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세요...

벌써 시즌도 중반에 접어들고 있네요...(맞나??)

보드타느라고 소홀했던(뭐 비 시즌에도 소홀했지 않았냐고 물으시면 할말 읍

죠.. ㅜㅜ) 리뷰를 하나 올리려고 합니다...

버튼과 더불어 스노우보드의 역사를 열었던 브랜드가 있습니다...뭐냐구요??

바로 심스라는 브랜드입니다...요즘은 다른 신생브랜드들과 더불어 경쟁하고

있지만 초창기에는 심스의 브랜드 파워는 상당했었죠...그런데 조금 시류에 부

응하지 못하는 디자인과 기술로 고전을 하다가 요즘에는 많이 세련되지고 이전

의 이미지를 많이 벗고 있습니다...간단히 말해 심스는 두껍고 무거운 데크라

는 인식이 있었고 필자인 저도 그런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우연한 기회에 FS-750 타볼 기회가 생겨서 브리뷰와 리뷰를 겸한 글을 쓰려고

합니다...


잘 읽어 주세용 ~



1. 장비명  : SIMS  FS - 750

2. 소비자가 : 오픈프라이스(즉 샵마다 소가가 조금씩 틀립니다..평균소가가 95

                  만원인걸로 암)

3. 수입상 : 다인상사

4. as가능여부와 as기간 : ?

5. 장비 협조(사진촬영과 자료제공) 샵 안내와 구입처 : 자비로 구입...근데 사

진이 없네요 ㅜㅜ


6. 제원표

-Spec.
fs750-2.gif

심스는 FR(프리라이드용),FS(프리스타일),FSR(프리스타일과 프리라이드)의

3가지 분류로 데크를 나누고 있으며 FSR900은 컵셉모델로써 심스의 최신 기술

이 들어간 모델이고 750시리즈가 프로모델을 비롯하여 상급모델이 되겠습니

다...여기서 소개하는 FS 750은 프리스타일 모델로서 JASON MURPHY라는 프

로의 시그너쳐 모델이 있는 라인입니다...말 그래로 라이딩보단 하프나 파크등

에 접합한 모델이라는 설명입니다...


- Construction    :    Radial ABS Sidewall

ABS수지를 사용한 사이드월은 매우 견고한 인상을 주었으며 두께 또한 매우

두꺼웠다...


- Core   : Type III Full Wood Core

풀 우드 코어로서 다른 두 종류의 나무를 차례로 배열하여 강한 탄성과 경량화

하였다는 제작사의 설명


- Base   :    Die-Cut Sintered (신터드 2000급 이상은 될듯 하네요... )


- Pre-pregnated fiberglass with carbon stringer support

더욱 강한 탄성을 위해 탄소섬유가 포함된 라미네이트를 사용했다는 제작사의 설명.


- Insert pattern : 4*4


인서트는 4*4이며 6줄이라서 스탠스 넓이 선정에 폭이 넓다.


- 무게                     ★★★★

- 하드함                  ★★★★☆


----------------------------------------------

최하 : ★ 1개(1점) , 최고 : ★ 5개(5점) ,  ☆ : 0.5점


# 무게와 하드함은 필자의 판단에 의한것임...

솔직히 무겁다는 선입견을 비추어 봤을때는 매우 가벼웠으며...라이딩이 나 트

릭등에 영향을 끼칠정도가 아니였으며 오히려 탄성이 더해져서 가볍다는 느낌

이 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진1] 탑시트,베이스

fs750-1.gif

149과 155는 제이슨 머피의 시그너쳐 모델로서 매우 화려하고 강렬한 그래픽

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이즈들은 3D를 사용한 환타지풍의 그래픽을 테일쪽

에 가지고 있다.탑의 디자인은 매우 멋져졌으며 그에 비해 베이스는 이전의 심

플한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필자만의 생각이지만 왠지 압션의 올해 디자인 경

향과 조금 비슷한듯 하다....


- 캠버높이 측정

죄송합니다...사진이 다 날라가 버려서...사진이 없네요...용서하시고 그냥 말

로 때울께요.

캠버는 좀 높습니다...1cm정도 되는데 거기에 두꺼운 코어에서 나오는 탄성이

더해지만 매우 대단할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팁에서 테일까지

역시 사진 날라갔습니다...

사이드 컷은 깊은편입니다.날렵하다는 인상이 들 정도로 많이 파여있습니

다...



- Flex 테스트

사진으로 보여드리지 못한점 다시 한번 사과드립니다...

음 그냥 손으로 눌러본 바로는 토션은 중간정도...길이방향 탄성은 하드한편이

였습니다...그러나 그 두꺼운 코어를 봤을때는 조금 성에 차지 않았는데...실제

로 라이딩을 해보았더니 손으로 눌러봤던거와는 차이가 있었습니다...하드하

고 탄성이 좋다는 말을 들을만 합니다.






7.총평과 라이딩 후기

일단은 무겁다는 심스의 기존 관념이 조금은 잘못됬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탄성이 좋다는 선입견은 정확했습니다...좋은 데크가 우리나라에서는

조금 낮게 평가되는 현실이 안타까웠으며 많은 분들이 타 보시고 진가를 느꼈

으면 하는 바램이 생겼습니다...

같은 하드한 데크지만 반응이 빠르고 날렵한 데크가 있고 반응이 조금 늦지만

힘이 풍부한 데크가 있는데 심스는 후자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역시 관록이 있는 브랜드다운 제품이였으며 내구성 또한 좋다고 보여집니다...

필자의 경우는 그라운드 트릭이나 파크보다는 라이딩시에 더욱 좋은 느낌을 받

았습니다...

(필자의 실력이 좋지않아서 정확한 판단은 힘들다는걸 감안해주시길.... ㅜㅡ)





뜨문뜨문 글을 올리지만 너그러이 보아주시는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콜라

2003.01.25 02:38:54
*.74.146.71

울 가족이 타고 싶어하는 데크라서 글을 많이 기다렸는데 이제서야 올려 주시다니......^^
리뷰를 보니 더욱타고 싶어 지는군여 저도 후배에게 이 데크에 대해 들었는데 탄성이 너무 좋다고 하더군여 좋은 리뷰 감사 합니다

지산닉스맨

2003.01.25 05:23:59
*.30.128.20

아주 좋은데크입니다....탄성 하나는 어느 보드보다 좋다고 생각합니다...sims 짱!!

Corea

2003.01.25 09:32:50
*.235.43.58

심스데크 정말 전통있는 데크 제조사인데 최근 국내에서 인기가 시들해진듯해서 참으로 아쉬운 회사입니다.
심스데크의 단점중에 하나가 조금 무겁다는것을 꼽을수 있다는 쿨럭 -_-;
단점이자 장점인셈이죠. 묵직한만큼 빠른속도에서의 라이딩에 매우 안정적이라는 점과 그만큰 라이더의 체력소모를
빨리 가져온다는점이 양날의 검이죠

Corea

2003.01.25 09:34:58
*.235.43.58

실제로 심스데크 일부모델에 국한된 이야기 입니다만 확실이 버튼이나 인피니티등의 데크에 비한다면 무겁습니다.
실제로 모 여성분이 사용하시는 145인가? 그 사이즈의 데크가 발란스 161보다 무겁게 느껴진다는 -_-;
실제 저울로 무게를 쟤보기 보다는 이동하면서 느껴본바이고 부츠신고 바인딩 채워본후 느껴본바도 묵직하더라는 -_-;

적마

2003.01.26 22:46:25
*.186.47.100

제 후배는 캐나다에서 버튼 드래곤 사온다더니 심스 FSR900 타구선 뻑!!가서 드래곤이고 뭐고 다 필요없구 심스짱!!이러면서 사가지고 들어온다구 하네여..ㅋㅋ

저두한번 타보구 싶었는데..요한님 혼자 타보구 데크가 사라졌네여...^^얼라이언은 타볼수 있을려나..

왕초보보더

2003.01.27 09:25:59
*.213.1.1

좋은 리뷰 잘보았습니다. 이곳 지방에는 신제품을 찾아보기가 넘넘 힘드네요. 수고하셨습니다.

MKII

2003.01.27 19:25:42
*.144.105.235

오홋~ 심스가 무겁다는 애기는 첨 접합니다. 타보구 싶당~

Corea

2003.01.28 10:44:01
*.235.43.58

01-02 심스는 상당이 묵직했습니다만 어제 02-03 몬토야를 들어봤는데 지난시즌에 비해 경량화 되었더군요.

평가맨

2003.01.28 16:13:02
*.104.25.222

심스는 요즘 버튼에서 말이 많은 '알루미늄 하니콤'구조를 00년 부터 적용하였고 다양한 LINE UP의 믿을만한 제품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한편 바인딩에서의 링크는 토페달을 처음으로 적용한 바인딩이구요. 기술의 최 선두를 달리면서도 무시당하는 불쌍한 메이커라고 말할수도 있겠죠. 무게 역시 가볍다고 좋은것만은 아닙니다. 적절한 무게와 적절한 탄성의 조화...그리고 균형잡힌 보드를 만드는게 가장 중요한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점에서 심스는 상당히 균형있는 보드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쿨럭..

링크

2003.01.29 01:56:09
*.212.18.22

다니엘을 타다가...심스 몬토야 152를 샀습니다...전에 보드가...157,155,였기 때문에..
짧은것 같아서 157를 살려고 하다가...엣지 길이가...타 보드보다...길게 나왔더군요..
그래서 152를 샀습니다..
근데 다니엘을 타서 그런지...샵 직원이..상당히 하드하다고 했는데...왠지..
소프트 함이 느껴지더군요...^^ 암튼 다니엘에 비하면요..
근데 탄성은...끝내주더군요..캠버가 높아서 그런지 카빙시 다운을 했을지..
엣지 그립력도 뛰어나고. 엣지가 눈에 박힌다고 할까그리고..원에리시...
튕겨져 나가는줄 알았습니다..
어찌나 탄성이 좋은지....전에 보드에서 느끼지 못한...그런 탄성이 였습니다..
그리고 누가 무겁다고 하셨는데...갠적으로...절대 무겁지 않습니다.
정말 후회 하지 않을 보드입니다.
그래픽도 상당히 뛰어나고요....
몬토야 같은 경우 탑이 흰색이라...스티커 튜닝하면 끝내줄것 같고.
다른 모델도...괜찮습니다..900도 상당히 그래픽이 우수하다는 느낌을 가졌습니다.
암튼 지금은 다니엘을 모셔두고....몬토야에 푹 빠져있습니다.

진진

2003.01.29 05:30:37
*.98.139.122

저두 01-02심스 몬토야 데크를 탔는데 상당히 좋습니다. 전혀 무겁다는 느낌은 못 받고 뛰어난 그립력과 탄성이 심스의 장점이죠..심스는 그리고 처음으로 개발한 기술이 많습니다. 처음 엣지를 철로 만든것도 심스니까요...암튼 심스의 부흥이 좀 일었으면 합니다

막내386

2003.02.04 00:16:05
*.254.175.86

타보고 싶어지는 글과 리플들이군요...주위에 가진 사람이 없어서 안타깝다는..ㅡㅡ

[돌]꼬꼬리

2003.02.04 11:45:16
*.105.5.253

좋은데크임에 틀림이 없군......오랫만에 불러보는 이름이여
요한샘~~

귀염둥이

2003.02.04 21:48:42
*.52.115.153

저두 심스 데크를 타구 있는데여 좀 무겁지만 탄성은 죽이는것 같아여^^ 저는 150이여^^

아로미

2003.02.05 13:21:50
*.204.205.253

움. 요한님 글 보고 참고해서 0102 Tina 올려보겠습니다!! ^^/

김태현

2003.02.27 05:49:06
*.100.46.188

ㅋㅋㅋ 심스 강력추천입니다...
저는 sims fsr-750 westell 가지고 있는뎅여....짱입니다...^^ 여기 토론토에서도 인기 꽤나 있는 거구여...
저두 이거 사고...만족하고 있습니다..^^

날개달린신발

2003.03.03 16:19:03
*.190.171.95

내가 수지 맞은건가요
난 37만원에 구입했는데 심스 fs-750
02-03 fs-750 무겁지 않아요 제가 가지고 다닌 결과 무겁지 않고 승차감은 한마디로 에쿠스탄다고 해야할까요
내가 처음 타고 친구에게 한말이죠
선택을 잘한거 같아요
sims가 샾에서 잘 안보이더라고요
미국에서는 짱 인가라던데
혹시 드라곤 타시는분 심스하고비교 해봐주세요
드라곤 하나 더 구입 할려고 하는데

ogam3

2003.03.04 18:52:08
*.36.243.123

날개달린신발님 데크어디서사신지.알려주실수있는지여?

으랏차차~™

2003.03.06 10:57:38
*.241.146.3

날개달린 신발님은 아마 슈X림에서 한정세일할때 사신거 같군요 정말 싸게 잘사셨네요.. 친구 녀석도 그때 구입해서 저도 750살려고 알아보다가 운좋게 fsr900을 지지난주에 구입후 지난주에 시승해봤는데.. 잘감기고 푹푹 박히는 느낌이 너무 좋더라구요.. 알리 해본답시고 한번 뛰어 봤는데 너무 높게 튀어서 놀랐습니다. 역시 sims 데크인거 같습니다.. 저도 대만족입니다.. ^^

맨들맨들

2003.03.06 17:49:20
*.39.124.168

요한샘~~~~ 스쿠임~~

Masta★.C

2003.03.26 19:56:20
*.54.184.243

우와 심스 데크
보딩초보로썬 심스데크..사람들입에 언급된적없던 브랜드이라...아.잘못샀다 하는 생각이 많이 들고
후회가 많이 됬는데.이렇게 좋은 전통의 데크라니...Good 내 데크가 짱이야 ㅋㅋ

내스타일

2003.04.07 16:13:35
*.33.188.116

몬토야 모델도.. 꽤 묵직하더군요.. 탄성은 좋은거 같던데..

ㄷ┣ㄲ┣ㅇ

2003.05.27 18:35:58
*.33.253.121

FS 750짱짱짱!!!

심스돌이

2003.11.03 11:16:24
*.241.99.18

한번의 선택으로 3-4년간은 후회없이 지낼수있을 정도의 데크입니다

완전헝그리~

2003.11.10 08:44:58
*.205.227.230

fs 750 37에 비닐채 쌩삥 샀는데...

157이 너무 커여~ 코까지 온다는...

좋은 거였구나...

둥이

2003.12.12 15:14:06
*.54.27.115

00-01 모델인 Sims Fusion X 사용하는데 스피드 하나는 끝내줍니다..초보가 사용하지만 가속하나는 스피드하게 붙습니다
라이딩 즐기시는 분들이라면 심스데크 적극 추천합니다
첨에 보드 배울때 이걸로 배워서 무지 고생했습니다..속도가 많이나서...

보더를향한나의꿈

2003.12.28 11:25:07
*.96.189.179

제가 심스 소스라는 제품을 가지고 있는데요
아직 타보지는 않았습니다
좋은 제품인지요...어떤 분께서는 하급제품이라고 하던데...
약...30만원 넘게 주고 샀습니다...잘 산건가요???

칼리토

2004.01.26 10:47:58
*.32.158.142

심스데크..원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스노우보드 브랜드 A/S관련 또는 용품구매] 2019-12-31 16 5497
공지 기타 장비리뷰 게시판 이용안내 2018-04-23 2 13140
211 데크 [03/04] Option Makinen [30] 2003-11-14 66 9594
210 데크 [03/04] Light 보드 7종 [39] 2003-09-13 73 9566
209 데크 [03/04] Moss - King & 모스 소개 file [34] 2003-11-30 19 9457
208 데크 [02-03] 로시뇰 토드 리차드 file [11] 2002-10-26 45 9416
207 데크 [06/07] SABRINA NIJI & POP file [11] 2006-12-05 63 9394
206 데크 [08/09] Neversummer EVO-R [13] 2008-12-04 54 9369
205 데크 [09/10] Amplid HiDef Deck (with moving picture) [9] 2009-12-11 74 9328
» 데크 [02-03] 심스 FS 750 file [28] 2003-01-21 25 9287
203 데크 [실사] 네버썸머 데크 file [21] 2013-09-03   9183
202 데크 [03/04] Buzrun Teamline Scimitar(언월도) 158 [37] 2003-12-14 33 9155
201 데크 14/15 Nidecker Livin' the Dream 157 file [33] 2014-11-11 3 9081
200 데크 [06/07] BATALEON SNOWBOARD ENEMY & EVIL TWIN [10] 2006-10-29 74 9027
199 데크 [03-04] 네버썸머 "EVO" [23] 2003-11-15 42 9020
198 데크 [08/09] Technine MFM Classic 데크 [1] 2009-03-10 50 8999
197 데크 [02-03] NITRO 네츄럴 [15] 2003-08-15 39 8986
196 데크 [05/06] Sims Protocol & Cipher file [13] 2005-12-07 95 8977
195 데크 다재다능한 디렉셔널보드의 명작 HighLife UL file 2014-11-19   8970
194 데크 [05/06] Allian BACKMAN MINI [8] 2005-12-22 73 8954
193 데크 [04/05] K2 DISCIPLE 158 & TEMPTATION by Wille 158 file [4] 2005-09-13 50 8947
192 데크 [08/09] Technine Street 데크 [3] 2009-03-17 33 8846