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활성화되지 않아 정보가 부족하고, 보드장의 슬롭에는 보더들을 찾기 힘들던
그런때가....  당연히 있었죠..^^
그당시 최고의 학습은 경험이였습니다.
실력보다는 먼저 시작한 선배보더라는 이유로 강습하고, 알려주고..
원체 일천한 지식으로 시작한지라 지금도 전문용어는 하나도 모릅니다.
이곳 역시 결국은 자신의 주관적인 글을 적는곳이고, 냉정하지만 그 다수의 글중에 자신에게필요한 정보만 얻어가시면 되는 겁니다.
솔직히 헝글엔 좋은 정보도 많지만, 틀린 정보도 많고, 자신의 경험보단 헝글에서 눈으로 얻어진
정보가 돌고돌며 정답화 되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허덥한 제 글 역시 그런 케이스고, 이제 막 보드를 접하고 라이딩을 배워가시는 분들에게
먼저 시작한 보더의 입장에서 단 한분이라도 올시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적어봅니다.
기존의 정확하고 전문적인 정보들과는 다른 종류의글이니 큰기대는 마십시요..하핫..;;

*카빙이란 무엇인가? 라이딩을 잘한다는건?
슬롭에 정확히 몇cm의 엣쥐를 박고, 지나온 턴자국이 명확하게 어떻게 그려져야 하고
몸의 각도는 슬롭과 몇도로 기울어야하며.... 등등 답이 있을까요?
명확히 이게 카빙이다, 저게 카빙이다 선을 그을수는 없을겁니다.
하지만, 라이딩을 잘하는 분들은 분명 계십니다.
아마도 라이딩을 잘한다는건, 슬롭의 상태(설질,경사,규격등)에 크게 구해받지 않으며
어떤 슬롭에서건 자신의 자세를 유지하며 늘 한결같은 라이딩을 보여주는게 아닐까 합니다.
초,중급의 설질좋은 라이딩하기 그만인!! 슬롭에서의 멋진 라이딩을 설질개판인 상급의 슬롭에서도
한결같이 행한다면...

*그럼, 어떻게 라이딩 연습을 할까?
글로 적자면 한도 끝도 없을겁니다. 데크의 선택과 바인딩 셋팅방법 부터 시작해서
스텐스 넓이, 상하체 로테이션, 업다운, 낙엽 어쩌구저쩌구..
이런건 건너 뛰겠습니다. 원체 좋은 내용의 글들이 많으니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조건 슬롭을 많이 타십시요.
상주보더 1년차를 주말보더 5년차가 따라잡기 버겁습니다.
주중 주간의 널널함의 메리트는 어느 강습보다 효과적이죠.
슬롭에 많이 오르내리는것 보다 좋은 방법은 없습니다.
그 어떤 이론도, 그 어떤 설명도 몸으로 느끼는 경험보다 좋은 학습은 없을겁니다.
보딩은 몸으로 부대끼며 몸으로 느끼는 그런 원초적인 쟝르가 아닐까 합니다.
킥커만 주구장창 들이대는 분들은 킥커에 강하시고..
라이딩만 죽어라 파는 분들은 라이딩이 좋습니다.
각 보드장에 프로보더들 보다 라이딩 좋은 아마추어 보더분들 엄청 많습니다.
그만큼 라이딩을 많이 하셨고, 반복으로 얻어지는 경험은 정말 클수밖에 없습니다.
수없이 연습하십시요.
실패란 없습니다, 성공이 아니면 나머진 경험일뿐..!!!

서두에 말씀드렸듯이 이곳에 보다 논리정연한 글들이 많으니, 저는 다른부분으로 접근을..;;
자..그럼 먼저, 타겟을 정하십시요.
한 보드장을 베이스로 정하고 다니다 보면 분명 눈에 들어오는 사람이 있을겁니다.
눈에 들어오는 라이딩을 하는 보더가 있다면 늘 주의깊게 지켜보십시요.
상,하체의 움직임 팔의 위치등등을 눈에 익히고 벤치마킹을 하십시요.
주변에 일행이 있다면 틈틈히 물어보세요.
내가 생각하는 내 라이딩 모습과 실제로 보여지는 모습의 차이를 간파하셔야 합니다.
동영상을 찍어서 보는것도 도움이 되겠죠.
자신의 라이딩 모습을 자신은 죽어도 모릅니다. 수많은 악수보더들(뒷손만 악수자세로 올라온)이
슬롭에 분포하는 이유도 다 이때문 일겁니다.
기회가 된다면 자신이 찍어둔 보더와 인사를 나누십시요.
자연스레 리프트에 동승을 하거나, 쉬는 시간에 맞춰 말을 건네보십시요.
웃으며 인사하고 잘탄다 멋지다 칭찬해주면 싫어할 사람 없을 겁니다.
몇번 인사를 나눴다면, 혼자있는 기회를 틈타 원포인트 강습을 부탁해 보세요.
당신의 라이딩이 멋져 벤치마킹중이다 지적을 해달라.. 말을 건네세요.
설마 때리기야 하겠습니까?^^
원포인트 강습에 성공했다면, 그후부턴 그 사람도 당신의 라이딩 모습을 주시하게 되고,
십중팔구는 추후에 지속적인 문제점도 지적해 줄겁니다.

주말보더라면.. 무리한 롱턴연습과 j턴은 오히려 안전에 도움이 안됩니다.
라이딩 연습에 롱턴과 j턴이 좋다고 흔히들 말하지만, 현실적으로 주말보더들에겐
그런 넉넉한 공간이 허용이 안됩니다.
슬롭의 정상에서 레귤러라면 좌측을 구피라면 우측을 택해서 슬롭을 반으로 나누어서
그반의 넓이만 이용하는 턴을 연습해 보세요.
자신의 턴타이밍과 업다운타이밍을 맞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데크의 스펙상 회전반경 자체도 그리 넓지는 않습니다.

친분을 넓히십시요.
동우회의 가입도 한 방법이고, 자신의 베이스에 지인이 많거나 아는 분들이 많다면
실력 향상은 물론이고 자잘한 사고시에도 도움이 될수있습니다.

초딩시절 죽어도 못외울것 같던 구구단을 언제부턴가 술술외우던 모습이 기억납니다.
몸으로 익히는 보딩에 팁은 존재하겠지만, 정석은 없을 겁니다.
자신에게 맞는 몇몇팁을 꼭 캐취하시고 주구장창 슬롭에 오르셔서 올해는 만족할만한 라이딩을 익히시길 기원합니다.



*짧은 페이키라이딩의 팁
페이키라이딩의 필요성은 딱히 말하지 않아도 이미 알고 계실듯 합니다.
페이키라이딩을 연습해야지!! 라는 생각으로 굳이 바인딩의 셋팅을 바꾸거나 하지는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꼭 트윈데크를 이용하실 필요도 없습니다.
저역시 0203시즌 처음 페이키를 연습할때 당시 대표적 디렉셔널 데크로 프리라이딩의 대명사로 불리던 나이트로 내츄럴로
꾸준하게 연습을 했습니다.
페이키라이딩이 힘겨운건, 방법을 몰라서라기보다는 단지 어색하기 때문입니다. 익숙치않음에서 오는 공포라고 해야 할까요..
그럼 어떻게 연습해야 할까요?
그렇죠. 주구장창 연습보다 좋은것은 없습니다..;;
단, 몰아서 하는 연습보다는 매일, 매번 해주는게 100배는 좋습니다. 이유는 윗쪽의 글처럼 익숙해지기 위함입니다.

1) 자신이 이용하는 슬롭에 일정구간은 늘 페이키로 지나가십시요.
매번 그구간을 지날때면 무조건 페이키라이딩으로 지나가는 겁니다.

2) 턴을 끊어서 연습해보세요.
욕심을 버리시고, 1턴 1턴 끊어서 연습을 하세요. 토우가 안되면 토우만 그다음엔 힐만..이어서 1턴만..
그후에 1턴이 2턴으로.. 차근차근 단계별로 욕심을 내십시요.
내가 라이딩은 어느정도 하는데 페이키라고 뭐 별거있겠어~ 라는 생각은 부상만을 초래합니다.
슬롭에서 새로움을 행할때는 늘 겸손해 지십시요.

3) 절대 공포에대한 본능적인 체인지를 하지 마세요.
1턴만해도 속력이 붙어 나도모르게 원래의 포지션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초기엔 태반입니다.
그렇게 원래의 포지션으로 돌아가 멈추고 주변을 살피다가 또 연습을 시작하시겠죠..
절대, 그 버릇을 고치셔야 합니다.
무서우면 멈추세요 멈추시되 꼭 연습하던 페이키 그 포지션으로 멈추십시요.
그후 다시 페이키로 출발하시구요. 무조건 익숙해 지셔야 합니다.

4) 1번의 반복.
보딩에서 연습과 반복보다 좋은 경험도 학습도 없습니다.
귀찮고 두렵고 지겨워도 항상 정해놓은 그 구간은 늘 페이키로 지나가십시요.
단, 스스로에게 시간을 정해놓지 마십시요.
내일까지 , 다음주까지 페이키라이딩을 끝내야지 뭐 이런거 말입니다..^^
익숙함이 맘먹는다고 어느순간 확 와닫지는 않지만 차츰차츰,
어느순간 페이키로 진행을 해도 어색하지 않은 스스로를 발견하실겁니다.
마치, 저절로 구구단을 쉽게 읇조리는 초딩처럼..;;


정작, 서두는 요란했지만 별반 내용은 없습니다..;;
두서도 없고 지극히 개인적이며, 다들 익히 알고 계시는 내용일겁니다.
몇해전 올렸던 글을 다시금 정리하여 올려봅니다.
보드장과 보딩을 많이 접해보지 못한 시작하는 보더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엮인글 :

Balto

2007.12.09 17:08:18
*.211.114.170

겉멋만 잔뜩 들어있는,,제겐 정말 고마운 글입니다,,, 무지무지 감사드립니다,,
주옥같은 글중에,,
"실패란 없습니다, 성공이 아니면 나머진 경험일뿐..!!!"
이말씀,, 깊이 새기겠습니다,,
올해는 좀더 나은 라이딩을,,, 페이키 한번 해보고 싶은 주말보더올림,,,(__)

WKD보더

2007.12.09 17:24:17
*.142.218.38

주말보더인 저로서도 공감이 가는 말씀이시네요...상주 1년차를 따라잡기 힘들다는...역시 경험이죠~

cyberchan

2007.12.09 17:39:53
*.129.198.40

좋은 글 감솨~^_^
아........... 페이키.......................................OTL

eneenfm

2007.12.09 19:33:45
*.153.149.139

뭔 프로도 아닌데 그냥 재밌게 안전하게 타세요.
자세 신경쓰면 좋아질 순 있지만 그 스트레스를 생각하면 뭐 하고 있나 생각듭니다.
즐거운 보딩...
남과 비교말고 안전하게 재밌게...

하아하아

2007.12.09 23:31:14
*.153.31.146

윗분.. 재밌게 안전하게 타라고 하시는데... 그게 얼마나 어려운 건지... 느껴보셨습니까?
재밌고 안전하게 타는 것 만큼 정답이지만 어려운 건 없습니다.

남과 비교를 하기 위해서 연습하고 노력하는 게 아닙니다.

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재밌고 안전하게 타기위해 연습하고 노력하는 겁니다.

내가 누구게?? ^^

2007.12.10 00:18:38
*.142.30.107

무서우면 멈추세요 멈추시되 꼭 연습하던 페이키 그 포지션으로 멈추십시요.
그후 다시 페이키로 출발하시구요. 무조건 익숙해 지셔야 합니다

이부분이 제일 제게 도움되는 부분이네요.

이밖에도 도움많이 됐습니다.

좋은글 잘봤습니다.
기회되시면 또 좋은 칼럼 부탁드려요^^

가서하우차우

2007.12.10 01:11:23
*.132.53.117

짱도움이되네요. 바로 위엣분이 감동먹으신부분이요. 페이키관련.ㅋ

Lunatrix

2007.12.10 01:31:11
*.252.70.138

우왕ㅋ 페이키 관련글은 정말 큰 도움이 되었네요. ㅎㅎ 저도 열심히~~~~

777

2007.12.10 08:49:11
*.43.121.2

페이키 라이딩... 잘 보았습니다. 항상 연습해야지 하면서 어느순간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나를 보게 됩니다. 좋은 도움 되겠네요..

5678

2007.12.10 11:30:42
*.47.57.25

좋은글 입니다

우왕굳

☆알콜☆

2007.12.11 03:30:07
*.30.128.28

요즘 페이키에 맛들인 나...자꾸 더 돌아서 끝내는 원래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ROXY

2007.12.11 11:46:51
*.158.169.83

이번라이딩은 훼이키로만 해야지..해도 잘 안되더라구여,, 위험에닥치면 어느새 레귤러로 와있다는...

anon.又

2007.12.11 22:32:58
*.187.142.74

혹시 러빈님? 잘읽었습니다..

이대리

2007.12.12 08:46:15
*.238.127.190

좋은글이네요..참을인이 필요합니다. 페이키라이딩은 ㅎㅎ

달려라국밥

2007.12.12 14:28:19
*.101.103.45

요즘 열심히 페이키라이딩을 연습중입니다...근데 타다보면 돌아가있다는...-_-

『러빈』

2007.12.12 16:48:05
*.109.77.151

anon.又 님. 예 러빈 맞습니다..;;
올해도 베쑤로 들어오시겠죠? 오랫만에 인사나누고 얘기나눌 시간이 생기길 고대하겠습니다.
건강하세요~!!!

Stay Hungry

2007.12.13 16:17:44
*.219.147.171

페이키 라이딩,,
정말 처음 으로 돌아가면 될 것을 왜 그것이 안되는지.. 님 말씀대로 시간이나 날짜를 정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역엣지무서워요

2007.12.14 17:05:57
*.159.180.156

저..죄송한데요.. 페이키라이딩이 무얼 말하는건가요.. 구피인 사람이 레귤러 연습하는거가 페이키인가요? 묻고답하기 검색해도 안나오길래 물어봅니다

나두 페이키 라이딩

2007.12.17 22:07:49
*.141.75.38

야구에서 스위치타자라고 보시면 쉽습니다. 레귤려도 탈줄알고 구피로도 탈줄아는...

금빛보더

2014.08.16 16:27:50
*.3.132.76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65

초보를 위한 강좌 Ride of Dream...#.1 [카빙체험기] [16]

  • Lucky.B
  • 2006-07-25
  • 추천 수 40
  • 조회 수 510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가르친다!(4편) [10]

  • BEAT
  • 2003-01-22
  • 추천 수 39
  • 조회 수 3103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그리고 초보의 접근법 &스위치라이... [20]

  • 2007-12-09
  • 추천 수 39
  • 조회 수 6899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에 입문하려는 분들께.. [11]

초보를 위한 강좌 시즌 종료 후 장비 보관하기! [14]

초보를 위한 강좌 왕초보->초보 의길 (기본용어와,낙엽-베... [14]

초보를 위한 강좌 시선처리 1편 - 나는 왜 무릅이 안구부려 질... [17]

  • Kick
  • 2007-12-21
  • 추천 수 35
  • 조회 수 9933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 보더를 위한 옷고르기~! (의류편) [33]

초보를 위한 강좌 토턴을 잘하는 방법[여성금, 19금] [30]

  • 없음
  • 2004-01-08
  • 추천 수 35
  • 조회 수 8670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 스탠스에 대한 모든것 [한글] [6]

초보를 위한 강좌 하프파이프 기다려라!! 내가간다 [2] (200... [3]

초보를 위한 강좌 Snowboard Old School 창고개방 !! [8]

  • KOON™
  • 2006-11-08
  • 추천 수 33
  • 조회 수 5939

초보를 위한 강좌 입문자를 위한 장비, 의류 구매 가이드(스압有) [15]

  • 반테오
  • 2018-09-12
  • 추천 수 32
  • 조회 수 527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님들의 장비구입 고민에 대해서..같은 ... [7]

  • Ε_numsiki
  • 2002-08-08
  • 추천 수 32
  • 조회 수 3007

초보를 위한 강좌 [강습법] 초보자에게 토턴 가르치기.. [14]

초보를 위한 강좌 모든 보더 준수사항 [51]

초보를 위한 강좌 프리를 알파인처럼 타기 위해.... [9]

초보를 위한 강좌 잡다한 턴들.. (원제: 턴의 이해) 내용추가. [17]

초보를 위한 강좌 하프파이프에 처음 입문 하시는분들께.. [29]

  • kk
  • 2008-01-30
  • 추천 수 31
  • 조회 수 6854

초보를 위한 강좌 하프파이프 기다려라!! 내가간다 [1] (2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