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본의 아니게 봉사를 하고 있고, 또 정리해 놓으면
다른분들께 도움이 조금이나마 되실 것 같아 몇자 적습니다.

1.부츠,장갑,보드복에 눈 안들어오게 잘 입는법!
  -알아서 잘 여며서 입으셈~ ㅋㅋㅋ
  
2.보드는 어케 들고 다닐까요?
#주변의 다른 사람들이 다 미워보이거나 누가 시비 걸어줬으면 할때
-옆으로 들고 가끔 회전하여 지나가는 사람들을 한대씩 때려준다,
-엣지를 세워 앞으로 들고가다 맘에 안드는 사람이 있으면 쭉 내밀어 준다.
-바인딩 잡고 질질 끌면서 앞뒤로 흔들고 다닌다.
#설원을 보며 기분이 좋아지고 모든 사람들이 이뽀보일때 (가끔 한두명 제외 ^^;)
-보드 바인딩 부분을 팔꿈치로 감싸안아 몸에 밀착하여 보드가 하늘을
향하도록 한후 들고 간다.
-한쪽 바인딩을 잡고 끌고 가면서 보드 각도가 대략 60-70도 정도
되도록 한후 최대한 몸쪽으로 밀착 한 후
다른 사람들의 통행을 고려하여 끌고 간다.
-캠버(보드중간)쪽을 감싸안고 보드를 최대한 하늘방향을 보게 한후 들고 간다.

3.그럼 보드를 놓을때는?
-바인딩이 보이도록 놓을 경우는 꼽을 수있는 곳이나 보드 지지가 가능한곳에
놓을 경우에만 놓는다.
-그외 일반적인 경우 바인딩이 바닥을 향하도록 한다.
왜냐면, 설면이 아닌곳에서도 엣지로 미끌어지는 것을 어느정도 방지 할 수 있고
설면에서는 보드가 날라가서 다른사람에게 꼿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설면에서 보드혼자 주인 놔두고 열심히 도망가구, 패트롤은 호각불며
그런 폭주 보드 쫒아가는 장면 여러번 봤습니다. !진짜주의!

-벽에 기대어 놓는 경우도 지지할 곳이 있으면 기대어 놓으면 되지만
지지할 곳이 마땅히 없는 경우 보드 바닥이 보이도록 하여
기대어 놓으면 보드가 미끄러져서 넘어질 확률이 많이 줄어든다.
이 경우, 보드 중심을 제대로 안잡아 놓으면 돌면서 넘어지니 주의!

4.바인딩을 채워보자!
-적당히 바인딩을 채울 장소를 물색해야 합니다.
이때, 리프트 내리자 마자 바로 철퍼덕 앉거나, 바인딩 채우고 막 내려가려는 사람 앞에 앉거나
중간에 떡 버티고 않아주시면 오래 사실수 있습니다. (욕먹어서... ㅋㅋㅋ)
-가장 자리나 이미 바인딩 채우고 있는 사람 뒤쪽에서 채우는게 서로 좋으며
이도저도 아닐 경우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기다리시면 바로 자리 납니다.
-바인딩을 묶을때는 레귤러는 왼쪽, 구피는 오른쪽 부터 신으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바인딩에 보면 중간에 있는 끄내끼(스트랩) 하고 앞쪽에 있는 끄내끼 보이실 겁니다.
중간 부터 꼭 채우세요~ 왜냐구요? 이유 자꾸 달면 글만 길어지니깐...
일단 하라는대로 하고... ㅋㅋㅋ 하지만 착한 척하는 제가 그냥 지나치긴 머하뉘~
이유는 발 뒷꿈치를 바인딩과 밀착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에또.. 그러면 왜 발 뒷꿈치를 밀착해야 하냐구 물으시겠죠?
컨트롤을 잘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러면 또 뒷 꿈치를 붙이면 왜 컨트롤이 잘되는지
물어보시겠죠? 그건 힘의 전달이 더 잘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또, ..............
아악~~ 이제 그만~~ 이쯤에서 착한척 이제 그만~ ^^;;
하튼.. 초보때 넘 많은 거 알려구 하지 마시구 이 글이 우스워 보일때쯤
많은 다른 주옥 같은 글들 읽어보시거나 질의응답으로 해결 하시길 바랍니다.

5.내가 과연 리프트를 탈 수 있을까나?
-지금 이글을 읽으시는 당신이 기네스북에 오를 정도의 지능이나 체격이 아니라면 가능합니다.
(헐~ 근데.. 지능이 무지 높은 경우는... 탈 수 있을꼬 같은뎅... 흠.. 건 제외~ )
-일단, 자신이 타는 리프트가 바인딩을 채워야 하는지 아닌지를 파악합니다.
바인딩을 꼭 채워야 하는 리프트의 경우는 스로프 위를 지나가거나 보드 추락 사고가 잦았던 곳에서는
반드시 바인딩을 채우고 리프트를 타야 한답니다. 대부분의 초급 슬로프는 그냥 들고 타고 되는 곳이
많습니다.
-그럼 일단, 들고 타도 되는 경우
열심히 줄에 바른 생활을 외치며 섭니다. 보드나 스키로 자신의 부츠를 쳐도 그냥 그러려니 하십시요~
일부러 그러는 사람 거의 없습니다.
(가끔 친구들이 변태적 성향으로 말미암아 쳐서.. 넘어뜨리기도 하지만... ^^)
리프트 앞 경마장 출발대에 서면 이제부터 가슴이 콩당콩당 거릴것입니다.
이때, 여유로운 걸음걸이로 넘어지지만 마십시오~ (넘어지지만 않으면 타는데 전혀 지장 없습니다.)
그 다음 안내요원들이 하라는 대로 적당한 위치에 가서 서고, 리프트 의자 봐주고 하면 됩니다.
리프트 의자가 다가오면 보드를 살짝 들어줘야 합니다. 그런다음 착석한 후 반드시
안전바를 내리시되 급하게 내리시지 마세요~ 4인 석의 경우 중간 위치 두사람은 자리싸움 해야 하니깐요~
위치정도 되면 천천히 내립니다. 이때 보드의 바인딩을 안전바에 걸쳐 줍니다.
안으로건 밖으로건 그건 취향이라 상관은 없지만 중요한건 걸친다음 안전바 위쪽으로 해서
잡고 계셔야 합니다. 그렇게 있다보면 추울 것입니다. 보드뒤로 숨어서 가시면 대략 위안이 좀 됩니다.
내리실때는 내리는 모든 사람들의 호홉이 중요합니다. 누구하나가 일찍 서거나 하면 리프트 의자가
왼쪽, 오른쪽으로 요동을 칩니다. 그럼 당근 쓰러질 확률이 많겠져머...
그러니 다른사람과 함께 일어서되 내리시기 전 준비는 보드를 부츠위에 살짝 걸치시면 편합니다.
절대 보드 내려뜨리지 마세요~ 보드가 자신의 얼굴을 강타할 수도 있습니다. (무셔~ O.o )
내리실때 보드 살짝 들고 열심히 앞으로 뛰어 가시면 됩니다.
이때도 주의 하실 것은 부츠가 아무리 잘 만들어 졌어도 리프트 내리는 곳은 사람들이
많이 갈아놔서 아이스반이(얼음판)이 생성된 곳이 있습니다. 그런 곳은 피하세요~
-그럼 반드시 한쪽을 채우고 타야 되는 경우
위의 리프트 채우는 방법으로 한쪽(어디라고 했죠? 레규러는 왼쪽, 구피는 오른쪽)만 채웁니다.
그 다음 줄에 서세요~ 이때 보드가 양쪽을 걸치지 않도록 될 수 있으면 몸을 살짝 돌려서 보드가
비뚤어지지 않게 해서 서 계시면 복 받습니다.
한쪽을 채우고 타는 경우 경마장 출발대에 서면.. 떨리실 겁니다. 첨이라...
채운쪽을 약간 바깥쪽으로 밀어준다는 느낌으로 엣지로 밀어주면서 천천히 앞으로 갑니다.
의자 다가오고 착석까지는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앉은 다음 그냥 똑바로 앉아서 안전바 발거치대에
보드 올려놓으면 대략 옆의 스키어나 보더가 괜히 한번 더 보고, 안나오는 가래 한번 더 뱉어주고 할것입니다.
좀 놀았다면 침 찍 뱉으면서 한마디 하겠져.. ^^
몸을 약간 돌려주면 무릎에 무리도 안가고 옆에 이성이 있다면 좀 더 좋겠지만...
암튼.. 몸을 돌려주어... 보드가 될 수 있음 앞으로 향하도록 합니다.
단, 이때 진짜 착한척 한다고 완벽히 보드를 똑바로 하고 오래도록 가시면.. ㅋㅋㅋ
무릎 시립니다.
내릴때가 다가오면 심호홉 크게 한번 하시고 안전바 올린다음.. 몸을 틀어 보드를 이제는 완벽히
똑바로 해줍니다. 엉덩이를 조금 의자에서 조금 빼고 한손으로 위치에 따라 의자 가장자리를 잡습니다.
보드가 땅에 걸리면 대략 난감한 상황이 연출되니... 보드를 살짝 들어올려주는 것 잊지 마시고요~
일단 내릴 타이밍이 되면 보드 내려놓고 살짝 섭니다. 그런다음 의자 가장 자리 잡았던 손으로
계속 리프트 의자 잡고 그 힘에 의해 쭈욱 앞으로 갑니다. 이때, 초보는 그냥 일어선다음 의자를
잡고만 있으면 알아서 밀어줍니다. 이때 무게 중심을 뒤로만 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6.올라오긴 했는데... 넘어지는 것 부터 배워보장
-넘어지는 법부터 일단 숙지를 하세요~
  앞으로 넘어질 경우는 손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가슴을 보호해 주세요~ (전방낙법)
  옆으로 넘어질 경우는 최대한 자세를 낮춘다음 쓰러지세요~
  뒤로 넘어질 경우는 후방낙법을 쓰시거나 몸을 살짝 돌려주어 옆 으로 쓰러지세요~
  그리고 중요한것은 위에 것 뭐가 됐든 구르세요~
-일단 넘어지려고 하거나 불안하면 거스르지 마세요~
  넘어질 타이밍에 잘 넘어지면 크게 안다치지만, 그걸 버티려고 애쓰다보면
  사고치거나 크게 다치게 됩니다.
-그리고 일단 넘어지게 되면 몸이 움직일 수 있는 한 언능 일어나세요~
  (제가 자주 하는 얘기로 누워 버리면 바로 내 목숨 내놓았습니다. 하는 거에요~ ^^:; )
  그런다음 가장자리로 가서 추스리세요~
-만약, 도저히 몸을 가느지 못하겠으면 수신호나 기타 방법으로 도움을 요청하세요!
-일반적인 경우는 일단 넘어지자 마자 몸을 일으켜서 머리가 일단 땅과 멀어져야 하고요~
  2차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몸을 돌려 슬로프 위쪽을 바라보고 앉습니다.
  이건 진짜 중요합니다. 넘어지시면 언능 일어나서 슬로프 위쪽 보면서 그다음 계속 갈지
  가장자리고 가서 좀더 쉴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일단, 위쪽을 보면 자신을 향해 돌진하는 사악한 무리들로 부터 자신을 방어 할 수 있답니다.
-참.. 그리고 넘어질때 절대로 손 짚지 마세요~ 부득이 손이 가야 할경우 팔꿈치로 하되
구르시기 바랍니다. 그 연약한 손목으로 자신의 몸무게+가속도 때문에 증가한
가공할 F=ma 아시죠?을 버티려 한다면 그 힘앞에 무기력하게  무너진답니다.
열심히 구르는 자만이 부상의 고통에서 헤어나올 수 있답니다.

7.흠.. 넘어지니깐 아프넹..
-이런때를 대비하야 보호대라는 것이 있습니다.
물론, 아주 초보의 경우는 크게 필요치는 않지만 일단 낙엽이라도 쓸게 되면
그때 부터는 엉덩이 보호대의 소중함을 정말 절실히 느낀답니다.
베이직 턴을 하시면서 부터는 더 확실해 집니다. 초보자 분들중 대부분이
노즈 팍팍 들고 꼿을때 찾으시다가 넘어지시는게 대부분이라.. ^^;;
엉덩이로 넘어지는 경우가 많아 진답니다. 그러면 대략 꼬리뼈의 존재성을
새삼 느끼시게 될 것입니다.
한번 넘어진 다음 숨쉬기 곤란해하거나 친구가 얼굴을 웃고 있는데 못일어 나면서
쓸데 없는 말만 주절거리고 있다면 그때가 바로 엉덩이 보호대의 소중함을 일깨워줄때입니다.
-보호대는 헬멧, 엉덩이 보호대, 손목 보호대, 무릎보호대 정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프 파이프를 탈때는 척추 보호대라는 것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뎅.. 이건
저도 아직 직접 보지는 못했습니다. ^^;;
모두 필수적인 것이지만, 헬멧의 경우 초보때는 꼭하시는게 좋구여~
나중에 쫌 잘타게 되고 관광보딩할때의 경우는 비니(털모자)로 전환하셔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아무리 날씨가 더워도 비니는 될 수 있음 탈 때는 벗지 마시기 바랍니다.
비니가 우스워 보여도 충격흡수 어느정도 되고 비니가 벗겨지면서 충격을 분산해 주기 때문에
헬멧보다야 당근 못하지만.. 많은 역할을 한답니다.

이 외에 초보가 꼭 알아야 될 것이라든가
추가적으로 덧붙여 주실 말씀이 있으시면 해주시고요~

이 글은  진짜 낙엽(팬듈럼)및 베이직 턴 막 시작 하시는 분들을 위한 글이었습니다.
  
엮인글 :

Derek

2004.01.29 15:33:38
*.74.237.186

1. 눈 잘 안들어오게 하려면.. 원피스 보드복을 입는다.. 절대 안들어오지요. ㅋㅋ

.

2004.01.29 15:37:07
*.204.168.158

바인딩체우기전에
*스트레칭
*넘어지는법
*장비에관한설명 및 착용법
*스케이팅(드레그 포함)
*클라이밍 업 다운
*사이드슬립(엣징의 개념에관한 기초적인 설명)
*리프트 승하차법
이 순서인걸로 압니다.

★뽀드사랑★

2004.01.30 03:46:56
*.153.110.26

그리고 스티켓교육 꼭좀 부탁 ㅜ_ㅜ.. 그리고 영피씨님이 언급한 '폭주보드'..너무 무섭습니다.. 저도 이녀석에게 첫날 개시한 바지 갈렸습니다 -_-;.. 다른분은 허리병신 됐지만...쩝..

재유리

2004.01.30 19:28:52
*.126.41.53

용평 그린에서 내려오는데, 폭주보드가 보이더군요. 다행히 그린의 경사가 그리 심한편은 아니라
제가 먼저 내려가서 보드를 잡긴했는데, 당사자는 위에서 뛰어내려오시더군요.
상급슬롭이었으면, 어찌되었을까....아찔하겠죠?

까불어봐

2004.02.01 01:59:03
*.242.111.51

저두 강촌 디어 정상에서 출발하려는데 폭주를 막 시작하려는 보드가 있어서 후딱 따라가서 잡아온 적이 있는데요...만약 놓쳤으면 끔찍하져... 디어 정상에서 보드를 날리다니...
하여튼 폭주보드를 잡고보니 이번시즌에 라이딩 실력이 늘기는 많이 늘은듯 해서 내심 무척 흐믓~~~

얼러려

2004.02.01 07:49:25
*.212.229.253

제가 두명 갈켰는데 그때마다 젤 첨에 해준 얘기..."나두 보드를 잘 못타서 너를 고수는 못만들어주고 이제부터 초보로 만들 생각이다...매너좋고 보드 잘타면 고수고 매너없고 보드 잘타면 양아치고 매너좋고 보드 못타면 초보고 매너없고 보드 못타면 ㄱㅐ쉑이거던..."

나발

2004.02.03 04:09:02
*.201.160.126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잘 봤습니다

Kill_Shon

2004.02.04 14:32:17
*.38.166.44

얼러려님 원츄~ ^^
매너좋고 보드 잘타면 고수고 매너없고 보드 잘타면 양아치고 매너좋고 보드 못타면 초보고 매너없고 보드 못타면 ㄱㅐ쉑이거던..."
ㅋㅋㅋ 멋진말..

♡Mia♡

2007.02.03 03:43:51
*.48.108.154

이렇게 쉬운글들 넘 좋아요~~~ 초보강좌라면서 도통 모르는 말만 잔뜩있는건 읽어도 뭔내용인지...영~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71
353 초보를 위한 강좌 무릎으로 데크를 눌러 BoA요. 프레스 관련..... [32] 없음 2004-01-09 18 6199
352 초보를 위한 강좌 부상방지법 잘? 넘어지기 [10] 돌돌 2004-01-12 4 2363
351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강습동영상_김현식 [11] 샤리 2004-01-13 42 6492
350 초보를 위한 강좌 가라로 배운 왁싱 방법입니다 ^^ 틀린부분은... [23] 김장규 2004-01-16 3 4748
349 초보를 위한 강좌 자세가 보딩에 미치는 영향 (머리) [12] 2004-01-23 12 2987
348 초보를 위한 강좌 자세가 보딩에 미치는 영향 (어깨, 팔, 손) [15] 2004-01-23 15 3577
347 초보를 위한 강좌 제대로 내리막을 내려가보자.. --; [19] ▩양치기 2004-01-27 9 3910
» 초보를 위한 강좌 처음 시작하는 보더의 보드 배우기 순서? [9] youngpc 2004-01-29 14 4192
345 초보를 위한 강좌 해라...하면...는다... [17] 터프가이 2004-02-17 6 2834
344 초보를 위한 강좌 온몸을 던져라.. [16] 터프가이 2004-02-20 4 2705
343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 길이에 관한 짧은 소견.. [11] 이상학 2004-02-21 11 3757
342 초보를 위한 강좌 정말 초보에서 멋지게 벗어나고 싶다면.. [12] 터프가이 2004-02-21 5 3683
341 초보를 위한 강좌 나름대로 해보는 카빙.. --; [2] ▩양치기 2004-02-25 12 3350
340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을 정말 쉽게 익히기 위해서는.. [8] 터프가이 2004-02-27 6 4669
33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 TEACHING 방법 (또는 초보자 SELF 학... [12] CABCA 2004-03-02 25 3667
338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의 입장에서 본 5:5 무게중심 느끼기~!!! [5] 타이지 2004-03-03 10 3591
337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의 타이밍에 대하여.... [35] 김철소 2004-03-08 8 5408
336 초보를 위한 강좌 [허접번역] 알파인 입문..카빙에 대한 열망 [17] 알파인유니션 2004-03-25 18 3363
335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의 탄성과 사이드컷 [1] 환타_ 2005-09-13 16 3153
334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의 장비구매 이것만은 지키자! [11] 뽀대루 산다 2005-09-14 4 3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