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카페에 적었던 글 옮겨봅니다.
딴지 환영합니다. 알고있는 것이 맞는지 자신이 없어서 확인하고 싶거든요 ^^;;
#######################################

"중심을 앞으로 둔다는 기분으로 타라"는 말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체중을 5:5로  양발에 분배해야 안정된 자세를 만들 수 있고,

그러기 위해서 몸이 사면과 수직이 되어야 한다지요.

하지만 자기가 감당할 수 있는 경사도 이상의 급경사를 만나게 되면

이 자세가 바로 무너지지요..

여기서!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경사라 생각될 때 극복하기 위한 요령한가지..

(요령이라고하긴 뭐하긴한데^^;;)

"몸을 앞으로 기울여준다" 이게 말은 쉬운데 실제로 이자세를 어찌 잡아야하는지

잘 감이 오질 않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저는 좀 더 쉽게 감이 오더군요

1. 턱을 어깨쪽으로 더 당겨라
   - 실제로는 고개를 진행방향으로 하고 어깨를 턱쪽으로 붙이게 되겠죠..^^;;
     이것은 턱에 힘을 좀 주고 고개를 좀더 돌려준다는 기분만으로도
     어깨, 가슴을 자연스럽게 닫을 수 있게 해 줍니다.
2. 진행방향 편 손을 "노즈를 잡는다는 기분으로" 뻗어줍니다.
   - 앞으로 몸을 기울이게 되는 자세가 만들어집니다.
     경사가 급하다고 생각이 되어질 수록 팔을 더 힘주어 노즈를 잡으려 해보면
     분명 더 안정됨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

자.. 그리고 턴이 분명 되는데 급경사를 만나게 되면 바로 무너지시는 분들
방법은 참는 것입니다. 노즈가 사면 아래를 향하고 속도가 붙기 시작할 때
"10m 만 참는다"라는 마음으로 꾹 참고 기다리시면 분명 자연스레 턴이 되는
타이밍이 옵니다. 그 참는 요령은 위의 1,2번이 되겠지요 ^^*

그럼 이런 저런 이론들은 일단 잊어버리고..그리고 글내용 모두를
슬롭에 올라서도 기억하긴 어렵죠^^
세가지만 기억하고 리프트에 올라봅니다.



1. 턱을 어깨쪽으로 더 당긴다~!
2. 손은 노즈를 잡는다는 기분으로~!
3. 급경사에서의 턴은 10m만 참는다~!



저도 그리 잘 타는 것은 아니지만,
제가 배우면서 가장 도움이 되는 말들 중 몇가지 적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엮인글 :

양치기

2006.09.10 19:06:54
*.5.69.40

사실.. 중급 이상에서 턴 못하시는 분들에겐 꼭 필요한 점이죠..

하지만..저도 최상급은 너무 무서워요..ㅠ.ㅠ.. 크게 구른 기억과..어깨부상으로 인하야..
문제는.. 그냥 넘어졌으면 상관없는데.. 노즈가 눈에 박혀서 구른거라..전경이 더 무서버요..ㅠ.ㅠ

Kick

2006.09.10 19:13:56
*.27.105.201

흠..... 윗분 말씀에 200% 공감합니다...
무슨 요지로 말씀하신줄도 알구요 ^^ 맞습니다.
"중심을 앞으로 둔다는 기분으로 타라"
저도 같은 의견으로 많은분들과 라이딩을 같이 하였습니다.
하지만 요건 글로 하기엔 조금 설명이 힘들거 같아서용 그림하나 그려서 다시 답글 올리겠습니다.
같은 의견이시라면 조금있다가 한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_^

shrimp-mania

2006.09.10 19:57:30
*.106.72.4

몸의 중심은 앞으로 쏠리면 안됩니다- 그런 느낌으로 탄다는 것이 어떤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몸의 중심은 경사면과 직각이 될때 가장 안정된 자세로 탈 수 있습니다-

슬로프가 경사가 있다는 건 누구나 다 알겁니다- 경사가 기울어진 만큼 몸의 중심도 앞으로 살짝 이동을 해야 직각이 되어서,

안정된 자세가 만들어집니다- 그 느낌이 '중심을 앞으로 둔다는 기분으로 타라'의 실체입니다-

그렇게 느껴지는 거지 실제로는 슬로프 경사면과 직각을 이루고 있는 것입니다-

거기서 중심을 더 앞으로 줘버리면, 노즈가 박히면서 넘어지는 거죠-

그리고, 슬로프의 경사면이 커지면서 턴이 잘 안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몸의 중심이 뒤로 빠지기 때문입니다-

"10m만 참아라" 가 아닙니다- 10m를 참아도 몸이 뒤로 빠져 있는 사람은 넘어지게 되어있고, 턴이 제대로 안됩니다-

몸이 뒤로 빠지면 중심이 테일쪽에 형성되며, 테일쪽에 형성된 중심으로는 턴이 당연히 제대로 안됩니다-

대부분 상급 슬로프에서 넘어지는 사람들의 특징이 토우턴에서 넘어지는게 아니라, 힐턴에서 많이 넘어지는 것도 그 이유입니다-

경사면이 커지면 커질수록, 그에 따라 몸의 중심이 더 앞으로 이동되어야 턴이 원활하게 이루어 집니다-

빅에어도 똑같습니다- 몸의 중심이 랜딩존과 직각을 이루지 못하면, 테일랜딩이 되어버리죠-

그리고, 너무 앞으로 몰리면 노즈부터 박히면서 넘어지는 거죠-

그 균형감각이 중요한 겁니다-

shrimp-mania

2006.09.10 20:01:53
*.106.72.4

그리고, 진행방향에 시선을 처리하는 것은 고개를 어깨쪽으로 당겨주는 느낌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약간 사선 방향으로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보드는 체중이동의 운동입니다- 고개가 심하게 어깨쪽으로 돌아가버리면, 어깨 역시 돌아가버리게 됩니다-

어깨가 돌면 허리가 돌게 됩니다- 허리가 돌면 다리가 돌아버립니다-

그러면, 원하지 않는 턴이 생겨버리게 됩니다- 역엣지를 먹거나 넘어지게 되죠-

무리한 시선처리는 더 안좋게 됩니다-

정확한 시선은 어깨와 정면의 약 45도 정도의 앞을 보는 정도로 어깨와 목에 무리가 안갈 정도로만 처리하면 됩니다-

Kick

2006.09.10 20:23:48
*.27.105.201

아 이건 태클절대 아니구요...
^^ 실제로 균형을 앞으로 보내라는 말이 아니구용 그럼 느낌이요
곧 글 추가 하겠습니다...

우지

2006.09.10 20:41:14
*.178.18.160

중상급이상에서 의식적으로 전경잡고 타면 위험할 것같은데...의식적으로 전경을 주고 타는건 초보자들의 중심이 뒤로 쏠리때나 페이키 라이딩 연습에선
적용이 될듯~

AG

2006.09.10 20:57:26
*.237.28.166

강설, 아이스반에선 실제 약간의 전경이 카빙에 유리합니다. 개인차는 있겠지만.
원정가서 파우더에서 전경해보니 힘이 배로 들더군요. 우리나라환경에선 전경이 좀 나은듯.

스노보더

2006.09.10 23:05:05
*.151.123.166

사실 눈이 많이 쌓인 곳에서는 전경주면 꼬꾸라집니다. 조심하시고요 ^^

달순이

2006.09.10 23:09:59
*.22.101.82

전경은 꼭 필요하고 필수라 생각 합니다.
전 배울때 레귤러라 왼발 발바닥을 꾹누른다고 생각하니 되더군요....

appasionato

2006.09.11 01:08:48
*.210.70.50

좋은 칼럼 잘 보구 한수 배워 갑니다~~~ ^^
시리즈로 다른것두 다뤄 주시길~~~ ^^

cabca

2006.09.11 08:56:51
*.92.196.17

fore & aft movement라는게 있지요...결론은 중간이 가장 타기 편하다는 건데...급경사에서 의식적으로 약간 앞으로 몸을 밀어주시는 것은 좋은데, 과하면 노즈 꽂혀서 넘어집니다...적당히...전-중-후의 무게 이동이 최고지요...더불어 상/하체의 스티어링이 같이 이루어진다면 금상첨화이겠지요? ^^

으깽호박

2006.09.11 20:38:13
*.6.114.237

이건.. 강설에서 탈때 이론이죠.^^;;;;;; 파우더에서는.. 못쓰는... 어째든.. 울 나라 슬롭에 맞는 라이딩이죠.머..ㅎ

푸리스탈

2006.09.11 21:13:09
*.230.34.49

경사 상급자코스에서 중경주고 10m참고 내려가다 확돌리면 턴될까요? 과연...자빠 질껄요.스립대박나서....

sd _ bs

2006.09.12 16:30:51
*.94.41.89

저는 한때 급경사에서 너무 전경을 신경 쓴 나머지 턴이 부자연스럽고 자세가 불안정했더랬습니다.
결국 초심으로 돌아가서 5:5로 나누는데 신경을 썼더니 금방 해결되더군요.
역시 늘 정답은 없고 자신의 상황에 적절한 포인트를 찾는게 가장 중요하겠죠.
써놓고 보니 참 애매하기 그지없는 말입니다. ㅎㅎㅎ

늙을수록보더

2006.09.13 10:28:11
*.190.209.61

많이 타서 익숙해지는게 ~~

빅베어보더

2006.09.27 10:02:41
*.233.3.3

헉~~바로 윗분...설명은 짧지만...가장 많은 의미와 강력한 정답이신듯....

"많이 타서 익숙해지는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0
253 초보를 위한 강좌 #1. 기초 상식 및 역사 [6] 룡이 2003-12-04 19 2827
252 초보를 위한 강좌 #3.처음 갈때 준비? 비용? + 용어설명 [11] 룡이 2003-12-04 18 4672
251 초보를 위한 강좌 [허접번역] 알파인 입문..카빙에 대한 열망 [17] 알파인유니션 2004-03-25 18 3363
250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앞으로 계속 타고 싶습니다. 그래서 노... [22] 에셈엪엠 2007-01-02 18 5473
249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장] 입문서 [19] 아리잠 2006-12-28 18 4042
248 초보를 위한 강좌 2016/17 스노보드 라이딩 리포트 [5] 문박사 2016-11-02 18 3597
247 초보를 위한 강좌 무릎으로 데크를 눌러 BoA요. 프레스 관련..... [32] 없음 2004-01-09 18 6199
246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 그리고 초보의 접근법. [17] 『러빈』 2006-09-16 18 5022
245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님들을 위해 ... 30대보더^^&... 2003-12-03 18 2525
244 초보를 위한 강좌 왜 중심을 앞에 두고 타야 하는가? (동조의견) [23] Kick 2006-09-10 18 5272
243 초보를 위한 강좌 x옹,님의글입니다.....마음가짐.. [27] [馬]범근님^^* 2003-01-14 18 2422
242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위한강좌]펜둘럼... [9] 부시 2002-12-06 17 3896
241 초보를 위한 강좌 왕초보를 위한 외침 -1- [17] 초밥대왕 2006-09-23 17 4981
240 초보를 위한 강좌 부상 방지를 위한 무릎 강화훈련 및 스트레... [2] 휘팍 데굴데굴 2006-09-12 17 2408
239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각을 맘대로 컨트롤 하고 싶다면 [24] orthodox 2017-01-11 17 8668
238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강습을 받으러 오신 여성분들께 (강사... [23] 레베카186 2013-12-24 17 4658
23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들을 위한 보드장 기초 설명서 [14] 피아 2007-01-04 17 5378
236 초보를 위한 강좌 [MKII-보드의 유혹] 초보님들이 알아두시면 ... [15] MKII 2002-12-18 17 3332
» 초보를 위한 강좌 왜 중심을 앞에 두고 타야 하는가? [16] 스노보더 2006-09-10 17 5281
234 초보를 위한 강좌 뒷발축이 후경일까요?? file [39] 카빙하는올라프 2014-03-01 17 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