턴이 진행될때 슬립이 생기거나 무게중심을 잃고 넘어진다 (토턴시 앞으로, 힐턴시 뒤로)

 

1. 엣지체인지후 엣지가 설면에 어느정도 물렸을때부터 다운을 시작하지 않고 너무 빠르게 다운을 시작하면 슬립이 생기거나  넘어지게 된다.

 

2. 무게중심을 50:50을 두라고 하지만, 보통 실면의 각도때문에 앞에 무게중심을 주는 느낌으로 타라고들 하는데,  이부분을 너무 곡해해서 턴시도시 너무 무게중심을 앞쪽을 쏠리게 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러면 테일부분에 압력이 떨어지고 뒷발에 힘이 덜 들어가서 테일부분에 슬립이 생기는 현상이 일어난다.

 

3.  힐턴시 뒤로 자주 넘어진다면 다운유지를 너무 오래하는건 아닌지 체크해본다. 가속이 붙어있는 상태에서의 팬듈럼은 가능하지만 느린속도에서는 다운을 한 상태에서 편듈럼을 하는것은 상당히 힘들다. 이때가 턴을 시작해야 하는 타이밍이 아닌지 체크해본다.

 

4. 상체스티어링이 유지되고 있는지 체크해본다. 턴이 잘 안되는 사람들 대부분이 상체스티어링을 설면의 직각상태(힐턴시 9시)까지만 유지하고 그이후에는 스티어링을 풀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12시에서 스티어링을 서서히 시작해서 설면의 직각상태(힐턴시 9시)가 되었을때 한번 더 스티어링(하체 스티어링과 다운을 함께)을 한다는 느낌으로 한다. 스티어링을 두번한다는 느낌으로 하면 상체 스티어링 유지에 도움이 된다.

이부분은 보더의 실력(엣지체이지 타이밍)에 따라 다르니 잘 모를때에는 9시에서 시작해서 점점 12시로 이동하면서 체크하여 자신에게 맞는 엣지 타이밍을 알아본다. 12시에서 9시로 턴을 할때 너무 빨리 다운을 시작하면 슬립이 생기거나 넘어지는 경우가 생긴다.

 

5. 어느때고 BBP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 체크해본다.

 

6. 자신이 얼마나 다운을 하는지 친구에서 물어본다. 자신은 상당히 많이 앉았다고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리고 엉덩이를 뒤로 쭉빼는 자세는 BBP자세가 아니다.

 

* 상체는 항상 릴렉스를 유지하자. 모든운동에서 상체의 경직상태는 금기사항이다.

* 어느정도 과감성이 필요하다. 너무 과감하게 타는것은 위험하지만 처음부터 너무 조심조심 타면 나중에는 공포심을 떨칠수가 없다. 뒤에서 소리가 나거나 몬가 있다고 느끼면 자꾸 돌아보게 되어 턴자세가 엉망이 되거나 충분히 지나갈수 있는데도 앞에 사람이 있으면 무조건 멈추게 되는 버릇이 생긴다.

 

친구보라고 썼는데 이건 100% 저의 주관적인 생각이라 반박하셔도 할말은 없습니다...ㅜ.ㅜ

요즘 느끼는 사항이지만 점점 슬라이딩턴이 더 어렵다고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엮인글 :

Tahn

2011.02.08 15:54:39
*.37.167.186

좋은 칼럼입니다.

친구 강습할 때 제가 직접 체크해줘야겠습니다 ^^

뱅뱅™

2011.02.09 09:30:03
*.58.215.250

독학이라면 한번쯤 읽고 확인해볼만한 좋은
글인것같습니다 많은 도움받고 갑니다~

수리원

2011.03.01 11:32:46
*.16.128.215

완전공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3
253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 보호필름 붙이기 (초보들을 위한 사진... file [36] 제발때리지마요 2012-11-04 10 9067
252 초보를 위한 강좌 초 간단 팁~!...<스케이팅> [21] 나를막만졌... 2012-10-19 1 5647
251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을 왜 배워야하는가? [11] 소리조각 2012-02-22 4 7708
250 초보를 위한 강좌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좀 더 공부하고 다... secret [10] 안씻으면지상열 2012-01-27 5 1813
249 초보를 위한 강좌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좀 더 공부하고 다... secret [13] 안씻으면지상열 2012-01-26 6 1416
248 초보를 위한 강좌 "다운"의 또다른 이유...?| [23] 작살러버 2012-01-09   7400
24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놓치기 쉬운 토턴과 힐턴의 발란스를... file [11] 작살러버 2011-12-30 1 20297
246 초보를 위한 강좌 구피? 레귤러? 본인의 정체성을 찾아봅시다! [45] 바람켄타 2011-12-27 2 24237
245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 강좌 어플 만들었습니다!! file [47] 갈아만든개 2011-12-05 4 10750
244 초보를 위한 강좌 스텐스 넓이 정하기 - 넓은/좁은 스텐스 장... file [74] SBdaero 2011-12-01 28 30635
243 초보를 위한 강좌 다음시즌에 알파인보드 생각하고 계신 분들... [9] 배가고픈걸 2011-03-28 1 19074
242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 이라는 말은 없어져야 한다?! [19] 홍이00 2011-03-06 1 9686
241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복 내려입기 수선!!!! file [4] 명랑젖코난 2011-02-18   8535
240 초보를 위한 강좌 바인딩 쉽게 푸는 법 (살로몬) [3] 1002134 2011-02-15   8878
239 초보를 위한 강좌 Down? Press? [15] 겐세이짱 2011-02-07 2 6377
» 초보를 위한 강좌 보딩시 체크사항 [3] 니어커 2011-02-07   4038
237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리네이션(inclination-기술기). 그 달콤... [32] ce5 2011-01-26 7 9781
236 초보를 위한 강좌 자세와 라이딩간의 상관관계 [35] ce5 2011-01-26 2 8386
235 초보를 위한 강좌 대체 스노우보드를 왜 타는 걸까 [30] ce5 2011-01-26 1 6861
234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가 초보를 위한 칼럼2 (부제:여러분은 ... [17] OolOBBA 2011-01-03 1 8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