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헝글강사로 곤지암과 용평에 베이스를 두고 있는 레베카입니다.

 

지난주 토요일 잠시 귀국해 있던 아들을 다시 1년간 유배(?)보내고

몸살로 쓰러져 있다가

오늘 밤 금 잉여력이 돋아 내 동생들 같은 여성 초보 보더분들께

혹시라도 도움이 될까 싶어 몇 자 적어봅니다.

 

특히 곤지암으로 오시는 분들은 선택의 여지 없이

잘생긴 남자 강사분대신 큰 언니 같은 저를 만나시게 되는데요~!!

(하지만 대부분의 남자분들은 저를 형이라 부릅니다 ㅜ,ㅜ)

제가 여자이다보니 여성 강습생들께 스스럼없이 손(?)을 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말씀 드려 제가 손을 잡고 일으켜드리거나

손으로 몸을 받쳐드리거나 하는 경우가 남자 분들에게 하는 것 보다 잦다는 말씀입니다.

안스러움 반, 안된 마음 반( 그게 그거군요 ㅠ.,ㅠ)에

마음을 모질게 먹다가도 넘어지려하는 게 보이면

저도 모르게 팔을 뻘거나

달려가 잡아드리게 된다는 말씀입니다.

넘어질 때 그 아픔~!!(느낌 아니까~!)

 

그런데...

제가 수 년간 강습하면서 발견한 부분을 나누고자 합니다.

 

 1. 진정한 발전을 원하신다면 처음에는 조금 느린것 같아도 혼자서 일어서는 게 좋습니다.

    

     잡아주지 않는 강사닝이 야속하게 여겨져도 한 두번 실패하면서 독하게 마음 먹고 혼자  일어서보면

     스스로 중심도 잘 잡게되고 사이드 슬리핑을 할 때도 스스로 컨트롤이 가능하지만

     혼자 하려하지 않고 강사만 의지하면 결코 실력이 늘지 않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팔이 짧고 배둘레햄이 많이 크셔서 힐로 일어나는게 아주 안되시는 분도 계시긴합니다.)

 

2. 그렇다면 슬롭바닥에 엉덩이를 대고 않은 상태에서 혼자 일어나기 쉬우려면?

    

     한손으로 데크의 앞쪽 가운데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엉덩이 뒤에 주먹을 쥐고 슨간적인 힘을 가해

     팡 튕기듯 일어선다.. 글이나 말로는 물론 쉽습니다.

     그러나   저를 포함한 여자들은 대체로 엉덩이에 지방이 잘 분포되어 있어서

     두꺼운 보드복에 둔한 보호대까지 입고서 혼자 일어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냥 얇은 옷 하나 입었으면 쉽게 벌떡 일어날 텐데 말입니다.

     그렇다면...보드복을 조금 넉넉한 사이즈로 입으시는 건 어떨까요?

     허리쪽 특히 배 부분으로 압박이 덜가는 큰 사이즈의 보드복은 일어서는 것을 한결 용이하게 도와준답니다.

     아무리 날씬한 사람도 너무 꽉끼는 사이즈의 보드복,보호대를 착용하면 일어서기가 아주 장난이 아니게 됩니다.

 

3. 초급러닝 보더시라면 너무 두껍께 껴 입지 마세요.

 

      스키장이라면 눈 때문에 아주 추울 것이라 생각하고 겹겹이 입고 오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초보때는 엄청 추운 것 같은 날씨에도 땀이 뻘뻘 납니다.

      리프트 길이도 짧아 그다지 큰 추위를 느끼기도 전에 또 땀이 시작됩니다.

      그만큼 힘들다는 얘기입니다.

      특히 멋스럽게 톨티를 레이어드해서 입고 오신분들~

      티셔츠 재질은 눈이 아주 좋아해서 한번 앉았다 일어설때마다 눈이 달라붙어 나중엔

      엉덩이도 젖고 눈이 뭉쳐서 무겁기까지 한 현상이 쉽게 연출된답니다.

      가능하다면 자켓 아래로는 아무것도 튀어나와 있지 않는 쪽이 좋답니다.

 

     그럼 초보 여성보더 여러분~!!

     이제 즐겁고 신나는 스노보드를 배워볼까요?

     턴이 되는 그날까지 아자아자~!!

 

 

         

엮인글 :

미친스키

2013.12.24 01:20:48
*.142.199.45

2,3번은 정말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이네요....-,.-b

레베카186

2013.12.24 14:54:18
*.11.216.247

미친 스키님 좋은 칼럼 잘 읽고 있습니다~

FirstSnow

2013.12.24 10:54:55
*.160.51.99

추천 드립니다.

초급 때는 남자들도 똑같을 겁니다. ㅎㅎㅎ

레베카186

2013.12.24 14:53:40
*.11.216.247

감사합니다~!!

7080보더

2013.12.24 14:22:35
*.244.212.21

앗, 우리 선생님이다~

레베카186

2013.12.24 14:53:01
*.11.216.247

앗~반갑습니다~!! ^^*

레베카186

2013.12.24 14:55:47
*.11.216.247

사실 이 글은 스키장 오기전에 꼭 읽어보고 오셨으면 해서 썼는데요~

부제로  "스키장 오기전에 꼭 읽어보고  오세요" 라고 수정하고 싶은데

 군데군데 오타도  보이고...

그런데 수정이 안되네요~!! 

꿀떡라이딩

2013.12.25 16:09:57
*.54.93.91

앗 밸런스의 대가 레베카님이닷 !! ㅎㅎ

레베카186

2013.12.26 22:34:19
*.233.204.123

앗~그런가요~ 감사합니다^^*

heavysnow

2013.12.25 19:47:49
*.223.24.174

레베카 누나 입문하시는분들에겐 정말 좋은 팁이네요 곤쟘에서 뵈요..~~^^

레베카186

2013.12.26 22:36:06
*.233.204.123

오실때 닉처럼 눈 많이 오시면 좋겠네요~!!

곤쟘서 만나효~!! ^^

 

레몽레인

2013.12.27 11:28:48
*.217.57.188

오호...반갑습니다...글 잘 보고 갑니다..

레베카186

2013.12.31 19:05:28
*.36.150.195

네 레인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곧 레인보우 함 달려야죠??

베리링

2013.12.29 19:51:17
*.80.62.71

안에 톨티.. 보온면티랑 톨티 두개만 입고 보드자켓 입는데
자주 넘어지니 엉덩이가 다 젖더라구요
톨티 입지말고 안에 얇은것 많이 껴입는게 나을까요?
보드자켓 안에 옷을 뭘 입어야할지요..

레베카186

2013.12.31 19:10:56
*.36.150.195

저는 간단한게 좋아서 기모 달린 등산복티셔츠 잘 입습니다.

운동복이라 나름 흡수 발수 잘 됩니다.(꽃보더나 긴지보더분께는 비추~!저 같은 꼭보더들만ㅋㅋ)

그 위에 박스 반팔티셔츠 입구요~!

그러면식당 등에서 쟈켓을 벗어도 민망하진 않아요~!!

자주 슬롭에 앉으신다면 박스티는 바지안으로 넣고 타세욤^^(이것도 간지보더분들께는 비추^^)


아리잠

2014.02.06 08:41:24
*.153.226.13

기모있는 등산복 티셔츠에서 급 반가워요
추울때 이너는 이게 짱인듯요 ㅋ

무!를주!세요

2013.12.30 18:00:05
*.209.42.24

저는 5년정도 와이프만 강습해온 개인강사(?)입니다...

몇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이 있어서 댓글 달아봅니다..

 

1. 부츠끈은 본인이 묶으세요...

2. 바인딩도 본인이 체결하세요...

3. 웬만하면 개인장비는 본인이 들고다니세요..

 

작년에 입문한 3학년짜리 우리 아들도 위 세가지부터 교육했어요... 스스로 노력하고, 알고 싶어해서 터득해야 실력도 쑥쑥 늘어납니다. 언제까지 낙옆만 하면서 하루종일 초보존에 엉덩이 깔고, 죄없는 남친 무릎꿇고 바인딩 묶어주게 할건가요...

레베카186

2013.12.31 19:13:06
*.36.150.195

와우 1:1강습의 종결자이십니다.

구구절절 다 맞는 말씀이시네요~!

하지만 부츠 끈 묶어주고 데크  들어줄 

그런 머슴--;;  아아아니 기사님 계신다면 행복2배겠죠?? ^^

퐈노

2014.01.03 15:36:05
*.221.21.210

좋은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동호회 초보분들께 소개시켜드리기 위해 본문 내용 인용하여도 괜찮을지 조심스럽게 여쭤봅니다.

레베카186

2014.01.07 00:12:09
*.238.113.154

네~얼마든지요~!!

단풍이

2014.01.05 02:31:55
*.33.238.198

일단 못 일어나는 이유를 짧은 팔길이때문이라고 해두고 싶어요ㅠㅠ

유연성-8에 쪼그려앉으면 발꿈치가 뜨는 이상한 몸 때문인 줄 알았는데.. 일단 살을 빼봐야 뭐때문인줄 알겠네용..ㅠㅠ

레베카186

2014.01.07 00:15:52
*.238.113.154

ㅎ 유연성도 크게 한몫하죠~

작년에 팔 짧고 배둘레가 아주 넉넉한 외국인...

제 손목이 시큰거릴 정도로

일으켜 세워주는 것도 무리가 있었고..

결국은 토우사이드 먼저 가르쳤더랍니다,ㅜㅜ

단풍이님~ 가능하시다면 일단 빼보심이??^^

방귀대장

2015.01.14 02:26:01
*.147.195.14

좋은 내용엔 추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강습을 받으러 오신 여성분들께 (강사... [23] 레베카186 2013-12-24 17 4658
272 초보를 위한 강좌 리프트 탑승 시 들고 타기 VS 바인딩 결착하... [19] DreamSaver 2013-12-18 5 3843
271 초보를 위한 강좌 하수를 위한 보딩강좌 / 부제 : 다운이 안되요~ [2] 호9 2013-12-12 3 3207
270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중하급분들 평상시 힐 토턴 연습하기 ... [12] 트릭하고픈 2013-12-09 6 4757
269 초보를 위한 강좌 봉민호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4] 쟈칼G 2013-10-16 5 3908
268 초보를 위한 강좌 윤동혁 프로님 칼럼(본문 스크랩) [2] 쟈칼G 2013-10-16 3 3005
26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용어집 [3] Gatsby 2013-03-18 9 3121
266 초보를 위한 강좌 왁싱의 이해 [9] 알리알리짱 2013-03-13 5 4039
265 초보를 위한 강좌 린아웃을 통한 골반을 이용한 라이딩 file [11] 민스™ 2013-02-11   6409
264 초보를 위한 강좌 두번째 요령-업다운만 잘해도 자세가 살아요! file [11] YanGil 2013-02-06   3709
263 초보를 위한 강좌 강좌라기보단 화이팅있게 첫번째 요령! [7] YanGil 2013-02-04 4 1797
262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과 앵귤 [17] 나경아빠 2013-01-09 6 4059
261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에 대해... [7] 바람켄타 2013-01-06 6 6519
26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 그라운드트릭 입문 가이드 file [48] 이맥주 2013-01-04 25 7731
259 초보를 위한 강좌 영상기타에 영상 올리는법좀 알려주세요 ㅠㅠ [3] 리브라 2012-12-28   1240
258 초보를 위한 강좌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판단하는 방법 file [38] Gatsby 2012-12-07 4 8233
257 초보를 위한 강좌 기술은 어느날 갑자기 오더이다. [18] 문박사 2012-12-04 5 19997
256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와 힘의 방향 [4] 문박사 2012-12-01   3568
255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2] 문박사 2012-11-28 1 2824
254 초보를 위한 강좌 리쉬코드의 필요성과 사용법에 대해 얘기해 ... file [14] DreamSaver 2012-11-21 2 4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