 하중을 주게 된다.
플러스, 스피드가 가미된다.
엣지 전환은 턴의 후반부에 하는 것이고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지점이기도 하다.
그 하중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운 힘이다.
그런데 많은 라이더들이 이 힘을 온 몸으로 다 받아가면서까지 턴의 후반부를 길게 가져가는 경향이 있다.
 이유는 하나 지면에서 서있는 것과 가장 비슷한 포지션까지 가야지만 안심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는 자신의 생각과는 달리 턴을 이어가면 갈 수록 점점 더 불안해 지고 주체할 수 없는 상황까지 가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유는 턴의 후반부가 길어지면 상대적으로 턴의 초반부가 짧아지게 된다.
턴의 초반부가 짧아지면 가장 스피드가 많이 나는 폴라인에 들어가기 전에 충분한 준비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폴라인에 다다랐을 때, 스피드에 겁을 먹고 후반부에서 무리하게 스피드 컨트롤을 하게 된다. 악순환의 연속이다.
턴호는 전반부와 후반부를 일정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엣지 전환을 해야 할 곳에서 해야 한다.
엣지 전환의 타이밍을 놓쳐버리면 다음턴은 실패로 돌아가니까!

<출처: 윤동혁 홈피 http://www.friendmind.com/index.htm>

 

 

 

...///

스키 프리보드 알파인을 가리지 않고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이 있어 올립니다.

글 내용은 윤동혁 프로님 홈피에서 퍼온글 입니다.

출처는 올렸지만 본인의 허락을 받지 않아 문제가 된다면 자삭 하겠습니다.

엮인글 :

카빙낙엽

2013.10.17 13:14:58
*.66.181.202

대부분의 라이더가 턴의 후반부를 길게 가져간다라는거.. 매우 공감 됩니다.

 

SAM_

2013.10.17 20:11:15
*.45.33.121

생각하며 시작하다가도 슬롭을 뭉갤땐이미 길게 간다는거 ^^; 공감되네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273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강습을 받으러 오신 여성분들께 (강사... [23] 레베카186 2013-12-24 17 4658
272 초보를 위한 강좌 리프트 탑승 시 들고 타기 VS 바인딩 결착하... [19] DreamSaver 2013-12-18 5 3843
271 초보를 위한 강좌 하수를 위한 보딩강좌 / 부제 : 다운이 안되요~ [2] 호9 2013-12-12 3 3207
270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중하급분들 평상시 힐 토턴 연습하기 ... [12] 트릭하고픈 2013-12-09 6 4757
269 초보를 위한 강좌 봉민호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4] 쟈칼G 2013-10-16 5 3908
» 초보를 위한 강좌 윤동혁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2] 쟈칼G 2013-10-16 3 3005
26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용어집 [3] Gatsby 2013-03-18 9 3121
266 초보를 위한 강좌 왁싱의 이해 [9] 알리알리짱 2013-03-13 5 4039
265 초보를 위한 강좌 린아웃을 통한 골반을 이용한 라이딩 file [11] 민스™ 2013-02-11   6409
264 초보를 위한 강좌 두번째 요령-업다운만 잘해도 자세가 살아요! file [11] YanGil 2013-02-06   3709
263 초보를 위한 강좌 강좌라기보단 화이팅있게 첫번째 요령! [7] YanGil 2013-02-04 4 1797
262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과 앵귤 [17] 나경아빠 2013-01-09 6 4059
261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에 대해... [7] 바람켄타 2013-01-06 6 6519
26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 그라운드트릭 입문 가이드 file [48] 이맥주 2013-01-04 25 7731
259 초보를 위한 강좌 영상기타에 영상 올리는법좀 알려주세요 ㅠㅠ [3] 리브라 2012-12-28   1240
258 초보를 위한 강좌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판단하는 방법 file [38] Gatsby 2012-12-07 4 8233
257 초보를 위한 강좌 기술은 어느날 갑자기 오더이다. [18] 문박사 2012-12-04 5 19997
256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와 힘의 방향 [4] 문박사 2012-12-01   3568
255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2] 문박사 2012-11-28 1 2824
254 초보를 위한 강좌 리쉬코드의 필요성과 사용법에 대해 얘기해 ... file [14] DreamSaver 2012-11-21 2 4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