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의 '꼬추내밀기' 칼럼의 인기에 힘입어 무릎으로 데크 눌르기 칼럼을 쓰게됬네요. ㅋㅋ

이 칼럼은 기본카빙이 되는것 같은데 슬립이 많이 일어난다는 분들을 위한 스티어링 방법입니다.

아~ 그리고 전 고수가 절~대 아닙니다. 걍 제 생각을 쓰는것입니다.

카빙의 요소는 한두개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시선, 어깨[상체스티어링], 기울기, 무릎[앉기와 스티어링]정도가 되나요?

프레스는 상체로도, 기울기로도, 앉기로도[인클리네이션? 앵클리네이션? 그런 용어는 잘 몰라요 ㅋㅋ]무릎으로도 줄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카빙을 할려면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들어가 프레스를 줘야하겠죠.

그러나 상체와 기울기 앉기로 주는 프레스는 대부분 많이 아시고 들어 보셨을거라고 생각되네요.

검색해도 나올거구요. ^^;;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무릎스티어링에 대하여 알아보죠.

대부분 무릎스티어링에 대해 얘기하실때 벌린다, 모은다 라는 말씀을 많이 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의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무릎을 돌리는 것이라고 전 생각합니다.

진행방향으로 무릎을 돌리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힐사이드로 진행시 무릎으로 프레스를 주는방법은 왼쪽무릎을 진행방향 즉, 왼쪽으로 돌리는 것입니다.

자~ 서서 허리를 펴고, 자세를 취하시고 무릎을 돌려주세요. 자연스레 상제가 약간 열립니다.

상체스티어링과 함께 사용해야 더 프레스가 잘 들어갑니다. 조금 열린 상체에서 실제 연습시 조금 더 스티어링을 해주세요.

그러면 약간 중심이 앞쪽으로 갈것입니다.

오른쪽 무릎으로는 그 앞쪽으로 쏠린 중심을 원래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앞으로 살짝 눌러줍니다.

이렇게 하면 힐사이트 진행의 방향으로 데크를 눌러주어 슬립이 없는 카빙을 만들수 있습니다.

토사이드로 진행을 할때는 반대입니다.

오른쪽 무릎을 살짝 오른쪽으로 돌려주는 것입니다. 상체는 자연스레 조금 닫힙니다.

왼쪽무릎으로 살짝 뒤로간 중심을 눌러줍니다.

실제로 카빙시 이러한 스티어링을 하면 힐사이드 진행시 약간 전경, 토사이드 진행시 후경을 느끼실겁니다.

그때 돌려준 무릎이 아닌 반대쪽 무릎으로 살짝 앞으로 눌러주는 것입니다.

저의 데크로 중급정도에서 카빙을 할시 이렇게 큰 프레스로 눌러 주지 않으면 데크는 눈위를 떠서갑니다.

그러나 드래곤을 시승해봤는데, 자기가 알아서 박더군요.

프레스를 줄 필요도 없이..

조금 하급의 데크로 연습해보세요. 더 감이 잘옵니다.

제가 썼지만 뭔가 조금 부족한 느낌이 드네요. 그게 뭔지....^^;;
엮인글 :

stussy

2004.01.09 22:29:26
*.106.37.42

드라곤이 알아서 박는다...좀 이상하군요....
프레스 줄필요도 없다...좀 이상한것 같군요...

크루즈

2004.01.09 22:33:30
*.76.208.68

초급자라 귀가 엷네요. 밑의 글도 잘 봤구요. ㅎㅎ 네임 안쓰신 줄 알았는데, 갠정보 클릭하니 정말 네임이 "없음"이시네요. ^^

허접친구

2004.01.09 22:34:46
*.255.20.34

동의하기 거시기 하군요 개개인마다 카빙에 대한 정의는 틀립니다.
일단...모든 보더는 초급카빙을 함으로서 틀을 깬다.고 저는 생각하는 지라...없음님 께서 지금 쓰신 칼럼은 제가 보기엔 '꽁수'같아 보입니다.
소위 편법이라 불리우는 그런거요. 에...또 없음님께서 카빙과 제가 지향하는 카빙은 많이 틀려 거부감이 생기네요.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저의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단순한 Down이 아닌 Press는 무릎으로 주는것이 아니고 온 몸으로 주는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카빙은 '순수한 무게중심만의 이동을 이용하여 턴을 하는거'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드래곤을 시승해봤는데 자기가 알아서 박는다. 이 말도 좀 그렇습니다 -_-;

없음

2004.01.09 22:37:59
*.152.217.87

제가 타던 데크와 비교해서 그렇다는 얘기인데요.

제데크 버즈런레인보우와 비교하니 엣쥐그립력과 고속에서의 안정감등을 예기한 것입니다.

강촌 슬롭 페가수스에서 큰 무릎 스티어링없이 카빙을 할수있었습니다.

제 데크로 탈때는 상상도 할수없는 얘기이죠. 저는 그렇게 느꼈습니다.

그리고 제가 쓴 내용은 김현식의 중급강좌에서 무플스티어링에 대한 부분이 나오는데.. 저는 그내용과 저의 방법이 비슷하다고 생각했었습니다.

흠.. 별루 할말은 없습니다. ^^;;

허접친구

2004.01.09 22:38:51
*.255.20.34

그렇다면 기존의 렌보우의 사이즈와 드래곤의 사이즈를 말씀해주셨음 더 좋았을텐데 아쉽습니다.
드래곤은 새 데크 였겠군요?

stussy

2004.01.09 22:41:53
*.106.37.42

전 아무리 생각을 해도 프레스없이 카빙을 한다는 말은 좀
이해가 되지 않는 건지 아니면 아직 제 실력이 부족한지...
잘 모르겠네요....
저도 프레스 없이 카빙하고 싶은데요..

없음

2004.01.09 22:42:15
*.152.217.87

드래곤은 02/03 이월모델로 거의 새거였었습니다.

제 데크는 151이구 드래곤은 153이었습니다.

그리고 처음 타보는 중상급 데크였구요. ^^;;

레몽레인

2004.01.09 22:42:47
*.222.45.217

맞는 말씀이네요..무릎으로 돌린다는 표현이..아직도 전 무릎 스티어링이 안되더군요..
전 어깨 스티어링 연습하고 있습니다...특히 뒤 어깨로 쳐주기..아마도 김현식 비디오에
나오는 자세입니다..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없음

2004.01.09 22:43:01
*.152.217.87

흠..... 과장이 섞인 거죠. 죄송합니다.

허접친구

2004.01.09 22:45:05
*.255.20.34

그렇군요. 역시 드래곤이 2cm 나 더 길었군용.
몇가지 이해가 돼지 않는 부분이 있지만 무릎스티어링에 관한 글 재미있게 읽고 갑니다. 수고하세요

없음

2004.01.09 22:46:01
*.152.217.87

변명이라면 드래곤이 프레스를 줄 필요도 없었다는말은 말만봐도 과장이지요.

앉는거도 프레스고 상체돌리는거도 프레스지요. 기울기도 프레스고..

스투시님의 말씀대로 프레스를 주지 않고는 탈수가 없죠.

보드위에 서있는거도 프레스 아닌가? 과장된 표현이죠.

데크의 차이가 좀 크다는 그런 뜻이었습니다. 죄송합니다.

stussy

2004.01.09 22:59:49
*.106.37.42

제가 지금껏 보드를 탄거랑 좀 틀려서요..
그리고 무릎 스티어링으로 완전한 카빙은 힘들다고 생각을 합니다만..
제가 모르는 방법이 있겠죠....
글 잘 봤습니다.

새벽, 그리고 아침

2004.01.10 00:04:28
*.47.106.89

우와~ 제가 지금까지 보고 들었던 무릎 스티어링에 관한 설명 중에 가장 명쾌하군요.
낼 가서 함 해봐야겠슴다. 잘 쓸게요. 감사합니다.

라피

2004.01.10 01:01:32
*.254.208.172

무릎을 진행방향으로 돌려줘라이말씀인데..
힐로갈때도 레귤러는 왼쪽무릎이진행방향이고 토우로갈때도 왼쪽 무릎이 진행방향 아닌가요??
아고 잘 이해가안간다는 ㅡㅡ;;방금 서서 자세잡고해봤는데 힐로갈대는 그런대로 자세가나오는데 토우로갈때 오른무릎은 오른쪽으로돌리니 자세가 좀이상해지네요 ㅡㅡ;;오른쪽무릅을 왼쪽으로가 아닐까하는생각을 잠시 쿨럭..

하누리

2004.01.10 04:07:18
*.232.170.25

무릎스티어링으로 카빙을 하는건 그냥 맛보기로 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나중에 실력이 업되어서 상급에서 탔을경우에 빠른 스피드와 엄청난 마찰력으로 인해 토싸이드로 진행할때
자칫하면 무게중심이 뒤로쏠려 데크가들려 넘어질확률이 높습니다.

stevedore

2004.01.10 09:19:53
*.236.80.1

김현식님 중급 비됴 설명과도 같은거 같은데 아닌가요. 오히려 글로써 있으니 이해가 더 잘되는 것 같은데요.

김진태

2004.01.10 09:46:30
*.178.135.222

제가 하는 무릎스티어링 이군여...

저두 토우들어갈떄.오른발(레귤러기준)힐턴일때.왼무릎바깥으로 돌리면서..왼쪽어깨와 시선 가치눌러눈다는 느낌으로 타는데 ,.,.쫙감기는맛이 좋죠..^^

없음

2004.01.10 11:37:02
*.152.217.87

흐음.. 제가 쓴 글에 대해 여러가지 의견이 많으시군요.
솔직히 이 무릎스티어링은 김현식님의 강좌에 나와있는걸 제가 더 편하게, 알기쉽게 설명을 하려고 쓴거였는데...
제생각은 이렇습니다. 상급카빙으로 갈수록 더 세세한 조정이 필요해지지 않을까요?
저역시 최상급자슬롭에서 슬립없는 카빙을 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그 슬립없는 카빙을 만들기 위해 무릎스티어링도 필요한 하나의 과정이라고 생각이 되네요.
제가 글을 쓸때에는 무릎스티어링에 대해서만 쓴거지, 결코 무릎스티어링 만으로 카빙을 할수있다고 쓴건 저~얼대 아닙니다.
단지 무릎스티어링에 대해서 벌린다, 모은다의 개념에 대해 다른 의견을 말한거라고 생각해 주세요.

Junone

2004.01.10 12:12:01
*.154.137.54

글의 재미를 위한 과장된 설명에 너무 과민반응 안 보이셔도 될듯 합니다.. ^^;;
(누가봐도 재미를 위한 과장법이란것을 알 수 있으니 말입니다)

저 같이 이제 막 카빙의 맛을 느끼려는 초보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글인듯 합니다.
무릎을 이용하는 동작의 느낌을 퓔이 팍팍 오게 쓰셨네요.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홍그리보더..!

2004.01.10 12:23:13
*.248.89.239

스크롤 압박이 좀 .. ㅎㅎ

우언

2004.01.10 15:06:43
*.102.131.165

드래곤이 캠버가 낮아서 그런게 아닐까요..그냥 초보생각..^^

.

2004.01.10 22:37:03
*.149.229.88

sky칼럼에 있는.. 카빙턴마스터에 나오는... 무릎을 모아 보아요 보다는 좀더 카빙에 가까운 설명인듯...

blade

2004.01.11 00:32:06
*.254.169.66

무릅스티어링.. 카빙에 있어서 꼭 필요한 기술이지만 밸런스와 충분한 엣지각을 만드는 연습을 하지 않으시면
오히려 슬립이 더 일어납니다. 어려운기술이죠!!

[風]파삥수[Yo]ⓞⓝⓔ

2004.01.12 09:53:59
*.98.3.9

나만의 방법으로 올린 무릎 스티어링...이군요... 다른 사람과는 다른 방법일 수도 있는거고요.. 좋은 내용입니다...-_- 스투시님 딴지맨 ㅋㅋ 스투시님 저번 토욜밤에 휘팍 갔었는데... -_-; 016 꽁짜 리프트권 못끊어서 그냥 돌아와버렸군뇨.. -_-a 스투시님께 한수 배워야쓰는디....

라묜궁물

2004.01.12 10:15:43
*.51.1.248

저도 무릎스티어링 신경많이씁니다만 거기신경많이쓰다보믄 타이밍이 좀 떨어지고,
타이밍 신경쓰다보믄 무릎스티어링이 좀떨어지고^^ 연습만이 살길입니다~!
무릎스티어링 내용은 다시봐도 중요하군요.

@v@

2004.01.13 11:17:26
*.78.86.183

카빙을 원하시면 알파인을 타세요~

불타는붕어빵

2004.01.13 21:47:02
*.237.161.51

저는 햄머 컨댄스 쓰는대 드래곤 2번 타봤는대 정말 잘박히고 잘 휘감기더라구여.. ㅠㅠ 그 느낌이란..
캬 주금이더라구여 ㅜ0ㅜ 일캐 쉽게 될수도있는건가 아 좋은 대크는 몬가 틀리다.. 아마 없음 님도 그
말씀 하신거 같내여.. 그리고 보통 비기너턴 하실때 무릎 스티어링 해줘보시면 대크가 확 도는것을
느끼실수 있을꺼 같내여 ^^;

윈디안

2004.01.14 21:56:40
*.241.17.165

일단 무릅스티어링의 경우 무릅을 중앙으로 모으는 것은 편법인 것 같습니다. 이걸 정석으로 알고 계신 분들도 많더군요..
무릅을 모을꺼면 차라리 프레스를 더주는 것이.. ㅡㅡa
저 같은 경우(레귤러) 토우 턴시 왼쪽 무릅은 진행 방향으로 오른쪽은 뒤로 밀어주며
마찬가지로 힐턴의 경우 왼쪽 무릅을 진행 방향으로 오른쪽은 앞으로 밀어주지요. 정확한 것인지는 몰라도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더군요
그리고 드래곤을 탔을 때 프레스가 더 들어간다고 느끼는 것을 데크가 길고 하드해서 아닐까요?

역엣지도사

2004.01.19 15:05:51
*.35.58.203

글쎄요....
저도 드래곤을 탔을때 상당히 안정적이라 느꼈습니다. 전 03-04 제이피를 타는데 사실 드래곤을 우습게 봤거든요.......
암튼 하드한것은 잘 모르겠고 카빙시 상당히 묵직하고 안정적인것은 확실히 느꼈습니다.

박호림

2004.01.21 23:07:33
*.253.109.153

님의 글 인상적으로 읽었습니다!
저도 동감입니다...조금더 보충을하자면!

무릎을 모아주는거보다는 골반부터 무게중심의 이동이 이뤄지면서 위치가 이동된다는거죠..
가장 중요한 골반위치가 빠졌더군여^^;
무릎전에 주는게 골반부분인데요......시선->어깨->골반!->무릎

골반위치를 이해만 한다면 엉덩이 빠질일은 전혀 없을거 같애요~
허리는 몸의 중심이기 때문에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하구요
수상스키와 웨이크보드탈때도 같은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되는거죠^^

ㅇ ㅏ..마지막으로 제가 드래곤 02-03모델 153쓰고 있는데,정말 엣지그립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생각합니다!!그러니 당연히........^^
글 잘 읽었어요~사고조심하시고, 즐보딩하세요^^

isaiah

2004.01.30 05:52:10
*.193.48.196

글 잘보았습니다..
김현식의 노하우 저도 다 봤었는데요.... 무릎 스티어링은.. 뭐랄까... 양념이지...
그걸로 턴을 할수있다는 아닌거 같네요.. "없음" 님도 그걸 잘 인지 하신거 같구요...
이말을 하려는게 아니라... 저는 개인적으로... 무릎을 스티어링 하지않아도.. 턴 들어가서.
폴라인과 수직이 됐을때.. 보드를 눈에 밖아 버리는듯이 프레스를 주면... 무릎 주는거 보다.
훨씬 강하고 뭐랄까.. 굉장히 "오~ 안전하군" 하는 느낌이 팍드는데...음.... 잘모르겠네요.

어설픈 540

2004.02.24 06:17:41
*.50.125.26

오~ 정말 좋은 글 이군요.
저도 이 방법으로 요샌 라이딩 하고 있는데 낮은 상급에서 중.초급 정도에 해당 되는 말이구요.
참고로 레인보우 차도에서 이렇게 함 타고 내려오면 다리가 뻐근하죵..
무릎만 하는게 아니고 제가 보기엔 어깨,무릎 같이 스티어링 해줘야 완벽한 자세가 나오고 완벽한 카빙이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자세는 약간 후경에 위치하고요.
힐 들어갈때 뒤로 누우는듯 하면서 어깨 돌리면서 같이 무릎을 돌리는 거죠.몸을 휜다고 해야하나??
그럼 토턴시에는 리바운드에 의해서 순식간에 턴이 이루어지는데 토턴 들어 가실 때에도 몸을 앞쪽으로 밀어주시면서 어깨,무릎 이런식으로 스티어링 하시면 됩니다.
매일 똑 같은 방법으로 라이딩을 하니 슬럼프에 빠졌었는데 이런 식으로 턴을 하니 세로운 세상을 맛본듯 합니다.
강추~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 초보를 위한 강좌 무릎으로 데크를 눌러 BoA요. 프레스 관련..... [32] 없음 2004-01-09 18 6199
352 초보를 위한 강좌 부상방지법 잘? 넘어지기 [10] 돌돌 2004-01-12 4 2363
351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강습동영상_김현식 [11] 샤리 2004-01-13 42 6492
350 초보를 위한 강좌 가라로 배운 왁싱 방법입니다 ^^ 틀린부분은... [23] 김장규 2004-01-16 3 4748
349 초보를 위한 강좌 자세가 보딩에 미치는 영향 (머리) [12] 2004-01-23 12 2987
348 초보를 위한 강좌 자세가 보딩에 미치는 영향 (어깨, 팔, 손) [15] 2004-01-23 15 3577
347 초보를 위한 강좌 제대로 내리막을 내려가보자.. --; [19] ▩양치기 2004-01-27 9 3910
346 초보를 위한 강좌 처음 시작하는 보더의 보드 배우기 순서? [9] youngpc 2004-01-29 14 4192
345 초보를 위한 강좌 해라...하면...는다... [17] 터프가이 2004-02-17 6 2834
344 초보를 위한 강좌 온몸을 던져라.. [16] 터프가이 2004-02-20 4 2699
343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 길이에 관한 짧은 소견.. [11] 이상학 2004-02-21 11 3751
342 초보를 위한 강좌 정말 초보에서 멋지게 벗어나고 싶다면.. [12] 터프가이 2004-02-21 5 3677
341 초보를 위한 강좌 나름대로 해보는 카빙.. --; [2] ▩양치기 2004-02-25 12 3344
340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을 정말 쉽게 익히기 위해서는.. [8] 터프가이 2004-02-27 6 4663
33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 TEACHING 방법 (또는 초보자 SELF 학... [12] CABCA 2004-03-02 25 3667
338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의 입장에서 본 5:5 무게중심 느끼기~!!! [5] 타이지 2004-03-03 10 3591
337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의 타이밍에 대하여.... [35] 김철소 2004-03-08 8 5408
336 초보를 위한 강좌 [허접번역] 알파인 입문..카빙에 대한 열망 [17] 알파인유니션 2004-03-25 18 3363
335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의 탄성과 사이드컷 [1] 환타_ 2005-09-13 16 3153
334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의 장비구매 이것만은 지키자! [11] 뽀대루 산다 2005-09-14 4 3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