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데크는 소프트?하드? 부제 : 노즈와 테일 반발력에 따른 도약 타이밍 연습을 하자

경험상 느낀 주관적인 소견이 있다는걸 먼저 말씀 드리니 잘못된 부분이 있다하더라도 너그럽게 이해해주시고 라이딩,파크,파이프 같은 특정 종목에
해당하여 말씀드리는것이 아니니 참고 정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각설하고    

    내가 현재 가지고 있는 데크가 하드한지 소프트한지,상급인지 하급인지를 떠나서
    프레스를 줄때 어느정도에 하체힘을 줘야하는지 상체를 어느정도 기울여야 하는지를 파악 하는것과
    내가 지금 사용하는 데크에 탄성을 충분히 이용하는건지 혹시 장비에 세팅이 잘못되었는지를 파악 하는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프레스를 많이 주면 줄수록 데크가 원상태로 복구 될려는 힘과 속도는 커지게 되는데 반응속도에
    따른 도약 타이밍을 잘잡으면  더 큰 스케일로 뛰어오를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널뛰기 놀이를 생각해보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겁니다 반대편 사람이 나무판자를 누르는 타이밍에 잘 맞춰서 뚸야 높이 오르죠)
    
    그럼 테스트 연습하는 방법을 말씀드리면(노즈프레스,테일프레스 둘다 해야합니다)
    
    1. 설면 평지에서 테일 프레스 준다
    
    2. 균형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테일프레스를 강하게 준다(다리힘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상체를 같이 기울여야 함)
    
    3. 프레스를 준상태에서 최소 2초 정도는 유지한다(요거 생각보다 쉽지는 않습니다,노즈가 들려있어야 하며 넘어지면 무효!ㅋ)
    
    4. (3번까지 잘된다면)프레스걸린 한발(레귤러기준 오른발)로만 점프를 한다
    
    5. 프레스걸린 한발(레귤러기준 오른발)에 무릎을 굽혀 적당히 굽히고 빠르게 뛰어보고,살짝 늦게 뛰어보고 이렇게 저렇게 하면서
       데크가 내몸을 밀어올리는 힘을 느낀다 숙달되면 노즈를 들고 있으면서 테일로 여러번 튕기는것도 가능해집니다

    
    이연습방법을 통해서 많은걸 느끼실수 있을 겁니다
    여러번 시도한후 각각 보더마다의 의견을 대략적으로 추측해서 종합 해보면

    1. 프레스 주기가 너무 빡세다 => 저질스런 하체힘을 기르거나 운명이다 생각하고 될때까지 연습 아니면 난 돈 좀 있다면 소프트한 데크로 교체

    2. 프레스 주는건 되는데 2초 유지가 않된다 => 더 연습하세요 그리고 슬롭에서 알리를 칠때 도약하는 발을 조금더 빠르게 뛰세요
                                                                   그리고 스텐스 넓이는 어떤지 확인하세요 당신에 바인딩은 데크홀 끝에서끝?!
                                                                   스텐스가 너무 넓으면 상체를 기울이고 한발로 균형잡기가 힘들어지며 하체에 힘이 너무 많이 들어가게 되서
                                                                   피로감이 빨리옵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노즈테일이 짧아져서
                                                                   탄성을 100% 끌어낼수가 없습니다(단 랜딩시 안정감이 있습니다)  
    
    3. 프레스 주는건 되는데 2초 유지가 않되고 균형을 잃어버린다 => 바인딩 센터링 설정을 확인하세요 토쪽으로 쏠리거나 넘어지면 바인딩 힐쪽으로 한칸
                                                                                              스텐스 넓이가 좁은건 아닌지 확인하세요 너무 좁으면 상체를 기울여 힘을 가하기에는 좋으나
                                                                                              균형감이 떨어집니다
    
    4. 프레스 준상태에서 2초 유지할수 있다 => 참 잘했어요!^^ 슬롭에서 알리를 칠때 도약(레귤러기준 오른발)하는 발을 기존보다 살짝만 여유있게
                                                               테일에 반발력을 충분히 느끼면서 도약 하세요
                                                               또한 테일프레스를 준상태에서 그대로 노즈들고 5M이상 전진 연습하세요(주위를 꼭 확인한다음!)
                                              
    바인딩 센터링 중요한 사항임으로 추가로 말씀드리면

    연습방법 2,3번을 시도해 보시면서 유난히 토나 힐로 좀 쏠리는거 같다라고 느낄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센터링을 다시 확인해 봐야합니다
    센터링은 보통 데크와 바인딩 부츠까지 결합하고 눈으로 확인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론 이건 일반적인 센터링 하는방법이지
    나한테 맞는 센터링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센터링은 정말정말 중요합니다 프레스할때 내발바닥 부분이 데크를 어떻게 눌러주냐에 따라서 힘전달력은 물론 균형감까지 막대한 영향을 줍니다
    턴에서 엣지 체인지에서도 정말 중요하구요
    보통 4홀디스크를 가로로해서 디스크 홀간격으로 미세 스텐스 조절을 하시는 경우를 많이 봤는데 센터링이 맞는다면 상관없지만
    않맞는다면 과감하게 포기하시고 세로로해서 센터링을 맞추세요

그럼 허접하지만 초보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추가 의견은 댓글달아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그럼 올시즌도 안전보딩 하세요^^

      
엮인글 :

규사마

2009.01.30 08:33:15
*.122.170.6

잘 읽었습니다 .^^

2009.01.30 09:10:18
*.108.138.43

잘 읽었습니다 .^^ (2)

신동구리

2009.01.30 09:27:18
*.152.149.212

잘 읽었습니다.^^(3)

하늘고고고

2009.01.30 10:29:56
*.92.140.17

잘 읽었습니다.^^(4)

2009.01.30 10:48:33
*.246.49.26

좋은 팁이네요~^^; 말그대로 데크의 탄성을 100% 이용만 할 수 있다면~ 이미 당신은 고수의 대열에 90% 다다랐다고 생각합니다.

[창원]

2009.01.30 11:13:38
*.73.93.2

잘 읽었습니다^^(5)

Jenny [StAl]

2009.01.30 11:38:56
*.234.205.131

요즘 요거 고민중이었는데,

한번 하라는대로 해볼께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2009.01.30 11:53:35
*.35.58.203

이거 집에서 이불깔고 해도 상관없나요?

센터링

2009.01.30 12:07:52
*.10.106.2

탄성 이용에 대한 글이지만 센터링에 관한 얘기도 있어서 리플 남기네요.

센터링 안맞아도 대충 지장없이 탄다는 고수분들의 말씀도 몇번 들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센터링이 어느정도 맞춰진 세팅과 그렇지 못한 세팅 모두 타본 결과,
장비궁합때문에 센터링을 못맞춘다면 다른 장비를 쓰는 한이 있더라도 센터링을 맞춰서 타야할 정도로
센터링이 중요하다는겁니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라이더의 몸이 적응력이 뛰어나거나(?) 둔해서(?)
센터링, 스텐스, 바인딩각 등에 상관없이 잘 탄다면 모르겠지만 최소한 저는 센터링이 안맞으니까
무게가 더 실린 쪽의 턴은 계속 터져나가거나 슬립되는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더군요.
라이딩하는 동안 짜증만 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유프린스

2009.01.30 15:10:28
*.29.77.7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낼 당장 스키장가서 해봐야겠네요 ㅎ

론리보더 ~ ♪

2009.01.30 15:12:30
*.127.218.162

데크랑 친해질 수 있는 좋은 방법 인 듯 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지금만지러갑니다

2009.01.30 18:21:15
*.125.216.95

저역시 알리연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연습을 이걸로 했죠!!

데크의 탄성을 익힐려면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수 없습니다~~


알리로 2m 뛰는 그날까지~~~~~~~~~~~~~~~~
















화이팅!!!ㅎㅎㅎㅎㅎ

카빙낙엽

2009.02.01 13:57:12
*.60.217.17

오호... 이거 연습해야겠음..

크발칸B.D

2009.02.02 08:58:59
*.233.121.242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연습해 봐야겠습니다 ㅎㅎㅎ

진보하는보딩

2009.02.02 17:27:57
*.254.150.52

데크가 diret twin이라 twin을 만들려고 가로로 보고 맞추는데 세로로 해도 센터맞추기가 가능한가요? 음

내공이 많이 부족해서 잘 모르겠네요

전 그냥 바인딩 다 채우고 대충 손뼘으로 테일끝에서 바인딩거리 노즈끝에서 바인딩거리제어보고

비슷하면 그냥 타는데 잘못된 건가요? 위에서 말씀하신 프레스걸어서 버티는건 됩니다.

안해봤지만 몇십분도 할 꺼 같던데 ㅎㅎ 조언 좀 부탁드릴께요

SSINBI

2009.02.02 18:08:24
*.157.163.130

진보하는보딩 님 말씀드립니다
님께서 손뼙으로 테일끝에서 바인딩거리 노즈끝에서 바인딩거리제어보고 비슷하면 탄다고 말씀하신 부분은 센터링 조절이 아니고 넓이스텐스 조절입니다 바인딩 센터링 조절은 데크가 고정된상태에서 바인딩을 노즈테일 방향으로 좌우가 아닌 상하로 조절하는것을 말합니다

tyrasak

2009.02.04 01:06:10
*.239.26.168

아 그렇군요 ^^ ;; 감사합니다.

티파니다이아

2009.02.04 02:18:34
*.173.128.107

아... 그래서 평지서 연습하라는거였구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SSINBI

2009.02.05 16:25:25
*.157.163.130

티파니다이아님 네 맞습니다 그래서 평지에서 연습하는것 입니다
설면에서 할 상황이 않되면 집 방안이나 거실에서 담요(고스톱칠때 좋은거 뭔지 아시죠?)를 깔아놓고 그 위에서 하셔도 됩니다
스텝챠일드 프로보더인 시몬챔벌레인 트릭지빙 동영상 강좌에서도 보면 집에서 카페트 위에서 데크프레스를 몸으로 느끼면서 스핀연습하는 장면이 나오며 설면에서 노즈프레스를 한 상태로 균형잡고 몇초간 자세를 유지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양인복

2009.03.12 14:24:56
*.109.234.112

감사합니다 초보한테 또 하나의 가르침이네요
오늘부터 당장 해야 것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373 초보를 위한 강좌 헝그리보더 사이트 처음 이용하시는 분들을 ... [7] 트로미 2006-06-01 64 2758
372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팬듈럼) [20] 김은석 2009-01-24 64 9414
371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준비에서 스키... [46] 김은석 2009-01-20 64 7882
370 초보를 위한 강좌 학교 선후배들이 보드를 막 시작해서... 도... [12] 껀이 2009-01-14 63 7962
369 초보를 위한 강좌 겁많은 여자친구 보드 가르치는 노하우 [58] 슭훗 2010-03-12 62 15694
368 초보를 위한 강좌 설면에 따른 라이딩 방법 [18] CHAOS™ 2006-12-06 61 7146
367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턴을 하고 싶다. [28] 아드리아주 2009-11-29 61 12087
366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이렇게 해봅시다! (인사말) [66] 김은석 2009-01-19 61 6792
365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를 위한 초보의 강좌 [8] 보드앙마 2007-01-14 60 5697
364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을 배우는 순서 [43] 으악 2008-02-07 58 10823
363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 기초 이론. [32] 날아라가스~!! 2008-12-30 57 8386
362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시 잘못된 습관(버릇)을 고치는 방법 [51] 겐세이짱 2010-02-25 56 23275
361 초보를 위한 강좌 캐초보에서 초보 그 너머로... 집소의 초보... [32] 집소 2009-01-09 55 5915
360 초보를 위한 강좌 강사자격증 있으세요? [53] 오래된보더 2009-01-12 55 10536
359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기의 중요성....... [14] Dr.kimcarving 2007-10-31 55 8742
» 초보를 위한 강좌 내 데크는 소프트?하드? 부제 : 노즈와 테일... [20] SSINBI 2009-01-30 55 7600
357 초보를 위한 강좌 팬 패그레이션을 활용한 턴의 연습 [5] 쌔끈라이딩 2008-01-23 54 3341
356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8탄] 고글 - 인터핏과 아시안핏의 구분 [23] 똥싸개아메바 2006-10-18 53 8852
355 초보를 위한 강좌 조바심에 한말씀 드립니다. [28] 홈매트 2009-01-12 53 5382
354 초보를 위한 강좌 구피인 or 레귤러? 가장 정확한 판별법 [55] Gatsby 2008-11-21 51 9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