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남들에게 알려줄만큼 어려운건 아니예요^^


좋은 사진을 찍고 싶으시면 풀수동으로 맞춰보세요.

수동 초점으로 조절해서 초점이 맞는 거리와 화각을 미리 설정해두세요(ex 28mm화각 / 초점은 5m에서 맞게!)

보드와 같이 빠른 운동을 찍을 땐 되도록이면 셔터스피드가 빠를수록 좋아요 (ex 1/60초 보다는 1/125초 가 두배 더 빠른 셧속으로 계산하죠^^)

안정적인 셔터스피드는 보통 화각과 관련이 있다고 해요... (ex 500mm 망원렌즈를 쓴다면 최소 1/500초보다 빠른 셧속으로 찍어야 손떨림으로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네요.)

맑은 날 낮에 보더를 찍으신다면 표준화각에서 1/250초 전후로 흔들림 없는 피사체를 담으실수 있을거예요. (흔들린사진은 손떨림 or 피사체속도가 빠른 경우 두가지니까요^^)

셧속에 맞춰서 조리개를 설정해주세요. 디카는 한번 찍어보고 언더인지 오버인지 적정노출인지 확인할수 있으니까 피사체가 오기전에 배경만이라도 한번 찍어보고 조절하세요.

이렇게 셧속과 조리개를 고정해두시면 전반적인 색감이나 배경흐림이 통일되어 나오기 때문에 연사시나 파노라마 사진을 만들때 편집하기 좋아요!

노출은... 카메라는 모든 피사체를 회색으로 인지하려고 합니다

흰 눈만 찍게되면 카메라는 '아.,, 넘 밝구낭~ 좀 어둡게 찍자!=셔터속도를 좀더 빨리 끊자!' 이렇게 생각해서 눈을 회색으로 찍어주죠!

그럼 찍사는 이걸 미리 생각해서 노출치를 적정보다 더 줘야 (=셧속을 더 느리게 =조리개를 좀 더 열고) '흰 눈을 희게' 표현하게 됩니다^^

이때 조리개 우선에서 조리개를 더 열면 카메라는 자동으로 셧속을 더 빠르게 해서 적정으로 보정하고

셔터 우선에서 셧속을 더 느리게 하면 역시 자동으로 조리개를 더 열어주겠죠ㅡㅡ 때문에 노출보정을 +쪽으로 더 줘서 기준노출을 바꿔주거나 아니면 수동모드에서 조절해줍니다^^

결혼식 예복처럼 까만분+하얀분같은 피사체는 조금 어렵지만 온통 훤한 스키장 사진은 미리 노출을 조금 오버로 주시면 환한 색감으로 찍으실 수 있습니다^^



요약 - 화각조절 후 촛점 고정, 셧속 설정후 적정노출에 맞춰서 조리개 조절, 촬영!^^

ps, 똑딱이도 매뉴얼 잘 읽어보시면 거의 대부분의 기종으로 좋은 사진 찍으실수 있어요!

엮인글 :

비테히

2009.02.26 10:59:49
*.105.181.58

스키장에서는 노출보정이 필수조 0.7~2.0 ev + 로 맞추어주셔야 하고여...

대부분 +1.0 정도로 하고 찍지요.

그리고 낮에는 빛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DSLR이시면 그렇게 밝은렌즈는 안가지고 가셔도 됩니다.

슈퍼줌렌즈가 좋겠구요. 아름다운 선예도를 원하신다면 F8~F11 모 이건 기본이니까...

그리고 빛이 강하기 때문에 워낙 그늘이 잘지게 됩니다.

괸찮은 외장플래시 하나 더 있으시면 금상 첨화 일겁니다.

F값

2009.02.26 12:23:38
*.111.214.27

F값이 8~11되면 아무리 스키장이라도 캄캄할텐데요?
셧속 높이면 결국 잔상 남으니 6~8 정도 잡고 셔속을 잡아주는게 좋을듯합니다.
요새 워낙 망원렌즈들 선예도가 뛰어나다보니...

비테히

2009.02.26 14:19:41
*.105.181.58

낮에 F8 ~ F11 이 깜깜하다니요... 셔터 스피드를 높이는데 잔상이라니요...(낮아질수록 잔상이 남지요...)

그리고 F8 ~ F11을 잡는건 렌즈 구조상 선예도가 가장 뛰어나지는 부분이라 그렇구요.. (아닌 렌즈도 있습니다!)

그리고 조리개 값은 자기 마음 아닌가 싶습니다^^;; 셔터스피도 역시도 찍으시는분들의 생각이 더 중요한거구요.

박창성

2009.02.26 15:32:36
*.155.196.221

결국은... m모드로 찍어서 셧스피드&조리개 값들을 파악 하셔서

적정노출 잡으시면 될것 같습니다..

좀더... 쨍한 사진을 찍고싶다면... 스트로브 촬영 하시길.(고속동조)

어느정도 Dslr 찍은시는 분은 잘아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초점방식은 동적 촬영을 하시길,...(all servo)

....

2009.02.26 15:43:34
*.112.237.235

날 좋으면 워낙 빛이 좋아서 F8~11 해도 최고 셔속 나오던데요...-_-;
셔속이 빠를수록 잔상이 안 남구요..
뭐 저는 조리개우선모드로 갈겨도 잘 나오던데요..

베스탈

2009.02.27 00:55:30
*.117.123.195

카메라는 역시 어렵군요.......

껀이

2009.02.27 02:00:26
*.155.48.161

ㅎㅎ보통 조리개 F8 정도면 촛점 적절히 맞고 쨍하지 않나요?
최소구경값의 절반에서 가장 선예도가 좋다고는 하지만요..ㅎㅎㅎ

이것저것 신경안쓰시고 찍으신다면... 모조리 수동놓으시고 조절하시라고 적어본 글입니다^^
기초적인 메커니즘만 이해하시면 잔상으로 흐려진 피사체나 회색 슬로프는 벗어나실수 있어요ㅎㅎ

0WD

2009.02.27 15:30:19
*.138.144.97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에서나 초점고정으로 쉽게 핀을 맞추겠지만,
누구나 넓은 화각을 원하는건 아니라는 점. 가령 준망원을 쓴다고만 해도,
포커스추적이 좀 떨어지는 기종과 렌즈는 답없음. AF가 고속인 렌즈와 함께 바디도 딸아가줘야하는 금전적 부담.
장비를 갖췄다고 해도 피사체와 촬영자사이게 갑작스럽게 끼어드는 타인에게 핀이 맞아버리는 경우도 무시못함.

가장쉽게가는법은 글쓴이님처럼
렌즈선택. 광각 또는 초광각으로 선택.
렌즈셋팅. MF모드 초점거리무한.후드필수(태양광뿐아니라 눈에서 튕겨지는 반사광으로 난반사율이 높아짐)
바디셋팅. 고속드라이브샷. 싱글서보. 셔터우선 적정노출. 필요하다면 그레이카드지참후 메뉴얼모드.
촬영자. 카메라그립필수. 노파인더촬영. 메모리공간확보 후 촬영(고속드라이브로 한슬롭내려오면 100컷기본;)

마지막으로 라이더와의 최소안전거리확보로 카메라를 최대한 가깝게 들이댐.


울아버지아들

2009.02.28 05:56:05
*.125.115.55

메커니즘적인 문제는 뒤로 하고..

특히나 역동적이고 운동성 강한 장면을 담으시려면
찍으시는분 또한 다이나믹하고 버라이어티한 자세를 취하셔야해요..

0WD님 말씀처럼..
좀더 낮게 혹은 좀더 가까이..

주제도 명확해야겠죠..
전경과 함께 객체를 찍을것인가..
객체를 부각할것인가..

+] 작은 팁이라면 범위가 허용하는 내에서 실외 촬영시 플레쉬를 찍으면 훨씬 좋은 사진을 얻을수 있어요..

껀이

2009.02.28 14:47:31
*.185.208.185

OWD님 말씀이 제생각이랑 같아요^^
초보님들 찍으실때 실패하지 않는 사진 찍으시려면 번들로 최대광각 놓으시고 촬영하시는게 가장 쉽죠^^
좋은 장비로 엄한사진 찍는거보단 번들로 예쁜거 찍어오시는게 남는겁니다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233 초보를 위한 강좌 2년전 중복 글-> "너 선수할꺼냐? 대충타 임... [13] 은퉈보더 2010-12-25   7621
232 초보를 위한 강좌 상급의 턴 기술을 욕심내지 마라... [23] 민스™ 2010-12-25 6 11534
231 초보를 위한 강좌 iTunes 에서 헝그리보더닷컴의 강좌 동영상 ... file [15] CLAP 2010-11-30 1 6667
230 초보를 위한 강좌 킥커를 처음 연습할 땐 킥커를 뛰지 마세요. file [34] SBdaero 2010-10-01 23 9358
229 초보를 위한 강좌 지빙 50/50 누구나 할 수 있어요! [11] SBdaero 2010-09-17 25 5505
228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 스탠스에 대한 모든것 [한글] [6] 아르미스 2010-06-15 34 22353
227 초보를 위한 강좌 겁많은 여자친구 보드 가르치는 노하우 [58] 슭훗 2010-03-12 62 15692
226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시 잘못된 습관(버릇)을 고치는 방법 [51] 겐세이짱 2010-02-25 56 23273
225 초보를 위한 강좌 여성보더를 위한 베이직 카빙 강습방법 [47] Wookie 2009-12-29 45 20916
224 초보를 위한 강좌 이제 막 턴이 되서 신나는 분들에게.. [33] 가루군 2009-12-23 44 17867
223 초보를 위한 강좌 누군가에게 강습을 해줘야 한다. 어떻게 할까? [17] 고타나 2009-12-07 68 9856
222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입문 경험담과 얇팍한 노하우.. [19] 늦뚱이보더 2009-12-05 50 8787
221 초보를 위한 강좌 모든 보더 준수사항 [51] 사쿠라몬토야 2009-12-01 32 8037
220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턴을 하고 싶다. [28] 아드리아주 2009-11-29 61 12087
219 초보를 위한 강좌 키커 배우기 [22] 우당탕 2009-05-01 111 9614
218 초보를 위한 강좌 알파인 초급자를 위한 조언 - 두 번째. [14] 바카스™ 2009-02-27 118 5965
» 초보를 위한 강좌 스키장에서 보더찍기 노하우^^ [10] 껀이 2009-02-26 113 9176
216 초보를 위한 강좌 중급자로 가기 위한 걸림돌 [30] ┓푸른바다┏ 2009-02-19 132 13478
215 초보를 위한 강좌 중고장터 Gear ( 데크 + 바인딩 + 부츠 ) 구... [12] 어화둥둥 2009-02-16 113 8312
214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탈출을 위한 제 생각 [18] 뚱땡이초보 2009-02-08 84 8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