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차 독학솔로하수아저씨보더입니다.
독학이기에 틀릴수도 있으나 다운이 안되는 초보분들을 위해 간단히 제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틀린점은 고수분들께서 댓글로 수정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먼저 보드는 자신의 중심을 이동시켜 원하는 바대로 보드를 컨트롤하는 운동입니다. 몸의 이동은 좌우, 앞뒤, 상하, 회전이 있습니다.

여기서 먼저 생각해야 할것~~

몸에 힘빼기 / 몸이 경직되 있으면 중심을 옮기는게 힘듭니다. 절대로 몸에 힘을 빼십시요!!

시선 / 올바른곳을 봐야 또한 유지해야 제대로 중심을 옮길수 있습니다. 대충보는것은 절대금물. 턴에 맞는 시선을 꼭~ 배우십시요!!

이게 되었다면 ㅡㅡ; 이제 몸을 움직여 보겠습니다.

좌우 / 전경, 중경, 후경 뭐 이런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보드는 계속움직입니다. 따라서 속도에 맞춰 몸을 앞으로 보내줘야 합니다. 앞발에 몸을 기대라 등등의 말로 교정을 합니다. 문제는 턴 도중에 이것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롱턴 많이 하십시요. 저같은 경우엔 골반에 신경을 많이 쓰니 좀 나아졌습니다.

전후 / 슬롭은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게 문제입니다. 너비스턴에선 가압이 쉽게 됩니다. 일어서만 있어도 엣징이 되기에 힘들게 없습니다. 하지만 모두의 소원인 카빙을 하려면, 또한 상급턴으로 가려면 가압시기가 빨라져야 합니다. 즉 역엣지 상황에서 가압을 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 산쪽으로 가압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울기만 가지고 엣징을 한다고 상상해 보시면 슬롭이 가파를수록 힐토 전환시 얼마나 많이 앞뒤로 움직여야 하는지 상상이 가실겁니다.
연습법은 뉴트럴 즉 힐토 변환시에 베이스로 가는 부분을 확실히 만들어 봅니다. 베이스로 가다보면 바로 다음 엣지가 기울기에 의해 걸립니다. 그때 살포시 가압하시면 되겠습니다.

상하 / 드디어 나왔습니다. 업다운^^ 왜 3번째에 본론이 나왔느냐~~ 이유는 위의 좌우, 앞뒤가 되야 상하가 되기 때문입니다. 저는 다운이란것을 누른다, 기댄다 보다는 받아준다란 느낌으로 타고 있습니다. 제대로 보고 몸을 던진후 하체가 그 몸의 무게를 받아 주는 개념입니다. 여기서 팁하나~ 힐과 토에서 자신만의 무게중심위치를 만들어 보세요. 저는 토에선 등을 던져줍니다. 힐에선 시선을 던져줍니다. 물론 턴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조금씩은 변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렇게 타니 안자빠지더군요ㅡㅡ; 그후 하체가 따라가면서 고관절까지만 사용해서 받아줍니다. 몸 전체로 받으려고 하면 상체가 무너지더군요. 받는게 잘 안된다 하시면 땅이 쑥~ 올라오는것을 하체만으로 받는다는 느낌을 갖어보시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또하나 팁이라면 압력이 너무 세진다~ 느껴지면 보드를 밑으로 흘려보내세요. 흘려보내면서 자연스레 일어납니다. 보드를 좀더 많이 놀게두면 자연스레 엣지체인지가 될수도 있습니다만 일단은 몸을 던져서 무게를 만드는법을 확실히 연습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회전 / 요건 좀 난이도가 있습니다. 워낙 다양하기도 하구요. 기본은 피봇, 스티어링, 로테이션입니다. 수돗꼭지 돌듯도는게 피봇, 자전거핸들돌려 방향이 바뀌는게 스티어링, 각각의 회전이 모여 결과를 나타내는게 로테이션 입니다. 각설하고 카빙시와 슬라이딩시 차이점을 많이 물어보시는것 같더군요. 제 느낌은 카빙은 회전으로 엣지를 밀어주는 느낌, 슬라이딩은 회전으로 턴을 리드하는 느낌입니다. 설명이 허접해서 죄송합니다ㅡㅡ;

간단히 쓰려했는데 길어졌습니다. 독학이다보니 틀린부분도 많으리라 생각되지만 이런 느낌으로 타는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레귤러, 업언웨이팅, 카시스타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안전안전안전!!이 최우선입니다. 즐거운 시즌 보내십시요~~
엮인글 :

샤오사랑

2013.12.12 06:29:57
*.209.138.16

좋은 칼럼 잘 봤습니다!

내용 좋네요 ㅎㅎ

 

 

이상한점이 하나 있는데요..

 

본문중에

쉽게 말해 산쪽으로 가압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산아래 혹은 베이스쪽으로 가압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라고 표현해야하지 않을까요?

 

호9

2013.12.12 08:57:57
*.244.178.182

그림이 없이 글로만 쓰니 오해의 소지가 있는 문구인것 같군요^^; 의도는 턴 초입에서 부터의 빠른 가압이 필요하고(그래야 턴 중반에 최대가압을 이끌수 있기에), 압력의 방향이 산쪽으로(역엣지) 가야된다는 의미였습니다^^ 좋은지적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273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강습을 받으러 오신 여성분들께 (강사... [23] 레베카186 2013-12-24 17 4658
272 초보를 위한 강좌 리프트 탑승 시 들고 타기 VS 바인딩 결착하... [19] DreamSaver 2013-12-18 5 3843
» 초보를 위한 강좌 하수를 위한 보딩강좌 / 부제 : 다운이 안되요~ [2] 호9 2013-12-12 3 3207
270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중하급분들 평상시 힐 토턴 연습하기 ... [12] 트릭하고픈 2013-12-09 6 4757
269 초보를 위한 강좌 봉민호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4] 쟈칼G 2013-10-16 5 3908
268 초보를 위한 강좌 윤동혁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2] 쟈칼G 2013-10-16 3 3005
26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용어집 [3] Gatsby 2013-03-18 9 3121
266 초보를 위한 강좌 왁싱의 이해 [9] 알리알리짱 2013-03-13 5 4039
265 초보를 위한 강좌 린아웃을 통한 골반을 이용한 라이딩 file [11] 민스™ 2013-02-11   6409
264 초보를 위한 강좌 두번째 요령-업다운만 잘해도 자세가 살아요! file [11] YanGil 2013-02-06   3709
263 초보를 위한 강좌 강좌라기보단 화이팅있게 첫번째 요령! [7] YanGil 2013-02-04 4 1797
262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과 앵귤 [17] 나경아빠 2013-01-09 6 4059
261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에 대해... [7] 바람켄타 2013-01-06 6 6519
26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 그라운드트릭 입문 가이드 file [48] 이맥주 2013-01-04 25 7731
259 초보를 위한 강좌 영상기타에 영상 올리는법좀 알려주세요 ㅠㅠ [3] 리브라 2012-12-28   1240
258 초보를 위한 강좌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판단하는 방법 file [38] Gatsby 2012-12-07 4 8233
257 초보를 위한 강좌 기술은 어느날 갑자기 오더이다. [18] 문박사 2012-12-04 5 19997
256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와 힘의 방향 [4] 문박사 2012-12-01   3568
255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2] 문박사 2012-11-28 1 2824
254 초보를 위한 강좌 리쉬코드의 필요성과 사용법에 대해 얘기해 ... file [14] DreamSaver 2012-11-21 2 4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