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이팅~~

어찌보면 아주 간단해 보이는 기술이고 그냥 쉽게 보드 똑바로 한체 발로 밀면서 가면되 라고 한마디로 가르치고 끝내버릴수있다

하지만 이 스케이팅 결코 만만치 않다 자신이 아무리 보드를 오래 탔다고 해도 제대로 스케이팅 하는 사람은 별로 흔치 않다

어찌보면 별로 배울 필요성도 많이 못느낄수도 있기 때문이다

스케이팅의 목적을 보면 평지에서 이동하는 기술이다 실력이 되면 평지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초보의 꿈인 보드를 신고

리프트를 탈수가 있다 하지만 숙달이 되지 않는다면 평지에서 이동하는것이 매우 힘이 들고 리프트도 항상 보드를 들고 타야 한다

그리고 쫌 탄다고 자부할지 모르겠지만 평지에서나 리프트에서 자신의 모습은 결코 고수로 비추어 질 수 없다

아무리 멋찌게 입고 내려와도 평지에서 보드를 들고 다니는 것보다 일명 간지나게 가볍게 툭툭 밀면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멀리 이동하면 깔끔하고 한층 업그레이드 된 모습을 볼수 있을것이다

자 이 스케이팅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대부분 사람들은 이 기술을 잘 가르쳐 주지 않으며 잘 가르쳐 주지도 않는다 아니 거의 대부분 아주 짧게만 알려줄뿐 가르칠 능력이

되지 않는다 지금부터 잘할수 있는 팁을 알려 줄 것인데 몇가지만 지켜도 쉽게 나갈수 있는걸 느낄 것이다

첫째로 시선 처리이다

보드에서 시선처리는 가장 중요하다 스케이팅 뿐만 아니라 모든기술 보드뿐만 아니라 다른 운동에서도 시선처리가 가장 중요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케이팅을 하게 되면 땅을 보고 열심히 발을 차면서 나간다 하지만 목표점을 찍고 오라고 하면 어떤사람은

땀까지 흘려가면서 힘들게 온다 자 시선이 땅을 향하면 안되는 이유는 목표지점이 계속해서 변경이 되어 버린다 똑바로 일직선으로

왔가갔다 해야 짧게 이동할수 있는데 이미 시선이 땅을 향하는 순간 보드는 똑바로 가지 못해서 거리상으로 약 20%정도 손해를 본다

절대 땅을 볼 필요가 없다 오직 목표지점만 보면된다

둘째는 중심이동이다

발을 미는 순간은 보드가 진행들어가면서 체중이 앞으로 간다 하지만 곧바로  몸이 뒤로 빠진다 몸이 앞으로 뒤로 왔다갔다 하면서

10이라는 힘을 밀었지만 체중이 뒤로 빠지면서 50%정도의 힘을 또 빼았가 버린다 차는 발을 힐에찌에 위치하는 사람도 체중이

뒤로 빠지기 때문에 발은 항상 토우 에찌에 위치 시킨다

중심이동을 고치려면  레귤러를 기준으로 왼손을 앞으로 향한다면 누군가 도망가는 사람을 잡는다는 느낌으로 팔을 쭉 피고

묶인 발도 앞으로 위치 시켜 고정한다 이때 허리도 펴준다

세째 발차기

초보자들은 열심히 발을 차면서 간다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데 수십번 디딜것이다 슬러프는 미끄럽다 그리고 야간의 경사도 있다

단 1도의 경사도 잘만 이용하면 쉽게 멀리 이동할 수 있다 20미터정도 거리를 단 3걸음만 써서 이동한적도 있다

발을 찰때 발은 편안하게 45각도로 틀어서 디딧으며 몸배꼽정도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무릅과 무릅을 붙일정도로 앞으로

가져와서 한번을 밀더라도크게 크게 밀어버리다

그리고 절대 빠르게 찰 필요 없다 한번을 차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다 있다 하지만 빠르게 발차기를 하면 탄력받은 힘을 무시하고

계속해서 쓸때없는 힘을 낭비하는 것이 된다 천천히 크게 차면 발이 체공되어 있는 순간 보다 멀리 멀리 이동할수 있다

처음 자신이 발을 한번 찰때 얼마나 이동할 수있는지 테스트를 해보기 바란다 10이라는 거리를 갈수 있으면 한 7정도 거리를 갈때

발을 차주면 알맞을 것이다너무 끝까지 활용하려고 체공을 길게하면 중심을 잃어버려 넘어질수도 있기 때문이다

네째 다리고정

스케이팅의 가장 취약점은 보드가 묶여있기때문에 자꾸 왼쪽으로 쏠리는 현상이다 보드가 왼쪽으로 가는건 당연한 현상이다

다리가 꼬여있기때문에 풀리려는 현상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일종의 턴의 원리이기도 하다

자 우리는 12시 방향으로 가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보드의 힘은 10시 방향으로 힘이 주어지고 있다 똑바로 간다고 생각하지만

자신도 모르게 10시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자 12시 방향으로 가려면 2시간이는 힘을 반대 방향인 2시 방향으로 힘을 주고 가야한다

그리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 아까 설명했듯이 왼발무릅(레귤러)  안쪽측면부분이 가운데 발가락에 위치할정도로 앞으로 고정해준 상태에서 무릅을 2시방향으로 살짝 눌러 주면서 천천히 이동하면 된다

다섯째 발올리기

이동하면서 탄력이 붙으면 더이상 발을 찰 필요가 없어진다 이때 발을 뒤바이딩 안쪽에 발을 올리게 되는데 처음에는 바로 올리지

못하고 바인딩을 밟던지 테일을 밟아서 넘어지곤 한다 처음부터 바로 올릴생각은 하지 말고 거의 차렷한다는 느낌으로 안쪽까지

가져온다음 뒷바인딩에 딱 걸리게 발을 올려 놓는다 렌탈 보드경우 패드가 없어서 미끄럽지만 오른발 바깥쪽 측면으로 단단히

고정시킬수 있다

여섯째 브레이킹

마지막으로 멈추는 것인데 발올리기까지 된 사람만이 시도할수 있다 보드가 탄력이 붙은 상태에서 갑지기 서야할때가 멈추고싶을때

보드안에 위치한 발을 살짝 앞으로 빼서 많이 뺄 필요 없다 발의 절반정도 빼서 발가락으로 꾹 눌러주면 보드가 90도로 틀어지면서

멈추게 된다 취향에 따라서 뒤꿈치로도 멈출 수 있다

마지막으로 리프트에서 착용하고 내리는 것인데

별거 없다 리프트가 도착을 하고 렌딩들어갈때 보드를 12시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발을 패드부분에 위치 시키고 시선을 멀리 손으로

리프트를 밀면서 앞으로 쭉 나간다 그리고 적당히 앞으로 나간다음 브레이킹을 해주면 끝이 난다 무서워 할 필요 없다

발만 안정되게 올려 놓고 뚝 나가라 그리고 멈추면 끝이다~~



엮인글 :

.

2008.01.04 01:40:24
*.172.41.179

브레이킹시 발을 토우나 힐쪽으로 살짝 뺸다음 바인딩쪽으로 밀면서 정지동작 가져가면 좀더 안전하게 정지가 가능 하다는...

스케이팅 중요하죠~ 서서 바인딩 채우는 노하우를 실현 하려면 필수 ㅋㅋ

volcomsnow

2008.01.04 05:40:36
*.120.95.146

적당히 경사진 면에서 한발 라이딩을 해보는것도 도움이 될듯합니다

스케이팅은 몸의 체중을 앞쪽다리에 실어주는것이 중요합니다

3333

2008.01.04 09:17:52
*.146.47.135

스케이트보드로 푸쉬오프 며칠만 연습하면 스노보드 스케이팅은 껌입니다. ^^;;

skylover

2008.01.04 12:30:39
*.99.212.133

상세한 설명이네요. 영상 한 편도 첨부되었으면 초보자분들이 더 이해하기 쉬울거라 생각됩니다.
정지동작은 급할땐 드래그, 좀 더 여유있으면 뒷발로 캠버를 지긋이 눌르면 부드럽게 돌아가면서 정지합니다.
몸이 꼬여있기 때문에 방향이 틀어지는건 암암리에 엣지를 써서 보정하면 되구요. 조금만 연습하면 감이 오는 것들이죠.

보드에 입문하면서 예절과 함께 가장 먼저 습득해야할,
나와 타인을 위해 당연히 지켜야 할 기본중에 기본이라고 생각해왔던 것들이
근래에 와서 자꾸 논란의 대상으로 불거진다는건,
제대로 강습받지 못하고 홀로 슬롭에 나선 보더분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생긴 부작용이 아닌가합니다.

뽀대만

2008.01.04 14:01:49
*.120.16.34

짝짝짝.. 좋은 글입니다.
간단한 것도 글로 옮기려면 어려운 법인데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그런데 저의 스케이팅중 궁금한것 한가지는 역시 해결이 안되는군요..
리프트에서 내릴때 급경사이면서 폭이 좁은 곳도 많은데 위와같이 정지를 하려면 보드가 발을 축으로 90도 회전하게 되어 옆의 스키어나 보더들과 발이 꼬이게 되어 넘어질 때가 있습니다. (특히 성우 브라보 등등)..
아주 민망합니다.
그래서 저는 그런곳에서는 들고 탈때도 있습니다. 오히려 바운딩 채우기 번거로와지는데도 말이져.
이걸 어째 해야 할까요?
현명하신 분들의 고견 바랍니다.

skylover

2008.01.04 15:52:54
*.99.212.133

성우 브라보 하차장 악명 높기로 유명하죠. 바닥은 얼음에 경사가 쎈 회전코스이니 말입니다.
스케이팅이 숙달이 된 분이라면 제일 먼저 튀어나가 브라보 출발선까지 쭉 미끄러지면 됩니다.
체중이 실린 앞발만으로 얼마든지 컨트롤이 가능하며,
여의치 않을 경우 발끝과 뒷꿈로 조금씩 드랙을 주어(정지를 위한 드랙 말고요) 장애물을 피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방법이 아니라면 리프트 탑승시 가장 좌측 또는 우측으로 탑승하는게 현실적으로 가장 좋겠네요.
좌측 하차시는 힐 드래그, 우측 하차시는 토 드래그로 재빨리 동선을 벗어나면 엉켜서 넘어질 확율은 줄어들겠지요.

balmily ★

2008.01.04 18:24:37
*.75.115.67

와^^
넘 감사해요~
스케이팅 처음보다 많이 좋아졌다해도
성우 브라보 올라가면 늘 '내 가장 약점인 곳인데 어쩌지.. ' 하면서 내릴 때 스케이팅 걱정을 하게 되거든요.
설명이 자세하게 되어있어 좋은 공부 된 것 같아요. ^-^

사진찍을시간에보드나

2008.01.05 11:48:38
*.249.70.19

스케이팅이 가장 쉬운 기본기술인데, 이게 몇년이 되어도 제대로 하기 힘들다니-

뭐하자는 역설법인지-

차라리 낙엽을 몇년을 해도 제대로 하기 어렵다고 하시죠?

일촌치킨

2008.01.05 22:14:17
*.141.8.84

내용이랑은 상관없는 글인데.. .. 글에 단락 구분이 있었으면.... 좀 더 읽기 편할 것 같습니다~

크발칸B.D

2008.01.05 22:47:54
*.109.51.25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모모드

2008.01.06 00:22:12
*.36.9.45

그냥 달고 하루 타시던가 강촌가서 하루타시면 됩니다~~~ ㅎㅎ

ROXY

2008.01.07 12:42:19
*.158.169.55

잘읽었습니다
어제 그냥.. 구피로 스케이팅연습을 또 해봤는데 저번 한번해봤을때보다는 잘되었지만
친구가 무지 답답해하더라구여..

구피로도 하다보면 좀 잘되겠져?ㅋ 주위에 구피타시는분들이많아서 립트탈때 불편해서 ㅠㅠ

헐리웃보더

2008.01.08 13:09:43
*.180.58.72

아무리 그래도 오크벨리 상급자코스는 리프트 내리는 곳에서 슬롭까지 너무 멀다는...
경사도 없는 평지여서 너무 힘들어요..ㅠㅠ..
허벅지 터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65
353 초보를 위한 강좌 고글/렌즈분리와결합~이미지있어요 [17] 에비수보이 2005-11-13 51 5531
352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2탄]연식이 다른 피그,,렌즈 교체하... [27] 똥싸개아메바 2006-08-17 50 5933
351 초보를 위한 강좌 [이벤트]초보자를 위한 자세교정 연습법 [51] 꼼지락 2003-09-25 50 7300
350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입문 경험담과 얇팍한 노하우.. [19] 늦뚱이보더 2009-12-05 50 8787
349 초보를 위한 강좌 20대 후반 직장인 병아리 보더를 위한 글 [22] 김쌘도 2008-12-31 48 7637
348 초보를 위한 강좌 초초보형 헝글사진 초간단 보정하기 간단 셜... [7] some Guy 2006-12-29 48 3931
347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 카빙을 위한 몇가지 팁 [75] orthodox 2016-02-12 47 15392
» 초보를 위한 강좌 스케이팅요령 [13] 날고싶은새 2008-01-04 47 5455
345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 초보자를 위한 바지 구입요령 [9] 이진형 2002-02-01 45 7448
344 초보를 위한 강좌 여성보더를 위한 베이직 카빙 강습방법 [47] Wookie 2009-12-29 45 20918
343 초보를 위한 강좌 상체로테이션의 방법 [14] 쌔끈라이딩 2008-01-29 44 9345
342 초보를 위한 강좌 바인딩 각도와 스탠스 길이에 따른 고찰 [23] 날틀성 2003-02-15 44 13197
341 초보를 위한 강좌 이제 막 턴이 되서 신나는 분들에게.. [33] 가루군 2009-12-23 44 17870
340 초보를 위한 강좌 자연스런 자세의 라이딩 [28] 으악 2008-01-25 43 9356
33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 위한 셋팅 방법 part 1. [15] 근육왕자 2007-11-17 43 8238
338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의 요령 [9] 날고싶은새 2008-01-04 43 7134
33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강습동영상_김현식 [11] 샤리 2004-01-13 42 6492
336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에폭싱 해보자!! [29] 김구라. 2007-01-01 41 6666
335 초보를 위한 강좌 카빙입문 좀더 개인적인 견해 [16] 니어커 2007-01-26 41 7464
334 초보를 위한 강좌 누구나 놓칠수 있는 사소한 부분의 중요성 ... [53] J.S 2009-01-15 40 6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