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작할려니까 막막하지요 ?
광보사 식구들이라면 누구나 겪었을만한 고통으로 사료됩니다.
저두 마찬가지구욥
기본적으로 보딩을 위한 장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데크 (판때기)
바인딩 (데크와 부츠를 이어주는 장착대)
부츠 (보드를 타기위해 제작된 신발 보온+방수)
========================================= (이하 보드)
장갑 + 보드복(상,하) + 고글,비니 (옵션) 그리고 리프트권

기본적으로 보드 이외에도 필수 장비는 장갑과 보드복정도가 필요합니다.

1. 보드 구매요령
처음 보딩시 너도나도 막보드를 권해드립니다.
막보드도 종류도 가격도 천차 만별이라 무얼 사셔야 할지 고민이 많을걸로 사료됩니다.
가격은 세트제품으로 20~30만원대 제품을 권장합니다.

구매처는 인터파크나 옥션 이외에도 헝그리보더 http://www.hungryboarder.com/
에 가보시면 샵 세일정보란이 있습니다.
그곳에 샵들의 인터넷 사이트를 가시면 저가형 보드가 세트형식으로 35만원선으로
판매하는곳도 있습니다.

환불은 둘째치고라도 제품의 결함이나 손상시 저가형이라도 A/S 가 용이 하기 위해서는
어설픈 인터넷 판매상보다는 샵을 권장합니다.
최소한 왁싱이라도 무료로 해줄테니 말이죠 ^^
각 샵마다 내놓은 제품과 가격이 시시각각 변화하기때문에 이곳을 통해서
딱맞는 제품의정보와 가격을 제시해드리는건 불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구매가능한 가격대를 정하시고 직접 사이트를 돌아다니시면서
가격내에서 맞는 디자인과 사이즈 정도를 고르시는게 좋을걸로 사료됩니다.

부츠는 처음엔 약 5mm 정도 큰 사이즈를 구매하셔서 신으시고 차후에 좋은거 구매하실때
꼬옥 맞는 제품이나 열성형 가능제품을 통해 발에 맞추시면됩니다.

부츠를 좋은거를 사라는 분들도 계실지 모르겠지만 제 경험상으로는
장비의 중요도보다는 보더의 의지가 더 중요하다 생각됩니다.
얼마나 자주가고 타려고 노력하는가....

사실 첨에 가면 추위도 못느낍니다. 하두 넘어지고 부딪히고 ...
등줄기에서 땀 뻑뻑 흐르고.... 즉, 초기엔 장비에 불편함을 못 느낍니다.

처음부터 좋은 부츠를 사는것보다는...
적당한 가격대의 세트제품을 사서 사용해보시고 시즌이 끝나는 5월즈음 되면
이월상품이 할인가격에 풀리기 시작합니다.

그때 바꾸셔도 무방할거라 생각됩니다.

부츠가 불편하다고 못느끼신다면 안바꾸셔도 무방하구요....

중고장터를 통해서 질좋고 성능좋은 중고 제품을 찾느라 하루죙일 기다리고 쳐다보는것보단

저가형 막보드 새제품을 사는게 더 나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심스제품 세트 30만원대 나온걸 본적이 있는데 어디서인지는 잘모르겠네여
버즈런 제품도 가격대 성능비가 괜찮다고 들었습니다 참고하세요 ^^



2. 의류 구매 요령

보드복은 보온과 방수가 중요한데 그 차이점과 디자인 그리고 브랜드에 따라서 가격이
천차 만별입니다.
물론 요즘은 모든 의류나 기타 제품이 그러하듯 동일한 제품임에도 파는곳에 따라
가격차가 엄청나지요.....

그중 보편적으로 누구나 인정하는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난 제품이 국산 롬프라는 제품입니다.

http://eromp.net 이구요
현재는 판매분이 다 팔리고 2차적으로 사이즈교환용으로 남겨둔 제품과 반품들어온 물건등
잔량을 판매한다고 합니다.

원하는 사이즈와 색상을 선택하셔서 구매하시면 되지만 물품수량문제로 아마 시간이 좀
걸릴걸로 사료됩니다.

바지는 1만방 이상이 되면 무방하구요
상의는 5000방 정도면 됩니다.

사이즈는 꼭! 넉넉하게 사세요..

저같은경우도 사이즈를 일반 옷사듯이 샀다가 ㅡ.ㅡ 너무추워서 옷을 5겹 껴입었더니

KFC 할아버지가 되었다는 -0- 아품이

물론 옥션이나 인터파크등에서도 스페셜브랜드 같은 제품이 많이 올라옵니다.

하지만 상품평을 들어보면 가짜라는 말도 말고 병행이니 머니 말이 많습니다.

그건 개인적 판단아래 감수하시고 구매하실지 안할지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 저도 롬프 바지 구매했는데 이쁨니다. 성능은 아직 안써봐서 모르겠지만 ^^ ##

대님이니 머니 종류도 많은데 그런건 저도 잘 모릅니다.
그냥 대충 사세요 -0-

아참 옥션같은데 무슨 어메리칸 어쩌구 구래서 2~4만원짜리 상하 세트같은건 사지마세요


3. 장갑.
장갑은 요즘 옥션에서도 3M 필름 코팅이라고 해서 뭐 많이 나오더군요..
물론 비싼제품은 장갑자체에 보호기능이 있는것도 있고 파이프용 장갑같은것도 있고

제가 권장해드리고 싶은것은 2가지 입니다.

외피 내피가 있는 제품
좋은것도 없는건 있지만 좋은건 껴본적이 없기에 ㅡ.ㅡ 잘모르겠고
내피 있는걸로 사세요 물론 분리가 되는걸로요 -0-

10만원 자리 1개보단 5만원짜리 2개를 권합니다.
이는 가격을 지칭하는게 아니라 장갑은 2개정도 갖고 있는게 좋습니다.
비싼거 껴도 라이딩하고 나면 젖는다고 하더군요..
말려놓고 다른거 사용하고 또 바꿔서 사용하고 .....
바지도 그렇게 사용하라고 하던데 전 바지보다도 장갑이 축축 하면
손도 시렵고 추위가 더 느껴지는것 같아서
장갑 여벌을 추천합니다.

4. 기타 옵션

고글은 시야확보와 눈보호를 위해 착용합니다.
눈내리고 바람 생생 불면 눈도 시렵고 잘 보이지도 않지요..
있으면 좋고 없어도 무방합니다.

비니는 모자 입니다.
단순한 방한의 목적이기에 필요하시면 사세요..

그외에도 머플러 안면마스크 등등
추위에 이겨내기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있으니 필요에 맞게 구매하시면됩니다.



===============================================================================

본정보는 전문지식이 없는 단순한 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정보입니다.
참고사항일뿐 정답은 될수 없습니다.
저는 디자인보다는 가격을 중요시하고 그다음에 성능을 보기때문에
전반적으로 딱보면 언발란스 합니다.
그래도 별로 상관없어라 합니다. ㅋㅋㅋ 비싼돈들여 보여주고자 함이 아닌
즐기기 위함이니까 -0-

그럼 이만 -0-
엮인글 :

stuffy

2006.06.01 11:30:17
*.116.237.159

잘봤읍니다
고글과 비니는 옵션 사항이 아닌 필수 사항 이라고 생각합니다(특히 고글은 더더욱)
있으면 좋고 없어도 무방합니다가 아닌 꼭 필요한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행복하세요.....^^

곰초보

2006.06.01 11:44:41
*.78.102.220

잘봤습니다
인터넷 샾구매 보다 왠지 헝글에서 묻답 그리고 정보 검색해서
그리고 샾에 가서 부츠실측 확인하고 헝글 중고 장터를 이용하는것이
괜찬은 방법이라고 생각함니다...

x각산땍이x

2006.06.06 07:35:33
*.183.199.190

ㅡㅡ 아 어렵다..
사기 무섭다. 관리가 더 어려울듯. ㅜㅠ

어떤보더

2006.06.06 16:30:38
*.250.8.71

비니는 그렇다 쳐도....(비니 안쓰고 헬멧을 써도 되니....ㅎㅎ)
고글은 필수사항입니다.
우선은 스키장의 엄청나게 반사되어 오는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고글이 필요합니다..
자외선이 일상 생활에서 나오는 양보다 엄청나게 많습니다..이 자외선이 눈에 미치는 영향이 꽤 크죠..
그리고 안면으로 오는 충격에 대해 보호를 해줍니다. 특히 눈 보호의 역할도 하죠...

고글은 자외선 차단면에서는 확실히 믿을 수 있는 브랜드의 제품을 권해드립니다..
또한 고글 외에 선글라스를 사용한다 해도.. 충격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부상을 피할 수 있는 제품을 사셔야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864
273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를 새울려면... file [6] 라쿠세븐 2016-02-21 21 7441
272 초보를 위한 강좌 아재의 '카빙턴 쉽게 하는 팁~~' [38] 호9 2016-12-11 21 10015
271 초보를 위한 강좌 테크니컬 라이딩 기본 자세(토턴, 힐턴) [30] 통역좌 2019-12-28 21 4297
270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턴의 종류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26] 스노보드 2005-11-02 21 12148
269 초보를 위한 강좌 힐턴이 안되는 그대에게 [8] 메딕111 2017-11-28 21 11954
268 초보를 위한 강좌 장비 해체 & 보관 Tip [21] 月세계 2006-05-01 20 5568
267 초보를 위한 강좌 [내리막전문가] Novice Turn 허접 가이드 및... [20] 내리막전문가 2002-12-04 20 4114
266 초보를 위한 강좌 입문하려는 지인과 그들을 강습하는 분들을 ... file [15] DearLiar 2016-02-11 20 5836
265 초보를 위한 강좌 그라운드트릭 입문. #2 [19] 소리조각 2014-11-20 20 10525
264 초보를 위한 강좌 가장 빠르게 베이직 카빙을 배우는 방법 [12] -Double.J- 2017-11-09 20 9713
263 초보를 위한 강좌 원 포인트 레슨 그 허와 실!!! [21] 육보드 2006-01-27 19 5284
262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 기초 카빙 빠르게 완성 시키자!(전향각) [25] 공랑붕어 2017-01-06 19 14872
» 초보를 위한 강좌 경험을 바탕으로한 초보장비 맞추기 [4] 하늘용 2006-06-01 19 2983
260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3탄]렌즈 투과율-주간용 렌즈? 야간... [30] 똥싸개아메바 2006-08-18 19 5472
259 초보를 위한 강좌 더럽게 헷갈리네. 린인/린아웃 알고 갑시다. file [12] 소리조각 2020-12-29 19 2864
258 초보를 위한 강좌 역엣지 안걸리기... [29] 하누리 2003-10-21 19 7243
257 초보를 위한 강좌 뒷발차기 보딩 왜? 무엇이 문제? [22] 이종국 2003-01-02 19 11824
256 초보를 위한 강좌 스켑 초보의 입장에서의 팁! [21] 트生하死 2006-03-29 19 4570
255 초보를 위한 강좌 상판 보호필름 - 집에서 저렴하게!! file [26] 조로아찌 2015-11-19 19 11125
254 초보를 위한 강좌 사이드컷의 의미, 그리고 턴의 원리 [22] 니어커 2007-01-10 19 7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