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탈출한거 같기도 하고 아닌거 같기도 하지만,
캐초보들을 위해서 제 경험을 적어볼까 합니다 ㅡ_ㅡ
고수님들은 원포인트만~!
(*자게에 적었다가, 여기에 다시 올립니다~)


올시즌에 21번정도 간듯하고... (첫시즌입니다) 1일차에서 21일차로 적겠습니다.


1일차 : 초급슬로프에서 자빠링으로 기어서 내려옴
           나름 균형감각 좋다고 자신했다가 개망신 당함

2일차 : 강습신청, 꽃보더 강사님께 보드의 기초부터 베이직턴까지 전수받음
           첫 시작이 아주 좋았었죠 ㅋㅋ

3~7일차 : 강습시간을 자꾸 놓쳐서 낙엽만 주구장창...
           낙엽 기본이 탄탄해져서 나중에 다운언웨이티드 흉내내는데 도움이 됨
           앞/뒤 낙엽이 모글이나 작은턱에서도 상체의 흔들림이 없을 정도까지..

8일차 : 사활강과 베이직턴 강습을 받음
           남자 강사분이었는데, 턴이 뭔지도 모르는데 자세만 자꾸 가르쳐 줘서 대략 난감 ㅡㅡ;
          *헝글에서 턴 공부를 한 뒤 그 뒤 독학모드 돌입

9~11일차 : 뒷발차기 완성 ㅋ
           허리힘이 좋아서, 뒷발차기 숏턴이 제일 먼저 됨(대부분의 초보들이 자신있게 하는 ...)
           알리 원리를 발견.. 하지만 널리는 안됨.  ㅜㅜ...
           (직딩과 나이의 피곤함에서 알리 연습은 거의 하지않음)

12일차 : 뉴오렌지의 경사에서 넘어지지 않고 내려오기 시작함 ㅠ_ㅠ

13일차 : 엣지와의 교감 ^^
            우연히 무릅을 약간 오므리면서 다리에 힘을 줬더니 데크가 휘면서 카빙 라인이 그려짐
            하지만, 속도를 내면서 카빙을 하는 법은 도무지 모르겠음...
            엣지를 더 세우기 위한 노력이 시작됨

14~15일차 : 우연히 데크가 휘면서 스위치 라이딩이 구현됨
            구피 라이딩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는걸 발견, 구피 연습도 병행하게 됨
            (지금은 레귤러의 실력을 제대로 쌓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구피는 조금씩만 합니다~)

16일차 : 허리힘으로 F/S, B/S 180을 돌리면서 데크와 친해지려고 노력함
            (트릭을 하려는 이유는 데크와 친해지기 위해서 이며, 트릭을 흉내내면서 깨달은 것들이 많네요^^)
            (제 수준에... 트릭은 멀었지만, 트릭과 라이딩이 형제라는 건 알거 같아요~)

17일차 : 몸에 힘을 빼고서 그냥 도전해본 최상급 슬로프를 다운언웨이티드 롱턴으로 내려옴
            자세나 뭐 다른건 제외하더라도, 가파른 경사를 안정적으로 내려오는 방법을 찾았다는 점이 무지 기뻤음
            (사실 자세 교정 하고 싶지만, 찍어줄 사람이 없는 독학보더라능 ㅠㅠ)

18일차 : 힘들땐 슬렁슬렁 타는데, 힘이 있을때와는 달리 힘이 없기 때문에 몸의 반응을 더 잘 알 수 있는 것도 있음
            저는 2~3일에 한번씩 보드를 타고, 한번에 한타임만 전투보딩(10~20회정도)을 합니다.
            며칠전에 두타임 탔다가 무릅/발목이 통증을 호소한다능 ㅠㅠ 저질 나이...

19일차 : 무릅스티어링 발견~
            지금껏 허리힘으로 탔던거 같았음. 무릅을 살짝 돌리면서 데크를 돌리리까 너무 쉽게 돌아가는 것을 발견~
            아.. 이것이 무릅스티어링 이구나... 라고 깨닫고, 앞으로 뒤로 무릅으로 조낸 돌림... 결국 무릅 통증을 야기시킴
            지빙과 키커 도전~
            좀 더 재밌게 다기 위해서, 계속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싶어서~ 도전했다가
            지빙에서 척추 다칠뻔, 키커에서 쇄골 나갈뻔 함 ㅡ_ㅡ;;; (지금 상체보호대 알아보고 있음)
            뭇 고수님들의 고견을 받아들여서 직활강 연습 시작함~

20일차 : 19일차의 휴유증으로 인해 오른쪽 발목 통증 호소... 라이딩 2번 후 퇴거...
21일차 : 19일차의 휴유증이 줄었지만 전향으로 무게중심을 싣지 못함... 라이딩 4번 후 퇴거...
            발목이 아프니까 제가 잘 못하는(약한) 부분이 바로 나타나내요...

21일차... 오늘의 보딩까지의 일기(?) 였습니다.


제가 보드를 타는 원칙은....

(1) 나이가 많기 때문에(30대초) 하루타고 하루쉬자.. 근육의 생성에 도움을 줍니다.

(2) 이것저것 몸빵으로 때우자.. 군대에서 특공 비스무리한거 해서.. 전후방 보딩 3.5회전 정도는 가볍게 굴러줍니다.
     단! 보딩전 스트레칭은 최소 5분만이라도 하세요~ 목/어깨/허리/무릅/발목까지~~ 정말 중요합니다~~
     스트레칭을 하지 않으면 바로 관절에 신호가 오고, 자빠링의 고수가 될 수 없습니다~!

(3) 헝글에서 공부하자.. 턴에 대해서, 트릭에 대해서 정말 많은 의견들을(고수님의 노하우) 읽어봤습니다.
     동영상을 보면서 이미지 트래이닝도 하고... 일단 공부를 하면,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것이 뭔지 알 수 있습니다.

(4) 마눌님을 가르치면서 기본을 다진다.. 마눌님에게 베이직턴을 가르쳐주면서 저는 구피와 트릭 연습합니다.
     마눌님을 지켜보면서 종아리 근육을 키웁니다 ㅋㅋ

(5) 여러가지를 다양하게 연습하자.. 중급슬롭에서 주로 연습하고, 상급슬롭도 가끔식 가서 새로운 느낌을 느낍니다.
     한가지 기술만 하지말고 여러가지 기술들을 시도하면서 전체적인 실력향상이 될 수 있게 주력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기술만 시도할 경우엔 독학보더의 우울증이 올수도 있고, 취미생활이라는 취지가 사라질 듯~~

(6) 하체훈련은 수시로~ 무릅에 무리가 가지 않는 수준에서 하체 웨이트를 수시로 해준다.

(7) 훈련은 시즌초에 집중적으로~ 1년을 기다리면서 생성된 무한한 열정을 시즌초에 폭발시키고, 사람이 적을 때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거 같습니다. 12월 중순넘어가니까 평일야간 집중훈련도 쉽지 않더라구요...



이것저것 도전은 하지만, 아직도 캐초보인건 분명합니다.
자세도 아직 엉성하고... 부츠와 데크가 잘 적응된 조깅화같은 느낌은 아직까지 아닌거 같구요 ㅡㅡ..
단지, 저보다 더 초보인 분들은 저처럼 조금만 더 노력하면 최소한 즐길 수 있는 수준은 될 수 있다는 걸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지산 베이스의 집소였씁니다...
때가 되면 헝글님들도 뵙고싶다능 ~O~
엮인글 :

산티에고

2009.01.09 09:41:34
*.55.81.64

16일차에 원에리를 돌리는 당신은 어느별에서 왔습니까?

안전보딩

2009.01.09 10:03:45
*.159.251.224

우선 너무 빠른진도에..자세나 라이딩이 제대로 잡혀있는지 약간 걱정스럽긴한데요...
13,14일에..카빙과...구피라이딩까지...하시고..
16일에 원에리를 돌리시고...17일에 최상급 슬롭을 다운언웨이티드 롱턴으로 내려오는 당신은...
제대로 잡혀있다면..정말 천재이신가 보네요..ㅜ.ㅜ

유프린스

2009.01.09 10:08:31
*.29.77.7

글하나하나가 저랑 비슷해서 무쟈게 공감가네요 ㅎㅎ 트릭은 잘하고 싶다기보단, 라이딩만 하면 권태기가 와서리;;;
나중 동영상한번 올려주세요...ㅋ

완행열차

2009.01.09 10:27:33
*.236.216.232

잘봤습니다....도움될만한 내용도 많군요.......

하지만 정말 조심하셔야하는건..... 파크는 한방입니다.... 아무리 특공무술아니라 특공무술 할애비를 연마했어도....

파크는 아차 순간에 한방입니다.....

겁없이 들이대는게 방법은 아닙니다....

스노우워커

2009.01.09 10:37:27
*.141.9.190

지산이라 반갑네요~ 고생많으십니다~

눈팅40

2009.01.09 10:41:46
*.235.226.73

정말 부럽습니다... 3시즌째인데도 16일만에 하신 원에리는 꿈도 못꾸는데.... 계속 타야하나 후~~~~~

수아™

2009.01.09 10:45:49
*.229.169.225

음...숀이 데크를 처음 잡았을때의 일기인가요??? 13~14일에 카빙과 구피라이딩...16일에 원에리...

오아

2009.01.09 11:09:28
*.209.114.209

인증동영상 올려주세요~ 기대기대!!!

불꽃폭렬단

2009.01.09 11:17:48
*.179.205.243

어리버리3년차인데.. 카빙숏턴도 안되고.. 스위치라이딩은 꿈도 안꾸는데...
내몸뚱이가 너무 늦은걸까요...ㅠ.ㅜ

부채도사

2009.01.09 11:18:59
*.105.215.6

옷.. 지산이시군요.. 언제 지산에서 뵐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집소

2009.01.09 12:13:52
*.94.41.89

ㅡㅡ; 파장이 이렇게나...
죄송합니다. 오해는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숀의 발끝에도 따라가지 못하는 30대 노친네일 뿐이구요...


16일차 원에리의 진실은 최저속에서-펌핑-회전-착지...일 뿐이구요...
최상급슬롭에서는 턴 하나하나 할때마다 속도를 최대한 줄여서 하는 것이구요~

몇일차에 뭘 했다라는 얘기는
최소한의 따라하기, 시도를 해봤다는, 그런 얘기입니다.
예를들어 애기키커 10번 뛰어서 1번 성공했다는 등...
원애리 10번 돌려서 2번 성공했다는 등.. 뭐.. 이런 거라서,

오히려, 댓글에 많은 질타가 있었음 더 좋겠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직 자세가 제대로 잡혀있지 않다고 100배 공감합니다.
다른 스킬을 같이 연습하는 이유는 자세를 더 잘 잡기 위해서이구요...

단지 이것저것 시도하는 이유는,
고급레벨에 진입해봐야지.. 현재레벨의 성취수준을 좀 더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도 있구요~

저.. 정말 옆에서 보면 자빠링 전문가 입니다..
리프트 타고 가시는 분들이 웃는 소리 들리면 무지 쪽팔립니다...
인증동영상 올리기가 점점 두려워집니다 ㅠ_ㅜ

더욱 더 열심히 연습해야 할거 같구요~
나중에 즐거운 라이딩을 같이 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ightMind。

2009.01.09 12:56:42
*.204.99.60

너무 빨리 모든것을 하려하면 나중에 쉽게 질릴수가 있습니다.. 기초부터 탄탄하게 천천히 하나하나 정복해 나가는게 중요한것 같네요..

™판때기보더

2009.01.09 13:05:22
*.36.88.96

오...무지 빠르시네요..운동신경이 타고 나신거 아닌가요..ㅋㅋ

가진것없는나

2009.01.09 13:10:54
*.233.38.66

일차 기준으로 저의 1년 기준과 맞먹습니다...

스폰지 같은 몸을 갖고 계시다니 부러운 따름입니다... ^^;

반디쉬

2009.01.09 14:16:17
*.149.35.4

마음이 급해서 여러가지 해보신걸 미화시킨신거 같은데 일단 기본부터 제대로 다져놓고 해야지 안그럼 오히려 그게 더 역효과라고 나중에 느끼실겁니다.
뭐 사람이 다 똑같은건 아니지만

턴이나해

2009.01.09 16:04:51
*.39.189.227

부러워요... 저 5시즌동안 이제겨우 턴하는뎅... ㅠㅠ

43543

2009.01.09 16:44:28
*.176.110.99

결국 뒷발찬다에 내 발모가지와 신상데크를 건다

때지

2009.01.09 16:44:36
*.210.200.164

9-11일차의... 뒷발차기.... 완성.... 이멘트가 ;;; (의미심장하네요)
뒷발차기의 세계에 한번빠지면... 자세 교정하기 힘드실텐데
뒷발차기 그대로 연습하셨으면....혹시나지만 그대로 쭉 턴연습이 진행되셨으면
역효과는 정말 힘들어지실듯^^;;;;

ㅎㅎ

2009.01.09 18:12:13
*.45.110.30

보딩의 세계로 오신거를 환영합니다~~~~ 한참 재미를 들이셨나보당~~~

안정보딩하세요~~

Nikki

2009.01.09 18:35:53
*.253.57.37

화질 구린 핸드폰이라도 좋습니다. 동영상 꼭 한번 찍어보세요 ^^ 많은 공부가 된답니다-

점심

2009.01.09 21:32:02
*.197.52.177

3년차인데도 아직 그따구로 카빙할꺼면 베이직부터 다시하라고 욕먹는 저는 몸치인게 확실하죠?ㅠㅠ

스펜서

2009.01.09 22:03:44
*.5.213.155

36일차 입니다.
저 처럼 보딩일기를 쓰는분이 또 있군요. ^^
네이버 독학보더스에 들어오세요~~ :)

간지 보더

2009.01.09 22:04:10
*.34.189.108

지금 이 상황이 사실인가요??
올 시즌 처음 시작하셨다는 분이...19일차에 지빙?? 키커??

믿기지 않는다...전 2년차인데도...아직 카빙도 잘 못하는데...파크에서 논다는 것은 그냥 꿈에서나 해보는 일이고...

30대에

2009.01.10 00:18:29
*.170.122.224

30대에 노친네라면 46세(보드 5년차, 보드가 땅에서 떨어지지 않음)인 저는 뭔가요

지산

2009.01.10 19:19:44
*.118.201.143

지산이라면 이해가 갈듯..^^ 오렌지 옆에 보면 완전 미니미니 파크가 있어요..아기자기하게..^^

거기는 헬멧안쓰고 가도 별말 안하는 곳..^^ 미니미니키커 1미터 짜리 두개 박스 두개 웨이브 등으로 구성되어있지요..^^

홈매트

2009.01.12 16:43:41
*.70.87.199

1일차... 너무 공감됩니다.. ㅎㅎㅎ
저도 운동신경 있다고.. 자부 했는데...
기어서 내려왔습니다.. ㅎㅎㅎ

제대로턴도

2009.01.12 23:55:11
*.140.176.38



9일차 뒷발차기 턴까진 빨리 배우는 사람이 많지만,

카빙이 되려면 턴 시작 지점부터 느껴야하고 가압 을 몸이 느껴야하고,....

할게 얼마나 많은데..

뉴오렌지에서 뒷발차며 안넘어지고 내려온지 하루만에 이게 된다고?

본인은4시즌 ( 1시즌 출격 평균 30회.. 1회당 립트 30~50번 전후 탐... )

해서 이제 겨우 중경 유지하며 롱턴 카빙 연습하는데..




'데크위에 중심을 제대로 싣지 못한다'

에 내 시즌권과 커스텀x덱, c60바인딩 건다.

위엣님매너좀

2009.01.13 18:06:18
*.76.203.61

제대로턴도 님 남을 그렇게 함부로 평가 하시면 안되죠 제친구는 보드 배운 첫날 물론 고수에게 배웠습니다.
슬립 하나도 안나게 카빙 했습니다.

서하늘

2009.01.13 19:22:49
*.18.100.200

제대로턴도 님 남을 그렇게 함부로 평가 하시면 안되죠 제친구는 보드 배운 첫날 물론 고수에게 배웠습니다.
슬립 하나도 안나게 카빙 했습니다. => 숀? ㅋ

20일?

2009.01.15 01:46:57
*.182.223.25

카빙은 몇일 배웠다고 흉내라도 내어 볼 수 있는것이 아닙니다.
어차피 즐기는 것이라 내 맘에 들고 재미나면 그만이지만 대부분의 라이더들이 이런글 보면 답답함을 토로 할듯합니다.
초보 20일 정도면 슬라이딩턴의 이미지 세우기에도 바쁠터인데..과연 기본 자세가 나올지 의문입니다.
레귤러에서 구피로 넘어가는 단계도 어느정도의 레귤러 기본기가 받춰줘야 하는것이라 생각합니다.
단계를 밟아서 하나씩 넘어가셔야지 지루하가 잼없다는 이유로 스위치에 트릭을 같이 병행 하신다는게...
아무리 생각해도 님의 글은 이해가 불가능 하군요.

좀비君

2009.01.17 09:32:16
*.70.111.197

까칠한 반응이 많아 안타깝네요. 보딩에 대한 사랑의 표출이겠지만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좋은 게 좋은 거다 넘어갈 수도 있을거 같은 부분인데..ㅎㅎ

보딩은 개인스포츠고 자기 만족 아닙니까? 물론 과시욕이 실력향상에 한몫하기는 하지만..
굳이 남을 깍아내리는데 쓸데없는 시간을 소모하기 보다는 자신을 정진하는 편이 나아보입니다.

나무아미타아불.....(불교신자는 아님)

코난™

2009.01.18 21:49:29
*.199.138.234

가능할것도 같은데....

하지만...
다운언웨이트를 첫시즌에 불과 보름만에 익혔다는게 믿기질 않네요.
그것도 최상급에서 롱턴이라,,,
대단하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373 초보를 위한 강좌 헝그리보더 사이트 처음 이용하시는 분들을 ... [7] 트로미 2006-06-01 64 2758
372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팬듈럼) [20] 김은석 2009-01-24 64 9414
371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준비에서 스키... [46] 김은석 2009-01-20 64 7882
370 초보를 위한 강좌 학교 선후배들이 보드를 막 시작해서... 도... [12] 껀이 2009-01-14 63 7962
369 초보를 위한 강좌 겁많은 여자친구 보드 가르치는 노하우 [58] 슭훗 2010-03-12 62 15694
368 초보를 위한 강좌 설면에 따른 라이딩 방법 [18] CHAOS™ 2006-12-06 61 7146
367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턴을 하고 싶다. [28] 아드리아주 2009-11-29 61 12087
366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인사말) [66] 김은석 2009-01-19 61 6792
365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 위한 초보의 강좌 [8] 보드앙마 2007-01-14 60 5697
364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을 배우는 순서 [43] 으악 2008-02-07 58 10823
363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 기초 이론. [32] 날아라가스~!! 2008-12-30 57 8386
362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시 잘못된 습관(버릇)을 고치는 방법 [51] 겐세이짱 2010-02-25 56 23275
» 초보를 위한 강좌 캐초보에서 초보 그 너머로... 집소의 초보... [32] 집소 2009-01-09 55 5915
360 초보를 위한 강좌 강사자격증 있으세요? [53] 오래된보더 2009-01-12 55 10536
359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기의 중요성....... [14] Dr.kimcarving 2007-10-31 55 8742
358 초보를 위한 강좌 내 데크는 소프트?하드? 부제 : 노즈와 테일... [20] SSINBI 2009-01-30 55 7600
357 초보를 위한 강좌 팬 패그레이션을 활용한 턴의 연습 [5] 쌔끈라이딩 2008-01-23 54 3341
356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8탄] 고글 - 인터핏과 아시안핏의 구분 [23] 똥싸개아메바 2006-10-18 53 8852
355 초보를 위한 강좌 조바심에 한말씀 드립니다. [28] 홈매트 2009-01-12 53 5382
354 초보를 위한 강좌 구피인 or 레귤러? 가장 정확한 판별법 [55] Gatsby 2008-11-21 51 9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