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 이제 겨우 2년차입니다.

시즌권을 구입했더라면 손해가 덜한텐데... 라며 스키장을 찾아 시즌을 보내고 있습니다.


  우리가 조금만 고친다면 좋을 거 같은 몇가지 적고 싶습니다.

   = 스키장에서 우리 보더만의 예절을 만들어 가야 할텐데...
     보드가 스키에 뒤지는 건, 아직까지 전통이란 시간 뿐이라고 생각하고 보드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뒤지는게 하나 더 있더군요...  스키장 예절...
     보드 장비가 스키장비보다 비싸다고 우월한게 아니고, 보드복이 스키복보다 멋지다고
     보드가 오래 살아 남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보드가 스키 예절을 따라 가자는 건 아닙니다. 우리가 간단히 지킬 것 몇 개만 정하고
     지킨다면 용평의 보더와 스키어 가격 차별은 없어질 거 같습니다.

    
   = 보드 타시는 분 많고, 스키장 적으면 당연히 스키장에 사람 빼빽히 찹니다.
     (책임을 따지면, 땅좁은 대한민국에 태어난 거지만) 환경만 탓할 게 아닌 것이...
     .      슬롭 한가운데 강습생 죽 앉혀놓고 열변을 토하시는 강사분,
     ..     슬롭 한가운데서 넘어진 김에 쉬어가시는 분
     ...    슬롭 한가운데서 수준과 상관없이 나홀로 굳건히 연습하시는 분
     ....   아이는 슬롭에 올려 놓고, 아래에서 아이 내려 오기 기다리시는 분
     .....  첨부터 끝까지 슬롭 한자리에서 자리잡고 움직이지 않는 동호회 분들
     ...... 슬롭은 야외 이므로 혐연권의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매연 팍팍 품는 분


   - 이제 부턴 제 생각입니다.
     .      선생님의 권위가 땅에 떨어진지 오래서인지. 보드 좀 타면 누구나 강사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오로시 보드 기술 전수만 고집하시는 '대입학원 강사'같은 강사분들 /
       슬롭 중단과 중간에 앉아 있으면 안된다는 기본 예절을 수강생들에게 가르쳐 주셨는지../
       줄기차게 우리의 가녀린 생초보 보더들를 눈밭 앉혀 둡니다. /
       강습이 길어질 수록 그들은 슬롭은 앉아 있어도 되는 곳이 됩니다./
       나중에 슬롭에 앉아 있는 분은 알리로 넘어가면 되니깐...

     ..     많은 분들이 걱정합니다. 아무리 사회가 각박해졌어도. 아직까지 슬롭에 넘어진분
       아무생각 없이 지나가는 분 없습니다. 많은 분들 걱정합니다.
       '넘어지면 즉시 슬롭 가장자리로 옮겨가고, 상황이 좋아지면 즉시 보딩을 계속하거나
        패트롤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배웠습니다.'
        지난번 넘어졌을 때, 누군가 '괜찮으세요'라고 물어주신 분 아직도 기억납니다.
        그분 스키어 아니었습니다. 분명히 보드 타신 분이었습니다.

     ...    슬롭은 고속도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슬롭에 상중하의 급을 두는 건 보더를 위한 배려입니다.
       운전능력과 상관없이 급을 두는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와는 전혀 다른 거라 생각합니다.
       슬롭에 급을 두는 건, 초보 물먹이고 얼굴 팔리게 하려는 것이 아니고 슬롭 디자이너나
       운영자의 사려 깊은 배려일 것인데(남을 못 믿는 우리 환경때문인지...) /
       본인 편한 강의실을 고집하는 교수님처럼 초보, 중급 슬롭에서 생초보 강좌를 개설하신
       강사분들 그래서 왕초보라도 초급, 중급에 올라가야한다고 생각하는 진입(entry)보더분들/
       슬롭 중간에서 잡담한 보더와 거꾸로 내려와 베이스로 다리와 얼굴까지 베이스로 들이대는
       보더 누가 더 나쁜지? 같은 보더인데 누가 잘 못한 걸까? 내얼굴에 침뱉기지...

     ....   상습, 최상급 슬롭에 올라가 눈쓸고 내려오는 중급보더, 사이트 슬립에 간간히 카빙
       턴 가미해 내려오시는 중급 보더/ 초보들 죽 기다리는 리프트 하차장을 최고의 실력과
       스피드를 보여주시며 지나가는 보더의 후배사랑하는 마음


     .....  이미 많은 곳에서 흡연권이 제한 받고, 혐연권이 우선하는 사회에서 보드장은
       야외라는 굳건한 생각으로 바인딩 채우면서 담배 피우거나, 모여 있는 중간에서 끽연
       하시는 분들... / 더구나  담배 피우고 버릴 휴지통하나 제대로 만들어 두지 않는 스키장
       운영자 분들... / ]

     ......  갠적으로 스케이팅으로 맆트 타는 건 생각해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스키 신고 맆트 기다릴 때, 정말 걸리적 거립니다. 스케이팅 할 줄 알지만, 그리고
       들고 타면 맆트에서 내릴 때, 슬롭이 어수선해지지만, 초급 슬롭에서는 보드를 들고
       타는 건 허용을 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 아이들에게 좋은 모습 보여야 하는데...
        누군가의 컬럼에서 처럼, 몇년 뒤에 보드가 없어질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정크 문화, 슬럼 문화, 방종의 문화를 대표하는 겨울 스포츠가 보드라면
        전 언제든지 보드 그만 둘 생각입니다. 내 아이에게 그런 모습 보이기 싫습니다.
        제가 지금은 보드에 미쳐서 중독인거 같습니다만, 담배 19년동안 피우다 끊었고
        간 때문에 술도 거의 마시지 않고 끊은 거 보면, 보드 이거 쯤이야 금방 끊어
        버리겠지요....
                  

        
     이거 말이나 되는 소린지 모르겠고
     좀 있다가 아니다 싶으면 지우겠습니다.
     행복한 보더로 남고 싶습니다.
     아들놈도 지금 보드 배우고 있는데...
     읽어 주신분들 감사하고요.
     Be HappY...



엮인글 :

우이씨~

2007.01.02 17:23:38
*.120.200.224

항상 기본적으로 지켜야할에티켓!! 쉽지만 간과하고 넘어가는 부분이 많은듯합니다~
저부터도 하나씩 지키려고 노력해야 겠네요~^^

◐거친숨소리◑

2007.01.02 17:56:27
*.80.254.147

글을 읽고 가슴으로 하나..하나.. 느끼고 갑니다

take2™

2007.01.02 18:06:09
*.215.140.149

보드들고 타는건 절대 허용하면 안됩니다(뭐.. 다들 들고 타지만 ㅡㅡ)
스케이팅부터 배우고 보드타시길...

저는 이제 어언 10년 탔는데여... 8:2 비율로.. 개념없는 스키어가 많더군요... ^^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진... 글 같습니다

원디기짱

2007.01.02 18:16:38
*.77.237.248

저 또한 그렇치만, 어른이 되면서,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이 없어지는 건 왜 일까요??
본인 스스로 자제하며, 행동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갑자기 엊그제 하이원 곤돌라에서 4분 커플과 같이 탔는데, 담배를 피시더군요..ㅡ,,ㅡ(참고로 전 비흡연자)
스키어랑 부딪쳤는지, 육두문자에 다음에 만나면 아구리어쩌구저쩌구.. 윽.. 정말 보기 그렇더군요..
이런분들은 정말 인격자체가 의심되곤 합니다..

만만이~

2007.01.02 18:36:05
*.209.177.85

추천합니다^^ 저도 매년 느끼지만 정말 군대만큼 빠른속도로 변해가는 보드장(보더들은 이렇게 부릅니다 ㅋㅋ)정말 안습이고 걱정입니다^^ 저부터 고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데크라이더

2007.01.02 19:02:53
*.249.98.216

원디기짱님 곤돌라 금연구역 아닌가요? ^^ 당당하게 비흡연자의 권리를 말씀하시지..

2007.01.02 19:19:19
*.221.195.110

다 좋은데 보더가 스키어보다 뒤진다 라는 표현은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개개인의 인성문제 입니다.
전 매너없고 교양 없는 스키어들을 더 많이 봤습니다.
오히려 아실만한 분들이 그러는 모습이 더 보기 싫었습니다.
그렇다고 스키어가 보더보다 더 매너 없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그냥 매너 없고 교양 없는 스키장의 한 손님일 뿐..
"스키타는 쉑이들은 보더들보다 더 매너 없어"라고 단정지을 순 없다고 생각합니다.

스노페이퍼

2007.01.02 20:23:39
*.37.37.158

최상급의 중급보더- 뜨끔했습니다. 반성합니다.
그렇지만, 이미, 앞에 가신분들이 수많은 모글을 만들어 놓아 그렇게 내려올수밖에 없다고 변명해 봅니다.

꽃보다보드

2007.01.02 22:31:39
*.138.129.212

스키 안사봐서 몰겠는데, 좋은건 스키가 휠 비싸지 않나요? 1장 쉽게 넘어가던데.
스키복도 좋은건 엄청나던데여.. 후덜덜
슬롭 고속도로로 사용하는건 스키어인데, 너무 겁납니다. 특히, 허** 레이싱 스쿨 떼스키 활강.
데크 떨어뜨려서 수박 쪼개지는 분 생기는것 보단, 스키신고 맆트 기다릴때 보드 스케이팅에
걸거적 거리는게 좋겠죠. 스케이팅은 보드 기술의 기본이죠.
(데크 뒤에 상처나는건 보더 보단 대부분 스키어들이 찍어대기 때문입니다.)
나머지는 많이 공감.

☆맥☆

2007.01.02 23:29:05
*.82.3.190

스키복 스키장비 보드보다 절대싸지 않습니다
그리고 초급강습의경우1:1 내지 1:2아니면 바닥에서 강습하지 리프트 타고 슬롭 올라가서 강습않합니다 .
아무데서나 담배피고 슬롭에서 기본예절 안지키는 보더가 스키타면 금연구역지키고 남을먼저 배려하며 스키를 탈까요?

미연아빠

2007.01.03 07:00:24
*.47.241.106

혹시 리프트에서 보드 떨어트리는 장면 목격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제가 본 장면은 분명 초중급이라고 표현되 리프트였습니다...리프트에서 떨어진 보드는 바로 유령보드로 변해서 리프트 대기줄로 달려갔습니다..호히려 상급이라면 굳이 스케이팅이 필요없겠죠..그정도의 실력을 가진 보더라면 자기의 장비 혹은 떨어트리면 어떻게 되는지 알고 있을꺼라 생각합니다...혹시 스키어중 가장 많이 폴대를 떨어트리는 사람들이 어떤사람인줄 아시나요?..
거의 대부분이 초보나 어린 아이들입니다..
오히려 보더들이 리프트 티켓팅할때 리쉬코드 대여도 같이 했으면 합니다...한마디로 리쉬코드없이 리프트 탑승금지죠...
필수적으로 넘어지는거 배우고 난뒤에 스케이팅은 사이드 슬립보다 먼저배워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어느정도 지나면 익숙해져서 오히려 들고타는것이 불편하게 느껴지니깐요..

뭉치

2007.01.03 08:02:28
*.241.147.32

잘 읽어보고 갑니다.~

그냥

2007.01.03 11:23:52
*.222.229.153

김연아가 우승한 피겨 스케이팅에도 규정종목(기본기), 프리스타일 ? 2가지로 평가 하지요.
전 가장 기본이 미끄러지는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이걸 못 하면 기술 향상이 안 될겁니다.
(파우더도 잘 미끄러져야 잘 탑니다. 에지루 타는게 아닙니다. 바닥으루 탑니다.)
스케이팅 많이 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히이원가서 티바 탈때 제데루 타죠, 티바 제대루 타는 사람이 고수입니다.
외국(유럽) 나가시면 높은 고도의 빙하의 리프트는 다 티바입니다. 빙하상태에 따라 티바가 옮겨다니기
때문에 체어리프트설치 불가능 합니다.
뭐 파우더는 여건상 못 탄다 그러구, 모글은 어느정도 타야 합니다.
원정가면 파우더아니면 모글인데 어떡하실려구요
리쉬코드도 필수구요

에셈엪엠

2007.01.03 12:01:25
*.253.60.49

읽어 주신 모두분 감사드립니다.
제 갠적인 의견이라 좀 편향되고 치우친 감이 있다는 말씀 동의 합니다.
저는 보더와 스키어를 구분하지 말자. 즉 '나(보더)만 잘하면 된다'주의 자 입니다. / 비교하지 말구요~
스케이팅에 대한 반론이 많으시네요.../ 스케이팅과 리시코드에 대해 요즘 고민중입니다. / 불편한데 이걸 꼭 해야하나!! / 여러분 의견대로 저도 고치겠습니다/ 저도 보드 오래타고 싶습니다. 그래서 고치겠습니다. Be HappY...

달과 600냥

2007.01.03 12:59:38
*.187.8.14

모든 보더가 다 그런건 아닙니다. 제가봤을때 일부의 사람들이 일을 만드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 사람도 자세히보면 근본이 나빠서 그런것도 아닙니다. 더더욱 못배워서 그런건 아니구요.잘못된 문화의 태동으로 해석해야하나(?) 일 예로 예비군복 입혀 놓으면 멀쩡한 엘리트들도 지시하는 반대로 가려는 성향을 보인다는... 스노우보드계에도 스키어도 인정하는 풍토, 못타는 사람도 인정하는풍토, 주변의 타인을 이정해주는 풍토가되어서 유아독존의 스노우보드가 아닌 상생의 보드가될 수 있도록 마음을 여는 2007의 시즌이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에셈엪엠님과 모르지만 칠순까지 보드를 함께즐기고싶은 마음으로 긁적긁적,,,

호이보더

2007.01.03 14:57:32
*.227.93.145

잘 읽었습니다. 좋은글 감사요

^^

2007.01.03 18:11:08
*.83.139.49

글쓰신분의 요지를 파악하자구요... 사소한거 꼬투리잡지말구요..
의도는 다 아실듯.

불멸의보더

2007.01.03 20:46:21
*.77.190.60

스키나 보드나 강습 한다고 길 막고 있는건 똑같네~ 제발 강습 할 때는 양 싸이드에서,,,,,,.

영파토깽

2007.01.03 22:52:16
*.79.162.146

^^ 동호회 젤실음... 스키장 전세냄???

애들은 괜찬던데.. 보기좋아요 !!

동윤

2007.01.04 22:04:58
*.199.116.141

어느정도 개념선에서 타인도 호응 할 수 있는 상식선에서 비단 보드장(스키장)뿐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행동, 말, 생각 하신다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웃으면서 즐길 수 있는 보드(스키)장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중요합니다.....생각하며 말하고 행동 합시다.

雪立™-지팡이

2007.01.07 16:09:03
*.255.216.83

좋은 글입니다~

간질의제왕-_-v

2007.01.09 01:47:54
*.57.249.235

좋은 글이네요. 동감한방입니다. 다들 젊은 혈기와 기분도 이해하지만 실은 상대방을 배려하는 모습이 더 멋있어 보인다는 걸 인식하고 서로 배려하는 보딩했으면 좋겠습니다.

단... 들고타는것 허용 여부만 공감이 안됩니다. ('' )a 사실 이젠 국내에선 너무 정착되서 스키장에서 컨트롤할수없음이 매우 안타깝습니다만... 스케이팅은 사실 너무 당연한기본이라 외국에서는 데크를 들고타려하면 100% 빠구죠.(북미의 경우는) 위에서 미연아빠 님도 떨어진데크가 유령보드가 된걸 말씀하셨지만, 데크떨어져서 아직까지 사람다친일이 없는게 전 아직도 매우 놀라움과 동시에 신기할 따름입니다. 정말 언젠가는 누군가가 한번 크게 다치는 일이 생기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걱정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81
253 초보를 위한 강좌 #1. 기초 상식 및 역사 [6] 룡이 2003-12-04 19 2827
252 초보를 위한 강좌 #3.처음 갈때 준비? 비용? + 용어설명 [11] 룡이 2003-12-04 18 4674
251 초보를 위한 강좌 [허접번역] 알파인 입문..카빙에 대한 열망 [17] 알파인유니션 2004-03-25 18 3363
»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앞으로 계속 타고 싶습니다. 그래서 노... [22] 에셈엪엠 2007-01-02 18 5473
249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장] 입문서 [19] 아리잠 2006-12-28 18 4042
248 초보를 위한 강좌 2016/17 스노보드 라이딩 리포트 [5] 문박사 2016-11-02 18 3597
247 초보를 위한 강좌 무릎으로 데크를 눌러 BoA요. 프레스 관련..... [32] 없음 2004-01-09 18 6199
246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 그리고 초보의 접근법. [17] 『러빈』 2006-09-16 18 5022
245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님들을 위해 ... 30대보더^^&... 2003-12-03 18 2525
244 초보를 위한 강좌 왜 중심을 앞에 두고 타야 하는가? (동조의견) [23] Kick 2006-09-10 18 5272
243 초보를 위한 강좌 x옹,님의글입니다.....마음가짐.. [27] [馬]범근님^^* 2003-01-14 18 2422
242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위한강좌]펜둘럼... [9] 부시 2002-12-06 17 3896
241 초보를 위한 강좌 왕초보를 위한 외침 -1- [17] 초밥대왕 2006-09-23 17 4981
240 초보를 위한 강좌 부상 방지를 위한 무릎 강화훈련 및 스트레... [2] 휘팍 데굴데굴 2006-09-12 17 2408
239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각을 맘대로 컨트롤 하고 싶다면 [24] orthodox 2017-01-11 17 8668
238 초보를 위한 강좌 초급 강습을 받으러 오신 여성분들께 (강사... [23] 레베카186 2013-12-24 17 4658
23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들을 위한 보드장 기초 설명서 [14] 피아 2007-01-04 17 5378
236 초보를 위한 강좌 [MKII-보드의 유혹] 초보님들이 알아두시면 ... [15] MKII 2002-12-18 17 3333
235 초보를 위한 강좌 왜 중심을 앞에 두고 타야 하는가? [16] 스노보더 2006-09-10 17 5281
234 초보를 위한 강좌 뒷발축이 후경일까요?? file [39] 카빙하는올라프 2014-03-01 17 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