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왕초보를 위한 것임을 밝힙니다.

=======================================================

1.카빙턴을 하자(and 롱턴을 하자.)

리프트를 타게 되면 가장 먼저 들어오는 것이 바로 짧게 턴을 하며 내려오는

멋쟁이 보더들 이다. 아마 초보분들의 대부분이 이 짧은 턴의 유혹을 버리지 못하고

조금만 턴이 되기 시작하면 짧은 턴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는 좋은 현상은 아니다(물론 엣지 체인지 타이밍을 빠르게 하는 연습은 후에 가서을 필수적

이다.) 초보자들이 이 타이밍에서 많이들 뒷발차기를 시전한다. 비기너 턴을 처음

배우고 턴을 제대로 하면 절대 엣지 타이밍을 빨리 가져올수 없다.

너무 무리한 도전은 자세를 망친다.

필자는 짧은 턴 보다는 다음턴을 연습하라고 하고 싶다. 비기너 턴을 연습한 후에는

너비스턴 그다음은 카빙턴 이런식으로 연습을 해서 우선 카빙턴을 배워 놓는 것을 추천한다.

많은 칼럼과 사람들이 이야기 하듯이 카빙턴은 마약이다. 롱 카빙턴을 할때 감겨나가는 에지를

'처음' 느끼게 될때 당신은 아마 엣지를 빼지 못할 것이다. 필자도 그랬다. 맨처음 엣지가 감겨

나가는 것을 계속 느끼다가 나도 모르게 펜스에 부딪혔다.

그정도로 카빙턴은 보드를 타는데 있어 강력한 동기를 부여해주는 도구이다.

특히 카빙 롱턴은 더욱 그러하다.

우선은 롱턴(비기너->너비스->카빙)정도의 차례를 밟고 그다음은 점점 턴의 반경을 줄여나가는

것이 좋다. 또 필자가 생각하기에도 숏턴의 난이도는 상당히 높다. 카빙턴을 먼저 배우고 뒤에

익혀도 충분할 만큼 고난이도 턴이다.

슬로프에서 롱 카빙턴으로 점점 속도를 붙여나가며 중급 슬로프를 정복할 때 까지 연습해보자

아마 매우 재미 있는 과정중에 하나기 때문에 정말 재미있게 보드를 즐길수 있을 것이다.


2.슬럼프 그리고 극복

다른 사람들은 모르겠으나 필자는 한시즌만에 슬럼프를 겪었다. 카빙턴이 좀 되는 가 싶더니

어느 순간부터 무언가 꼬이기 시작했다. 모든것이 마음먹은대로 되지 않으면서 실력의 발전이

없어지기 시작했다. 오히려 후퇴하는 느낌이었다. 그쯤해서 다른 스키장으로 원정을 갔는데

낯선 슬로프에서 무리해서 턴을 하다가 발목을 다쳤다. 바보 같았던 것은 발목을 다친것을

알고도 2시간 정도 더 탔다(좀 아프긴 했는데 탈만했다.) 그리고 부츠를 반납하고 걸어가는데

발목부터 다리가 통채로 부어서 걸을 수가 없을 정도였다. 간신히 3시간 걸려 집에 와서 누워있는데

가만히 있어도 발목을 찢는듯한 고통이 계속되었다. 생각보다 심하게 다쳤었다.

하지만 이 다친것이 슬럼프 극복에 도움이 되었다.  쉬는 기간동안에 동영상을 보면서 나의 문제점이

무엇이었는지 생각해보고 머리속으로 고쳐나가기 시작했다. 다행이 다친것이 금방 나아서

3박4일 캠프를 갈 수 있었다. 그곳에서 다시 비기너 턴부터 다시 차근차근 기초를 다졌다. 지금까지의

나의 부족한 점을 채우고 이미지트래이닝 했던 것들을 돌아보면서 슬럼프가 극복되기 시작했다.

마음을 비우고 새롭게 시작하니 오히려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는 것을 느꼇다. 그렇게 연습을 하다보니

다운언웨이티드 턴도 익히게 되었다.


2-1.슬럼프의 원인 -부츠

필자는 장비중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부츠이다. 필자가 발목을 다쳤던 것도 약간 큰 부츠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사실 부츠가 딱 맞는다면 발목이 꺽일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필자는 렌탈 부츠 유저이기 때문에

여러 부츠를 썻는데 그 때 부츠가 살짝 컷는데도 귀차니즘에 의해 그냥 탔다. 슬럼프와 교묘하게 어울린

큰 부츠는 적절하게 사고를 발생시켰다. 이 그후로는 부츠에게만은 자비심을 베풀지 않는다. 또 다른사람에게도

딱 맞는 부츠가 아니면 절대 교환하라고 이야기 해준다. 부츠는 신체와 보드를 1차로 연결해주는 도구이다.

누구든지 부츠에게만은 깐깐 하길 바란다.


(--)(__)허접하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엮인글 :

헝글관광™

2006.09.23 20:17:48
*.143.162.209

롱던 -> 롱턴 오타요 ^^;;
잘 읽었습니다~

인따르자

2006.09.23 21:29:44
*.62.99.73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저도 장비사게된계기가 렌탈했던 부츠가 헐렁해서 이상하더군요

그래서 부츠만 사려고 했었는데~ 어찌어찌 하다보니 풀셋이 되버렸어요~ ㅡㅡ;;

초밥대왕

2006.09.23 21:46:59
*.252.65.45

수정했습니당~

봄이아빠

2006.09.24 01:40:12
*.194.173.121

딴지는 아니구요^^;;
완전 초보용인데 비기너,너비스나,카빙 턴 등.. 턴의 종류를 좀더 쉽게 써주세요~
글구 부츠는 너무 공감 가는 글입니다.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Zoomer

2006.09.24 07:40:54
*.86.197.56

잘봤습니다~~

악마오빠

2006.09.24 08:07:15
*.248.10.173

정말 부츠는 꼭맞아야하나요? 전 꼭맞는 부츠가있는데..너무꽉쪼여서 피가 잘안통하는듯...늘려야하나...싸이즈는 딱맞는뎅..ㅡㅡ;;

S-카빙

2006.09.24 10:29:31
*.50.34.88

짝짝짝..잘 봤습니다..

노브레끼

2006.09.24 11:32:31
*.29.134.36

잘 읽었습니다^^ 완전초보자의경우 보통 부츠나 바인딩 착용시 발의 고통때문에 헐렁하게신거나 대충조이시는데 이거 아주 않조아요!! 진짜 잘못하다가 윗글처럼 삐긋합니다..

깡패토끼

2006.09.24 12:10:51
*.239.187.213

진짜 엣지박힐때느낌을 잊을수가 없네요..

Slash_Guns

2006.09.24 18:02:03
*.182.243.11

저도 가끔 동회분들 가르쳐줄때 길게길게 턴 하라고...숏턴은 나중에 아무때나 할수 있다고..말해도 잘 안하시더군요..-ㅁ-;;

싼타크루즈

2006.09.24 19:23:32
*.189.193.237

잘 읽고 갑니다...

쩡수뉨

2006.09.25 06:33:28
*.254.36.53

저같은 직장인 주말보더에게 롱턴 연습을 할 수 있는 시간은..
매 타임 시작후 5분동안..
매 타임 종료후 5분지나서..

백발노사

2006.09.25 11:10:17
*.229.137.2

음.. 뒷발차기 갑자기 팍 와 닷네요.. 따로 강습 배운적이 없어서 눈으로 보고 배웠는데 현재 지금 제가 뒷발차기를 하는거 같네요.. 이제는 정말로 강습을 받아서 해야겠네요.. 칼럼 감사합니다.

09

2006.09.25 12:06:51
*.94.41.89

주말보더들이 롱턴 연습하기란 정말 어렵죠.
심야 마지막 타임 정도 되면 대략 한시간 정도는 넓은 슬롭 쓸 수 있으니 그때를 노려보는 것도 좋겠네요.
저는 그때 트릭연습을... 쿨럭...

날씬공주

2006.09.27 10:03:49
*.97.192.88

훔..좋은 정보 감사!

smilogue:)

2006.09.29 02:17:29
*.232.132.146

네..주말초보들에게 있어..욕을먹으면서도
롱턴을 하기 힘든 그런게 있어요;;

라벤더

2006.10.12 09:47:13
*.82.66.214

맞아요.부츠!!!
지금도 잘은 모르지만, 보드를 처음 탔을때 친구들이랑 뭣도 모르고 그냥 운동화 신는 칫수 말해서 240을 신었드랬죠.
발목, 발가락 다 뜨고.. 그게 맞는건줄 알았어요. 큰일날뻔 한적도 있었구요.
정말 부츠부터 제대로 신는것 중요한것 같아요^^

MC HooNY

2007.11.15 13:06:07
*.34.65.14

초밥대왕님 좋은글 잘읽었습니다.
저희 클럽에 퍼가겠습니다.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겠습니다.

sjp

2010.02.16 12:28:51
*.145.67.169

감사합니다. ㅋ
열심이 배워야 겠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18
313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기본적인 용어설명 [12] whiteboarder 2006-12-01 30 8444
312 초보를 위한 강좌 부상을 최소화하는 넘어지는 방법...전에 에... [15] zzzzzz1 2007-01-09 30 5013
311 초보를 위한 강좌 하프파이프 기다려라!! 내가간다 [3] (200... [17] 쪼매난보더 2005-09-21 30 2983
310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를 배우자 [5] ::쿨러닝:: 2002-11-21 29 4277
309 초보를 위한 강좌 그라운드트릭 입문. #1 [14] 소리조각 2014-11-20 29 19389
308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분들을 위한 장비셋팅 [21] Linkin Park 2003-01-07 29 8051
307 초보를 위한 강좌 #2.장비에 관해+기본 에티켓 [7] 룡이 2003-12-04 29 3715
306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2편) [5] BEAT 2003-01-21 28 4242
305 초보를 위한 강좌 스텐스 넓이 정하기 - 넓은/좁은 스텐스 장... file [74] SBdaero 2011-12-01 28 30672
» 초보를 위한 강좌 왕초보를 위한 외침 -2- [19] 초밥대왕 2006-09-23 28 5022
303 초보를 위한 강좌 카빙턴으로...... [8] 레몽레인 2003-04-16 28 5898
302 초보를 위한 강좌 [이벤트] 넘어질때 이렇게 하면 많이 안다친... [24] 뽀득이 2003-10-05 28 4162
301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 요령과 초보들을 위한 조언 [8] 날고싶은새 2008-01-04 28 4266
300 초보를 위한 강좌 초심자에게 알려줄 가장 간단한 스노우보드... [6] Jake! 2015-10-05 28 6362
299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1탄]피그 렌즈 구분하기! [39] 똥싸개아메바 2006-08-17 27 3826
298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3편) [13] BEAT 2003-01-21 27 3703
297 초보를 위한 강좌 순수 초보님(베이직 턴이 안되는..)들.... [18] Mars 2007-01-07 27 7025
296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강습시의 바인딩각도 [16] 설픈민종 2007-02-01 27 11107
295 초보를 위한 강좌 뉴트럴 포지션 전향과 덕스탠스, 무릎 file [31] 제레인트 2020-02-25 27 5248
294 초보를 위한 강좌 잘타는 사람은 덕스탠스다?? [34] 옹헤야~ 2006-12-28 26 8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