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를 처음 접하거나 어느정도 타시다가 장비를 장만하시는 분들중에

인터넷을 통하거나 샵의 직원들에게

데크를 소개 받을때 여러가지 용어를 듣게 됩니다.

데크가 하드하다라든지 캠버가 높다든지 이런용어들을 말입니다.

그중에 이데크는 사이드컷이 깊다, 사이트컷이 그리 깊지 않다 란 말을 들을텐데요.

저도 처음에 접했을때 그냥 무심코 듣고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사이드컷이란 무엇이며 왜 존재하는걸까요?

많은 강좌들이 많지만 솔직히 처음접하는 용어들도 많을 뿐더러 무슨 말을 하는지,

허리를 펴라, 업다운을 확실하게 해라, 프레스를 더 주어 각을 세워라등 막연하게

어느정도 중급이상의 보더들이 아니면 무슨말을 하는지 모르는 설명이 많을뿐

간단하게 턴이 어떠한 이유로 되는지는 설명이 안되있어 다들 아시겠지만

처음 접하는 초보분들을 위해 글을 씁니다.

 

바로 아래 그림의 빨간색을 칠한부분 즉, 데크 아래의 쏙 들어간 부분을 사이드컷이라 부릅니다.

A 그림은 데크가 설면에서 진행 방향일때의 모습입니다.

그림을 보면 알다시피 데크가 설면에 있을때 즉 엣지가 먹여져 있을때 사이드컷을 인해 빈공간이 생깁니다. (빨간선과 데크와의 사이)

이렇게 되면 데크의 중간부분은 의지할곳이 없어집니다. 데크의 양끝처럼 설면에 박고 모양을 유지할수 있는 힘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사람은 중간에 서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데크는 아래쪽을 휘게 될수밖에 없습니다.

 

B 그림은 제가 임의대로 사이드컷을 매워버린 경우입니다. 데크의 윗쪽을 보시면 A 그림과 다르게 평평하다는걸 아실껍니다.

이러한(사이드컷이 없는)데크를 엣지를 먹이면 모든 부분이 평등하게 힘을 받기때문에 데크는 휘지 않고 평평함을 유지 하게 됩니다.

 

이제부터 사이드컷의 존재이유를 설명하겠습니다.

데크는 데크의 중앙에 프레스(압력)을 가하면 데크는 자연스럽게 반원을 그리며 호를 이루게 됩니다.

그러면 데크는 이호를 따라 반원을 그리며 턴을 하게 된다는 것이죠.

그런데 데크는 어느정도의 하드함을 가지고 있어서 어중간하게 프레스(압력)을 준다고 해도 쉽게 휘지않습니다.

그래서 업다운을 통해 보다 많은 압력을 가하게 되는것이죠. 또 그럼으로인해 데크는 슬라이딩하지 않고 호를 따라 턴을 하게 됩니다.

고스카이님의 강좌를 보면 양쪽무릅을 모으면 더 턴이 잘된다고 말씀하시는 부분이 있는데 이렇게 하면 데크가 더 휘게 되어

턴이 더욱 자연스럽게 되는 원리죠.

 

쓰고 보니 허접하기 짝이 없습니다.

슬라이딩턴에서 이제 카빙턴으로 진입을 하시는 분들께 위의 내용들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엮인글 :

타거

2007.01.10 00:49:50
*.138.185.232

오~호.......모르던 사실인데...알게되었네요...감사감사..

고니™

2007.01.10 01:04:44
*.204.201.169

잘 읽었습니다..매번 소중한 정보 감사해요^^

경상도짝귀

2007.01.10 01:24:11
*.226.141.72

생~유~!

스뎅밥그릇

2007.01.10 02:19:40
*.9.82.71

이거 하시려고 올리셨던거구나 ㅎㅎ 멋지내여~

니어커

2007.01.10 03:10:11
*.234.94.198

옷...스뎅님글은 몇개 읽은 기억이...제가 가끔 쓰는 아뒤가 스뎅면도날이라 유심히...ㅡ.ㅡ

뭉치

2007.01.10 08:22:19
*.241.147.32

잘 읽고 갑니다... ~~

BoarderMani

2007.01.10 08:45:37
*.228.184.8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초보

2007.01.10 09:18:22
*.114.22.140

입니다.. 멋진 글 감사합니다.

근데 사이드컷이 깊은게 좋다는건가요/ 얕은게 좋다는건가요??

허허허

2007.01.10 10:46:32
*.10.163.189

일반적으로 사이드컷이 깊으면 좀 더 다이나믹한 턴을 할 수 있겠지만... 라이딩의 방식이나 종류에 따라 제작되기 때문에
깊은/얕은 것이 좋다/나쁘다라고 단정지어 말하기 어렵습니다.
각 브랜드들은 나름대로의 노하우로 사이트컷을 제작합니다. 복수의 원호를 적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같은 길이라도 브랜드 별로 유효엣지가 다릅니다.

고도칸보더

2007.01.10 15:24:24
*.145.189.13

사이드컷을 나타내는 수치인 Sidecut Radius의 단위는 meter입니다.
예를 들어, sidecut raduis가 8.0이면 반지름이 8미터인 원을 그리면서 턴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버튼 발란스157.5 같이 확확 감긴다는 데크가 7.64,
느리게 턴 되는 느낌을 주는 ERA158은 8.1정도 됩니다.
자신의 스타일을 알게된 이후에 한번쯤 고려해야할 요소입니다.

(논외이긴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라이딩 테크닉(무릎을 모아준다거나/전경/후경)/눈 상태/엣지 각등등의 요소가,
자신의 턴 반경에 엄청나게 많은 영향을 미치죠)

단순

2007.01.10 17:40:47
*.247.149.5

허접한 실력이라 사이드컷에 대해서 많이 고려합니다
깊은 사이드컷을 가지고 있는게.. 확 감기면서 턴이 잘된다는 느낌이 오는거 같아서리.. --;; 버튼계열이 쫌 깊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완만한 사이드컷을 가지고 있는 데크를 타보니 넘 답답하더군요 -_-a 힘도 더 드는거 같고 대신 안정적으로 느껴집니다.

작년부터는 복수의 사이드컷을 가진걸 타보고 있는데.. 턴을 진입시에는 완만하게 그리고 턴의 중반쯤 되었을땐 좀더 깊게 되는걸 느낄 수가 있더군요~

rideing꽝

2007.01.10 18:27:04
*.73.22.36

좋은글이며 특히 고도칸보더님에 글이 제일 가깝지않을까요
단순히 사이드컷이란 덱을 만들때 레디우스로 잘라만들지만
덱에 특성이나 하드함 라이더에테크닉 눈에질 프레스방식에 더많은 영향을 주는것같아요
참고로 노멀스키나 카빙스키나 구사할수있는 기술차이가 없듯이(카빙스키가 실력이 모자라면 카빙에 도움이 되듯이)
덱에선 레디우스가 우선이아니라 보더에 능력이나 텍에특성이 더많은 영향을 줄것 같군요
결국 사이드컷은 그냥 참고자료 정도만 생각하시는게 어떨런지^^^

아리잠

2007.01.11 01:32:34
*.46.131.149

이번에 허리 좀 많이 잘록한 놈으로 바꿨다 하루종일 자빠졌습니다.
제가 느끼기엔...결국은 테크닉이지만 무시할부분도 아닌것 같습니다.

너부리

2007.01.11 15:48:19
*.231.153.204

레디우스가 틀리면 턴반경이 틀려지겠죠.

kym38317

2007.01.11 16:44:44
*.48.133.201

턴이 이렇게 된다는거는 알고있었는데 자세한 설명 들으니 더 좋네요 감샤 ~~~

No.8 제라드

2007.01.11 20:44:40
*.152.32.124

좋은글 잘봤습니다~

박태우

2007.01.11 23:17:20
*.51.112.88

보드도 허리가 잘록해야 좋은 거군요. S라인 만드는 일등공신이니깐요. 글 좋아요...^^

어우야아

2007.01.12 11:38:53
*.95.187.27

좋은 글이네요.

나스카

2007.01.13 06:07:43
*.111.207.215

좋은글 감사~

Zjenith

2007.01.14 13:26:48
*.227.129.161

아 그렇군요...좋은글 감사합니다~

피에르

2007.01.25 22:09:15
*.157.116.87

아...항상 머릿속으로만 생각하다
그림을 보니 제가 생각한 거랑 융합이 쉽게 되는군요...
근데 엣지 줄때 양 발에(토우던 힐이던)힘을 주면 캠버때메 중간이 뜨지는 않을 까요?
(조금이라도 그럴거 같은데...)
그래서 양 무릎을 모아주라는 건가용?
아 어렵다...TT
감사한 정보..꾸벅

작은고래

2007.01.31 19:00:12
*.241.31.104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848
273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를 새울려면... file [6] 라쿠세븐 2016-02-21 21 7441
272 초보를 위한 강좌 아재의 '카빙턴 쉽게 하는 팁~~' [38] 호9 2016-12-11 21 10015
271 초보를 위한 강좌 테크니컬 라이딩 기본 자세(토턴, 힐턴) [30] 통역좌 2019-12-28 21 4297
270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턴의 종류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26] 스노보드 2005-11-02 21 12148
269 초보를 위한 강좌 힐턴이 안되는 그대에게 [8] 메딕111 2017-11-28 21 11954
268 초보를 위한 강좌 장비 해체 & 보관 Tip [21] 月세계 2006-05-01 20 5568
267 초보를 위한 강좌 [내리막전문가] Novice Turn 허접 가이드 및... [20] 내리막전문가 2002-12-04 20 4114
266 초보를 위한 강좌 입문하려는 지인과 그들을 강습하는 분들을 ... file [15] DearLiar 2016-02-11 20 5836
265 초보를 위한 강좌 그라운드트릭 입문. #2 [19] 소리조각 2014-11-20 20 10525
264 초보를 위한 강좌 가장 빠르게 베이직 카빙을 배우는 방법 [12] -Double.J- 2017-11-09 20 9713
263 초보를 위한 강좌 원 포인트 레슨 그 허와 실!!! [21] 육보드 2006-01-27 19 5284
262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 기초 카빙 빠르게 완성 시키자!(전향각) [25] 공랑붕어 2017-01-06 19 14872
261 초보를 위한 강좌 경험을 바탕으로한 초보장비 맞추기 [4] 하늘용 2006-06-01 19 2983
260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3탄]렌즈 투과율-주간용 렌즈? 야간... [30] 똥싸개아메바 2006-08-18 19 5472
259 초보를 위한 강좌 더럽게 헷갈리네. 린인/린아웃 알고 갑시다. file [12] 소리조각 2020-12-29 19 2864
258 초보를 위한 강좌 역엣지 안걸리기... [29] 하누리 2003-10-21 19 7243
257 초보를 위한 강좌 뒷발차기 보딩 왜? 무엇이 문제? [22] 이종국 2003-01-02 19 11824
256 초보를 위한 강좌 스켑 초보의 입장에서의 팁! [21] 트生하死 2006-03-29 19 4570
255 초보를 위한 강좌 상판 보호필름 - 집에서 저렴하게!! file [26] 조로아찌 2015-11-19 19 11125
» 초보를 위한 강좌 사이드컷의 의미, 그리고 턴의 원리 [22] 니어커 2007-01-10 19 7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