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들은 보드를 타면서 턴을 가장 하고싶어하며 강습을 하기전 거의 얼마나 해야지 턴을 할수 있냐고 묻는다

턴~~~

사람마다 다르다 어떤 사람은 바로 하루만에 나갈수도 있고 몇일을해도잘 안될수도있다 하지만 첫 턴을 하는게 가장 어렵기도 하다

원리는 쉽지만 가장 힘든건 순간의 심리적인 고비를 가장 넘기기 힘이들기때문이다  보드가 직활강 되는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섭기때문에 몸을 바로 뒤로 가져가면서 힙은 뒤로 빠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심리적으로 안정이 될지 모르나 체중이 뒤로 실리면서 노으즈(앞부분) 부분이 들리게 되어서 베이스(바닥)부분인 들리게 되어서 마찰면이 확 줄어들게된다 자 마찰이 줄어들게되면 어떻게 되는가?

마찰계수가 줄어들게 되면 보드의 스피드는 더욱더 빠르게 된다 의도적으로 빠르게 가기위해서 상급자들은 가끔씩 노으즈를 들곤한다

하지만 초급자들이 체중이 뒤로 가게되면 턴은 고사하고 바로 넘어지게 되며 심하면 사람과 부딧쳐서 사고로 이어져 버린다

한마디로 쉽게 자동차가 앞부분이 들린다고 생각을 하면된다

앞부분이 들리면 아무리 핸들을 꺽어보아도 회전을 하지 못한다

보드도 똑같은 원리이다 턴은 노으즈 부터 시작이 된다

하지만 동영상이다 여러 자료에는 기것해야 상체의 꼬임으로만 턴을 설명하는데 이건 아주 부족하다 상체의 꼬임으로만 보드는 틀수있다

하지만 보드는 회전을 하지만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고 그냥 회전만 된상태로 쭉 그냥 내려가는 경우가 생긴다 역학적으로 계속 내려가는 성향이 있다 하지만 이상태에서 꼬임으로만 턴을 시도하게되면 회전만 된상태에서 쭉 그냥 내려간다

자 여기서 턴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 들어가겠다

상체의 꼬임 흔이 워하는 방향으로 어깨를 회전 시키면 된다고 책이나  동영상에는 나와있다 하지만 여기에 좀더 추가할 내용이 있는데 먼저 제일 중요한건 보드가 직활강이 될때 절대 두려워 하지 말고 체중을 앞으로 계속 유지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많이도 필요없다 그냥 보드에 실고만 있어도 경사때문에 자연스럽게 앞으로 쏠리게 된다 의도적으로 체중을 뒤로 빼지 않는 이상 중심은 앞에유지될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방향으로 시선과 어깨를 턴을 해준다 천천이 실행한다

너무 빠르게 시도를 하면 역에찌 걸릴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상체의  회전만으로 빠르게 회전이 안되는데 이때 아주 약하게 뒷발을 살짝틀어 준다 그럼 좀더 빠르게 회전을 할수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초보자들에게 쉽게 안가르쳐 준다 왜냐하면 흔이 말하는 뒷발치기 턴으로 발전될수 있기 때문이다 뒷발치기는 쉽게 턴을 할수있게 하지만 이거는 나중에 절대 카빙턴을 못하게 된다. 정말 급할때는 유용하지만 권장할 기술은 아니다.  아주 약하게 살짝만 밀어주면 조그만한 각도가 회전이 되면서

점점 크게 턴으로 발전할수 있다 하지만 이것으로도 힘이 부족하다

이거는 회전을 도와주는 힘이고 막상 중요한건 원하는 방향으로 가는 힘이 필요한데 보드가 직활강에서 턴이 이루어 질때 원하는 방향 흔이  각도가 45도 정도 틀어졌을때를 추천한다 사면을 바라보면서 체중을실어주어야 한다  보드를 벗고 팔을 돌리면서 왼손으로 쭉 앞으로 가져 가는 연습을 해라 이때 두 발이 못버티고 앞으로 걸어 나가게 될정도로 체중을 앞에 실어 주어야 한다  그만큼 체중이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으면 보드는 회전은 하지만 원하는 방향으로 가질 못한다

이 체중을 확실이 밀어주는 것만 익힌다면 쉽게 보드는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갈수 있을 것이다


엮인글 :

.

2008.01.04 01:57:07
*.172.41.179

앞뒤 낚엽 마스터 하면...
베이스활강 5미터 정도 달려보게 합니다.
그럼 말로는 절대 이해 안가는...
엣지첸지 시점을 스스로 느낄수 있던거 같아요...

근댕... 공짜 강습은 아니겠죠 ^^::

후리보더

2008.01.04 08:41:37
*.8.217.32

진짜 강습 해주시나요??
유료강습이라도 상관없는데..^^
요즘 .....딜레마에 빠져서.....보드타기 싫어지거든요..

베이스가 어디신지 알려주시면...더 좋은텐데...

좋은글...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필리핀

2008.01.04 09:55:43
*.152.7.11

그리고 상체의 회전만으로 빠르게 회전이 안되는데 이때 아주 약하게 뒷발을 살짝틀어 준다 그럼 좀더 빠르게 회전을 할수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위의 이 내용은 추후 뒷발차기가 될수있는게 아니고..
뒷발로 턴하는 방법을 알려 주신겁니다.

초보자를 위한 강습이라면..
시선과 상체를 이용한 로테이션에 중점을 둔 턴에 관한 내용만 말씀해 주셨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

날고싶은새

2008.01.04 13:10:44
*.132.127.86

뒷발은 아주 조심해서 사용해야되죠~~~ 필리핀님말씀도 일리가 있습니다 ^^;
제가 위험한 뒷발치기를 조금 사용하라는 건 강습을 하면서 느낀건데 상체가 꼬이긴 하지만 시간이 필요해서 쉽게 돌지를 못합니다
강습을 하면서 주로 이렇게 주의를 줍니다~~ 이건 일종의 뒷발차기턴이며 완전히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야간 한뼘정도만 움직여 주라고
익숙해 지면 굳이 뒷발을 안움직여도 자연스럽게 체득이 되게 하라고~~
느낌 위주로 가르칩니다~~~
마약같은 기술이기때문에 조심히 조언을 하곤 하죠~~
완전초보자들 보다는 좀 운동신경있는 분들께 알려주곤 합니다 ^^:

2008.01.05 22:24:26
*.230.108.251

좋은글 잘 보았습니다..
태클은 아니고...오타가 있으신듯...5번째 문장에서...'마찰계수가 작아지면..'이 아니라, '마찰력이 작아지면' 이겠네요...눈과 데크사이의 마찰계수는 일정하죠..

volcomsnow

2008.01.06 07:02:10
*.120.95.146

한가지 의문점이 드는건 마찰력이 줄어들면 속도가 빨라지는데 그렇다면 데크가 짧을수록 보드가 빨라진다는건데..

그렇다면 눈위에서 가장 속도가 빠른건 빅풋이 되나요?? 아니면 닿는 면적이 최소인 스케이트가 되나요..?

예전에 눈위에서의 속도는 수막현상과 관련이 있어서 왁싱이 되있는 가정하에 닿는 면적이 많을수록 잘 미끄러진다는 이야기도 있었는데말이죠.

아직 이게 명확하지 않은거 같습니다..

노즈를 든다고 해서 빨라지는건 아닌거 같구요 파이프에서도 속도를 더 많이 내기위해 긴걸 타는데 말이죠..

neverblue

2008.01.06 09:22:37
*.128.221.168

마찰력은 면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라고 고등학교 물리 시간에 배운 기억이 나네요

마찰력은 직접 접촉하는 면의 고유한 마찰계수 와 무게 로만 결정됩니다


빨라지는 것으로 느끼는건 앞쪽이 들려 방향을 바꾸지 못하고 직선으로 진행하는 것과 관련 있는 것 같습니다 ;

프랭클린

2008.01.06 19:34:33
*.61.235.89

발을 쓰는건 맞습니다...

처음에 아무리 .. 시선이 돌고 허리가 돌면 발은 자연스럽게 따라오고 데크로 돌아간다..란 말은 말뿐입니다..

저도 그얘기 수없이 들으면서 턴배우고 그랬는데...말 처럼 초보한테는 그렇게 와닿지가 않죠....

발을 조금 쓰면 턴이 빨라져서 턴 감각을 익히는데 더 수월하다는게 맞는것 같구요...

저도 뒷발차기가 안좋은 습관이니 몸이 틀어지지 않음 쓰라고 하는데 뒷발차기도 턴 완성되면 쓰고 싶어도 별로 안쓰게

되니 큰 우려할 사항은 아닌것 같습니다...어느정도 턴이 되면 이젠 스스로 알아서 깨치고 모양새도 잡아가기에...

쏠로공보의

2008.01.07 11:09:34
*.188.129.63

ㄹ 님 지적을 조금 잘못하신듯...마찰계수가 변하지 않는 것은 옳은 지적이지만, 마찰력이 작아지지도 않습니다. neverblue의 말씀처럼 마찰력 f=μmg 입니다. 즉 마찰력은 마찰면의 성질(μ마찰계수)과 질량(m)에 의해 결정되는 겁니다. 노즈가 들린다고해서 마찰계수가 변한다거나 마찰력이 변하지는 않습니다. 상기 글에서는 체중이 뒤로 빠지면서 무게중심을 잃어 넘어지는것을 쉽게 설명하려고 하신것 같은데,... 좋은 글이지만 혹시나 잘못이해하고 넘어가시는분들이 있을까봐 댓글 답니다.
턴할시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크게 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엣지로 진행하다가 엣지 체인지를 위해서 베이스로 타는 순간에 엣지로 무게를 지탱하다가 베이스로 지탱하게되면서 눈과 보드의 마찰력이 감소하게(엣지의 μ값과 베이스의 μ값의 차이때문에..)되어 속도가 빨라지게되는 것이 있고, 둘째, 폴라인에 사선으로 운동하는 동안(턴에 들어가기전 엣지로진입시) 발생하던 위치에너지의 손실(가로로 이동하는 운동에너지로 전환된 부분)이, 폴라인에 수평으로 내려오는순간(베이스로 타는순간) 대부분 산아래쪽으로 향하는 벡터값으로 합류되어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64
293 초보를 위한 강좌 [강습법] 초보자에게 토턴 가르치기.. [14] 굶고타자 2006-01-27 32 7386
292 초보를 위한 강좌 주인아저씨가 알려주는 중급자들이 라이딩에... [5] 주인아저씨 2018-02-12 14 7346
291 초보를 위한 강좌 나는 구피일까?레귤러일까? [36] Dr.Halo_눈뭉치 2005-10-10 4 7340
290 초보를 위한 강좌 시즌 종료 후 장비 보관하기! [14] 투명종이 2007-03-10 36 7333
289 초보를 위한 강좌 [그림추가] 상체를 굽힌자세와 세운자세의 ... file [5] 드래곤라이더1 2014-02-17 2 7329
288 초보를 위한 강좌 [이벤트]초보자를 위한 자세교정 연습법 [51] 꼼지락 2003-09-25 50 7300
287 초보를 위한 강좌 그라운드 트릭 진짜 한줄팁 (높이) [7] 칠백팔십원 2015-07-29 2 7273
286 초보를 위한 강좌 지난 3년간 보드를 타면서 느낀 점들(초보전용) [21] empire24 2016-01-28 14 7268
285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1) INTRO [1] RiderCrew~* 2001-10-29 127 7268
284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 힐턴 터져서 엉덩방아 그림그려봤어요. file [6] 보더미카엘 2016-12-12   7265
283 초보를 위한 강좌 역엣지 안걸리기... [29] 하누리 2003-10-21 19 7243
282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말하는 초보를 위한 라이딩 조언 [29] HSBC 2008-01-28 71 7206
281 초보를 위한 강좌 프레스를 제대로 주자(부재 : 상체오픈의 함정) file [20] 민스™ 2016-11-01 1 7204
280 초보를 위한 강좌 설면에 따른 라이딩 방법 [18] CHAOS™ 2006-12-06 61 7145
»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의 요령 [9] 날고싶은새 2008-01-04 43 7133
278 초보를 위한 강좌 알리를 업하기 위한 노하우? (쓰레기 컬럼 ... [27] epro(2%) 2006-09-09 11 7081
277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을 막시작한 초보보더의 조언 [8] 라엘시아 2015-12-14 4 7056
276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5) 집에서 ... RiderCrew~* 2001-10-29 105 7051
275 초보를 위한 강좌 순수 초보님(베이직 턴이 안되는..)들.... [18] Mars 2007-01-07 27 7025
274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 용어 설명 (2) [5] CHAOS™ 2006-12-04 24 6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